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시트라케이10mEq서방정(시트르산칼륨수화물)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유로시트라케이10mEq서방정(시트르산칼륨수화물)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유로시트라케이10mEq서방정(시트르산칼륨수화물)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유로시트라케이10mEq서방정(시트르산칼륨수화물) Urocitra-K 10mEq S.R.Tab(Sodium citrate hydrate)
이미지
Urocitra-K 10mEq S.R.Tab(Sodium citrate hydrate)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potassium citrate 1.08 g

시트르산칼륨수화물, 분량 : 108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USP, 성분정보 : , 비고 :

시트르산칼륨수화물, 분량 : 108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USP, 성분정보 : , 비고 :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스테아릴알코올, 카르나우바납,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카르나우바 납, 탤크, 탤크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0600860
표준코드
8806599001716, 8806599001723, 8806599001730, 8806599001709, 8806599001747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서방형정제 / 내복
성상
미백색의 볼록한 장방형 정제
허가일자
2006년 04월 07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59900170
194원 / 1정
ATC코드
G04BX Other urologicals 기타 비뇨기과제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259 [02590]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주성분코드
215902ATR
포장단위
90정/병,30정/병,90정(10정/PTP x 9)/상자,14정/병(수출용)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이 약 투여 시에는 소금섭취를 제한 (염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음식이나 소금섭취를 삼가)하고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요량이 하루 2리터 이상이 되도록)하는 식이요법을 동시 실시한다. 이 약 투여의 목적은 요중 구연산염이 최소한 320mg/일을 초과하고 가능한 정상치인 640mg/일에 근접하도록, 그리고 요 pH가 6.0 - 7.0까지 증가하도록 하는 데 있다.

1) 중증의 저구연산염뇨증 환자 (요중 구연산염 150mg/일 이하) : 초회량으로 1일 60mEq (6정)을 1일 3-4회 복용하되 식사 중 또는 식후나 취침전 간식 후 30분 이내에 복용한다.

2) 경증 또는 중등도의 저구연산염뇨증 환자 (요중 구연산염이 150mg/일 이상) : 초회량으로 1일 30mEq (3정)을 1회 10mEq (1정)씩 1일 3회 식사 중에 복용한다.

적절한 초기용량을 결정하고 용량조절시 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매 4개월마다 24시간의 요중 구연산염 농도 및 요의 pH를 측정한다. 1일 100mEq(10,800mg)을 초과하는 용량에 대하여는 연구된 바 없으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혈중 전해질, 혈청 크레아티닌, 전혈구계산치(CBC)등을 4개월마다 측정한다. 고칼륨혈증, 혈청 크레아티닌의 급격한 상승, 헤모글로빈 및 헤마토크릿치의 현저한 저하가 나타날 경우 투여를 중지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 용법.용량


칼슘결석이 있는 신세뇨관 산증, 저구연산염뇨성 수산칼슘 신결석증 및 칼슘결석 유무에 상관없이 요산결석증 처치


♦주의사항(일반)


1. 경고

칼륨배설에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고칼륨혈증과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치명적인 고칼륨혈증은 빠르고, 자각증상 없이 진행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고칼륨혈증 환자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등 혈청 칼륨농도가 상승할 소인이 있는 다음의 환자

① 만성 신부전 환자

② 중증의 심근손상 또는 심부전 환자

③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환자

④ 급성 탈수증 환자

⑤ 계속적으로 격렬한 운동을 하는 환자

⑥ 부신부전 환자

⑦ 광범위한 조직파괴 환자

⑧ 칼륨보존성 이뇨제(트리암테렌, 스피로노락톤, 아밀로라이드)를 투여중인 환자

2) 연하장애 환자 등 위장관 운동장애가 있는 다음의 환자

① 위배출 지연, 식도협착, 위장관 폐색 또는 협착증상 환자

② 항콜린제를 투여중인 환자

3) 위궤양 환자(궤양유발의 가능성이 있다)

4) 칼슘 또는 감염 결석과 관련된 요소를 분해하는 유기체 또는 그 외의 유기체에 의한 요로 감염 환자(박테리아에 의한 효소작용은 소변 내 시트르산염을 증가시키는 이 약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약의 치료로 인한 소변 pH 농도 증가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3. 부작용

1) 몇몇 환자에서 복부불쾌감, 구역, 구토, 설사, 장운동저하 등 경미한 증상이 나타났다. 이 증상들은 이 약이 위장관을 자극하기 때문이며, 식사나 스넥과 함께 복용하거나 복용량을 줄이면 약화된다.

