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성 요도의 표면마취 : 20 ㎖(리도카인염산염으로서 400㎎)를 주입하되, 이 약으로서 10 ㎖(리도카인염산염으로서 200㎎)를 천천히 삽입하고 음경 클램프를 수분간 코로나에 적용한 후 나머지 약을 주입한다. 마취가 특히 중요한 경우 즉, 소식자법 또는 방광경검사시에는 다량(예로 이 약으로서 30-40㎖)을 3-4회로 분할하여 적용할 수 있다. 2) 여성 요도의 표면마취 : 이 약으로서 5-10㎖(리도카인염산염으로서 100-200㎎)를 주입한다. 2. 내시경 검사시 : 이 약으로서 10-20㎖(리도카인염산염으로서 200-400㎎)를 주입하며 윤활 작용을 목적으로 할 경우 소량을 기구에 적용한다. 3. 기관지 삽관시의 윤활 : 삽입 직전에 튜브의 표면에 이 약으로서 약 5㎖(리도카인염산염으로서 100㎎)를 적용한다. 튜브 속으로 이 약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ㆍ연령, 마취영역, 부위, 조직, 증상, 체질, 전신상태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1) 방광경검사, 카테터 삽입, 소식자법, 기타 요도내 수술시 남성ㆍ여성의 요도 2) 위내시경, 기관지경과 같은 내시경 검사시 비강 및 인두강 3) 직장경 검사시 4) 삽관시 2. 방광염 및 요도염의 통증 경감
이 약 또는 기타의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적용 부위에 점막의 외상 또는 패혈증 환자 2) 간질 환자 3) 심장 전도 이상, 서맥, 간기능 손상, 중증의 쇽 환자 4) 이 약은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한다. 3. 부작용 1) 쇽 : 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혈압저하, 안면창백, 맥박의 이상, 호흡억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중추신경계 3) 저혈압, 심근억제, 서맥, 심정지 등의 심장 억제 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4) 과민증 : 두드러기 등의 피부증상,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드물게 쇽 또는 중독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국소마취제 사용시에는 즉시 구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부작용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므로 쇽 또는 중독한 증상을 피할 수 있도록 다음에 유의한다. 이 약과 부정맥용제(예 : 토카이니드)를 병용투여하는 경우, 부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이 약은 모유중으로 이행되나 치료용량으로는 영아에 대한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