1) 반드시 정맥주사하도록 한다. 2) 용제의 양 : 2. 용량 다른 신경근차단제와 마찬가지로 이 약의 용량은 각 환자마다 개별화되어야 하며, 용량을 결정할 때는 마취방법, 수술시간, 마취전 또는 마취동안에 사용하였던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야 하며 신경근차단 및 회복을 모니터하기 위해 말초신경자극제의 사용이 권고된다. 다음 용량은 균형마취(balanced anaesthesia)중 수술시간동안 적당한 근이완을 위한 이 약의 초기 및 유지투여량 지침이다. 1) 성인 및 소아 2) 신생아 및 1세까지의 영아 특히 신생아 및 영아(출생후 4개월까지)의 경우 신경근접합부의 민감도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체중㎏당 0.01-0.02㎎의 초회량을 투여한 후 90-95%로 연축반응이 억제될때까지 증량하는 것이 권고된다. 5개월-1세 영아의 용량은 성인과 같으나 이 약의 작용개시시간이 성인 및 소아보다 상당히 빠르므로 양호한 삽관상태를 신속하게 얻기 위한 고용량투여는 필요하지 않다. 신생아 및 영아에서 이 약의 작용지속시간 및 회복시간이 소아 및 성인보다 길므로 유지투여량의 투여빈도가 더 작다. 3) 연속주입시의 투여량 이 약을 연속주입하고자 할 때에는 처음에는 bolus dose(ED90 또는 2×ED90용량)를 투여하며 신경근차단이 회복되기 시작할 때 이 약을 주입하기 시작한다. 주입속도는 연축반응이 대조 연축높이의 10%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이 수준에서 성인의 신경근차단을 위한 주입속도는 0.8-1.4㎍/㎏/분이다. 필요한 주입속도가 환자 및 마취방법에 따라 다르므로 신경근차단의 모니터링을 반복하도록 한다.
2. 기관내 삽관시 근이완 유지 3. 기계적 조절호흡 용이 4. 수술시 근이완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이상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 파편 혼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앰플주사제에 한함>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베쿠로니움이나 브롬이온에 대해 아나필락시의 병력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호흡곤란 및 기도폐색 환자(환기부전에 의해 환자의 자발적 호흡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 2) 기관지 천식 환자(천식발작, 기관지연축이 일어날 수 있다.) 3) 전해질이상 환자 4) 고혈압 환자(혈압상승을 일으킬 수 있다.) 5) 고령자 6) 신생아 및 영아 7) 다음 질환은 이 약의 약물동태나 약동력학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4. 이상반응 1) 쇽 : 드물게 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혈압하강, 빈맥, 전신발적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과민증 : 때때로 발적, 드물게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3) 순환기계 : 때때로 서맥, 드물게 빈맥,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호흡기계 : 드물게 딸꾹질, 기관지경련, 지속성 호흡억제가 나타날 수 있다. 5) 히스타민 유리 및 히스타민성 반응 : 신경근차단제는 국소, 전신적으로 히스타민 유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사부위의 가려움, 홍반성 반응, 기관지 연축 및 심혈관계 변화와 같은 전신적 히스타민성(아나필락시양)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6) 근골격계 : 근육통, 무력감, CPK상승, 혈중 또는 요중 미오글로빈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7) 임상 사용량에서는 심혈관 작용이 없으므로 마취제, 아편성진통제, 수술시 미주신경반사에 의한 서맥을 약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미주신경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수술(미주신경흥분작용이 있는 마취제를 사용하는 수술과정, 안과수술, 복부수술, 항문직장수술)에서 전투약 또는 마취유도로 투여한 아트로핀과 같은 미주신경억제제의 사용 또는 용량을 재검토한다. 5. 일반적주의 1) 신경근차단제의 작용 및 사용에 익숙한 마취과 전문의에 의해서 또는 감독하에 투여한다. 2) 이 약은 호흡근육을 이완시켜 호흡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자발적 호흡이 회복될 때까지 기계적 조절호흡(mechanical ventilation)을 유지한다. 근이완 작용에 의한 호흡억제, 잘못삼킴 등의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근이완이 충분히 회복되는 것을 확인한다. 3) 이 약에 의한 근이완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안전하고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 근이완 모니터링(말초신경 자극장치에 의한 측정)을 필요에 따라 실시한다. 4) 과거에 염화석사메토늄에 과민반응을 일으켰던 경험이 있는 환자는 이 약 투여 후 동일하게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5) 이 약의 신경근차단효과로부터 완전히 회복된 후 24시간이내에 자동차운전 등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6) 비만 환자의 경우 마른 사람에 비해 용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1) 다음 약물과 병용하는 경우 이 약의 근이완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2) 다음 약물과 병용하는 경우 이 약의 근이완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3) 작용변화를 일으키는 약물 이 약을 투여한 후 탈분극성 근이완제 즉 석시닐콜린을 투여하면 이 약의 신경근차단효과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태아에 대한 위험성을 추정하기 위한 동물이나 사람에 대한 실험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제왕절개술 : 이 약을 0.1㎎/㎏까지 투여했을 경우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이 약은 Apgar Score, 태아의 근긴장, 심호흡순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 신생아에 이상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극히 소량만이 태반을 통과한다. 3) 임신중독증을 치료하기 위해 황산마그네슘을 투여한 환자의 경우에는 마그네슘염이 신경근차단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 약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연축반응을 보면서 신중히 적정투여한다. 4) 이 약이 모유중에 분비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신생아 및 영아는 이 약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높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투여하였거나 신경근차단이 연장된 경우에는 기계적 조절호흡을 시키고 해독제로 적당한 양의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네오스티그민, 피리도스티그민, 에드로포늄)를 투여한다.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투여로도 이 약의 신경근차단작용을 역전시키지 못했을 경우에는 자발적 호흡이 회복될 때까지 기계적 조절호흡을 계속한다.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반복투여는 위험할 수 있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을 주사용수로 혼화시킨 후의 용액은 다음의 주입액과 혼합하여 40㎎/L까지 희석할 수 있다. 2) 이 약을 치오펜탈이나 치오펜탈 함유 용액에 배합할 수 없다. 3) 다음 약물의 주입과정에 이 약을 주사할 수 있다 : 펜타닐, 드로페리돌, 염산니코모르핀 및 브롬화판크로늄 12. 저장상의 주의사항 용제로 혼화한 후 용액은 실온, 일광 하에서 24시간동안 보관할 수 있다. 엄격한 무균상태에서 조제되지 않은 혼화액과 희석액은 실온에서 12시간이하만 보관이 가능하다. 그러나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은 용액은 버린다. 13. 기타 동물실험에서 칼슘길항제에 의해 비탈분극성 근이완제의 작용을 증강시켰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칼슘길항제를 장기간 투여하는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6.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