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약은 가급적이면 식사와 함께 투여하도록 한다.
- 불안정 협심증으로 인한 급성 심근경색의 예방 - 혈관수술후 혈전증 - 일과성 허혈에 의한 뇌혈관 장애 또는 가역적 허혈성 신경학적 결손(Reversible Ischemic Neurologic Deficit; RIND)을 나타내는 뇌혈관장애의 예방
1)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소화성 궤양 또는 합병 소화성 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3) 이 약, 이 약의 구성성분, 또는 살리실산 유도체에 과민성이 있는 환자 4) 출혈중인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장 및 간 기능장애 환자(일반적 주의 참고) 2) 출혈의 위험이 있는 환자(일반적 주의 참고) 3) 신장 및 간 기능 장애 환자 3. 이상반응 가장 자주 보고된 약물 이상반응은 치료가 지속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며칠 이내에 사라진다. 과민한 환자에서 위통, 연하곤란, 속쓰림, 소화불량, 구역 등의 위부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으나, 식사와 함께 복용하거나 제산제를 투여하면 증상이 경감된다. 드물게 소화성 출혈, 멜레나, 결막출혈, 반상출혈, 청각장애, 편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신장 또는 간 장애환자의 경우 사용경험이 제한적이다. 하지만 재래식 혈액투석을 받는 중증의 신장장애 환자에서 HTB(트리플루살의 주 활성 대사산물)의 사전 및 사후 투석 혈장 수치가 비슷하였으므로, 이는 용량 조절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출혈 위험 3) 운전이나 기계조작 능력에 이 약이 미치는 효과는 관찰된 바 없다. 1) 항응고제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면 항응고제의 효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해야 한다. 2) 이 약은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시에는 혈당강하제의 용량을 감량하여야 한다. 3) In vitro 단백질결합 연구에서는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가 존재할 경우 HTB의 유리형 분율이 증가한다고 나타났다. 반대로, 고농도의 HTB는 유리형 분율을 증가시키므로,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NSAID), glisentide 또는 와르파린의 효과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트리플루살을 이러한 활성물질과 병용 투여 시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4) 혈전용해제(알테플라제와 스트렙토키나제)와 트리플루살의 병용 투여는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평가된 결과, 두개내출혈의 발생률이 아스피린과 혈전용해제를 병용투여한 환자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이 약의 기형발생에 대한 영향의 증거는 없지만 임신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투여하지 않아야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8세 이하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1) 매우 다량으로 복용시에만 나타나는 우발적인 과다복용의 경우, 중추신경계의 흥분 또는 억제증상, 심장 순환기계 및 호흡기계의 변화, 소화성 출혈 및 설사 등과 함께 전해질 평형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2) 중독이 일어난 경우, 약용탄 수성현탁액을 투여하거나 위세척을 실시하고, 전해질 평형을 유지하며,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9.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도록 주의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하도록 한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