2) 변에서 이 약이 원형대로 발견될 수 있다.

3) 위장장애

염화칼륨정(wax matrix)에 의하여 상부위장관 점막병변이 보고된 바 있어, 글리코피롤레이트 2mg을 1일 3회 경구투여한 30여명의 정상인에 대하여 염화칼륨정(wax matrix) 96mEq/day, 이 약 95mEq/day, 위약정제(wax matrix)를 각각 공복시 1일 3회 1주간 투여한 후 실시한 상부 위장관 점막의 내시경검사에서 이 약과 염화칼륨정(wax matrix) 사이의 차이는 분간할 수 없으나 위약에 비해 현저한 위장관 자극을 확인하였다.

이후의 유사 연구에서, 글리코피롤레이트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 병변이 감소되었다.

염화칼륨 고형정제는 소장에 협착성, 궤양성 손상을 초래하는데 이는 염화칼륨이 용출되는 국소부위에서 고농도의 칼륨이온이 점막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wax matrix제제는 장용정이 아니기 때문에 위장에서도 칼륨이온이 어느 정도 용출되며 이 제제에서도 위장관 출혈이 보고된 바 있다. 염화칼륨정(wax matrix)을 투여하였을 때 연간 100,000명의 환자중 1명에서 위장관 손상이 발생되었으며, 이 약의 사용경험이 제한적이기는 하나 염화칼륨정(wax matrix)과 유사한 발생빈도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심한 구토, 복통,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 약의 투여를 즉시 중지하고 위장관 천공 또는 폐색이 있는 지 검사해야 한다.

4. 일반적주의

1) 처방된 용량에 따라 투여하고 특히 이뇨제와 디기탈리스제제를 투여중인 환자는 특히 주의한다.

2) 의사는 환자가 이 약을 삼키는데 곤란을 겪는지, 약이 목에 걸리지 않았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이 경우 환자는 의사에게 알린다.

3) 묽은 변을 보거나 위장관 출혈의 징후가 나타날 경우에는 바로 의사에게 알린다.

4) 정기적으로 혈청 칼륨농도를 모니터링한다. 산-염기 평형에 주의하고 다른 혈청 전해질, 심전도, 특히 심장질환, 신장질환, 산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환자의 임상상태를 주의깊게 관찰한다.


5. 상호작용

1) 이 약은 칼륨보존성이뇨제(트리암테렌, 스피로노락톤, 아밀로라이드)와 병용투여시 심한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므로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2) 위장관 배출시간을 연장시키는 약물(항콜린효능약)은 칼륨염에 의한 위장관 자극을 증가시킨다.

3)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는 신장에서 프로스타글란딘 E의 합성을 감소시키고 레닌-안지오텐신계를 손상시켜 칼륨 저류를 유발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병용투여 중인 환자의 칼륨 수치를 면밀히 관찰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을 임부 및 수유부에게 투여하였을 때 태아 또는 생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된 바 없으므로 임부에게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정상적인 모유중 칼륨 농도는 약 13mEq/L이다. 이 약의 모유중 칼륨치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려진 바 없으며 수유부에게 투여시 특히 주의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서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고칼륨혈증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지 않은 환자의 경우 추천량에서는 심한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다. 고칼륨혈증은 대체로 증상이 없으므로 혈청 칼륨 농도가 상승하거나 심전도에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다(T파 상승, P파 소실, S-T분절 억제, QT간격 연장). 뒤늦게 근마비와 심정지에 의한 심혈관 허탈이 발생한다. 고칼륨혈증이 발생한 경우 다음과 같이 처치한다.

1) 칼륨이 풍부한 음식, 칼륨 함유 약물, 칼륨보존성 이뇨제를 투여하지 않는다.

2) 10% 포도당주사액 300-500mL/hr에 인슐린(10-20units/1000mL)을 첨가하여 정맥주사한다.

3) 산증이 있는 경우 중탄산나트륨을 정맥주사한다.

4) 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거나 혈액투석, 복막 투석을 실시한다.

9. 적용상의 주의

이 약을 부수거나 씹지 말고 그대로 투여한다.

10. 기타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간 발암성 실험은 수행된 바 없다.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용량주의

1일최대 투여량
1일최대 투여기준량 / 점검기준 성분함량 (총함량)

·이약은 1일 최대 시트르산칼륨수화물 10,800mg 이내로 복용해야 하는 용량주의 의약품입니다.
10800 / 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