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약물에 대해 내성이 있었던 환자 2.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몇 례의 황달이 보고되었고 thioguanine으로 치료전 cytosine arabinoside를 복용했거나 다른 화학요법제와 병용투여한 환자에서 정맥폐쇄성 간질환이 진행된보고가 있으며 간염이나 담즙정체, 황달의 소견이있는 경우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며 간기능검사(혈청 transaminase, alkaline phosphatase, bilirubin)를 치료개시시는 1주간격, 그 후는 1개월 간격,간질환 환자나 간독성 약물과 병용투여시는 더욱 자주 시행한다. 2)골수억제작용으로 인해 빈혈,백혈구감소증,혈소판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혈액성분 중 일종이 비정상적으로 다량 감소하는 첫증상 발현시 일시적으로 투약을 중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3)발열,인후통,국소감염증상,특정부위의 출혈 또는 빈혈증상의 진행시 환자는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4)성인의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의 유도기에서 경감유도가 성공적이 되려면 골수억제는 불가피하며 Thioguanine에 의해 유발된 과립구 감소증과 혈소판 감소증의 결과로서 치명적인 감염증과 출혈이 나타난다. 5)Thioguanine 요법중에는 hemoglobin 노ㄷ도나 hematocrit, 총백혈구수 및 감별계산, 혈소판수를 자주 측정하며 말초혈액성분의 변화 원인니 모호한 경우에는 골수검사가 골수상태 평가에 유효하다. Thioguanine 의 중량, 감량, 지속 또는 중지여부는 절대적인 혈액학적 수치뿐만 아니라 변화속도에 도 근거하여 결정해야 한다. 6)Thioguanine의 용량은 1차 독성이 골수억제인 타약물과 병용시 감량한다. 7)세포의 DNA에 대한 작용에 비추어 Thioguanine은 잠재적으로 변이 유발인자와 발암인자가 되므로 이론상의 발암 위험성을 고려해야만 한다. 3. 부작용 1) 위장관 증상 2) 기타 항암효과에 수반된 급속한 세포용해의 결과로써 고뇨산혈증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수화, 뇨의 알칼리화 및 Allopurinol과 같은 Xanthine oxidase inhibitor의 예방적 투여로서 극소화 할 수 있다. 4. 임산부 및 수유부에 대한 사용 1) Thioguanine과 같은 약물은 감재적인 변이 유발인자 및 최기형성 물질이므로 임신기간 동안에 복용을 했거나 또는 복용하는 동안에 임신이 된 경우에는 태아에 잠재적인 위험성을 환자에게 알려야만 한다. 2)Thioguanine의 잠재적 발암성 때문에 수유를 중단하던지 또는 약물복용을 중지하던지 결정을 해야 한다. 5. 과량복용시 독성 및 처치 1) 해독제가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돌발적인 독성이 발현되면 즉시 약물투여를 중지한다. 2) 중증의 혈액 독성에는 출혈에 대해 혈소판 수혈, 패혈증에 대해 과립구 수혈 및 항생제 투여의 보조요법이 필요하다. 3) 약물의 과량 복용시는 구토를 유도시킴며 Thioguanine이 활성대사산물과 신속히 세포내 결합하여 장기간 지속되므로 혈액 투석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