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오콜치코시드, 분량 : 4,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안전청고시제1998-127호, 성분정보 : , 비고 :
무정형에스신, 분량 : 2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안전청고시제1998-127호, 성분정보 : , 비고 :
최대 연속 투여일은 7일이며 권장용량을 초과한 용량이나 장기간 사용은 피해야 한다. 16세 미만 소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1) 이 약의 주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근위축, 이완성마비, 신병증, 신부전, 위장관 궤양 환자 3) 임신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심질환 환자 3. 이상반응 1) 소화기계 : 상용량에서 구역, 구토, 복통, 설사가 나타날 수 있다. 2) 고용량에서 혈뇨와 결뇨가 나타나는 신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더 심각한 위장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3) 약물투여후 설사가 나타나면 감량한다. 4. 일반적주의 전임상시험 결과, 사람이 1일 2회, 1회 8mg 용량을 경구투여했을 때의 노출과 근접한 농도에서 티오콜키코시드의 대사체 중 하나(SL59.0955)가 염색체이수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예, 분열하는 세포에서 다른 염색체수) (6 기타항 참고) 염색체이수성은 배아/태아독성, 자연유산, 남성생식능력감퇴 및 암의 잠재적 위험인자인 최기형성의 위험인자로 간주된다. 이에 권장용량을 초과하는 용량 또는 장기간 사용은 피해야 한다.(용법용량항 참고) 임신가능성의 잠재적 위험 및 효과적인 피임방법이 뒤따라야 함을 환자에게 주의 깊게 알려야 한다. 5. 임신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부에서 티오콜키코시드 사용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배아 및 태아의 잠재적인 위험성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동물실험에서 최기형 효과가 나타났다.(6. 기타항 참고) 이 약은 임신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 금기이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항 참고) 2) 이 약은 모유중으로 이행되므로 수유부에는 투여를 중단한다. 3) 랫드에서 수행된 생식시험 결과, 임상효과를 유도하지 않는 12mg/kg까지의 용량에서 생식장애가 나타나지 않았다. 티오콜키코시드 및 그 대사체들은 사람 생식장애의 위험인자인 염색체이수성 활성을 나타낸다. 6. 기타 <약리학적 특성> 1) 약물동태학적 특성 2) 전임상자료 티오콜키코시드는 랫드에서 2mg/kg/day 용량 이하로 반복투여했거나 영장류에서 2.5mg/kg/day 용량 이하로 반복투여했을 때 랫드 및 영장류 둘 다 6개월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영장류에서 근육주사경로로 4주간 0.5mg/kg/day 용량으로 반복투여했을 때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고용량의 티오콜키코시드는 개에서 구토를, 랫드에서 설사를, 설치류 및 비설치류에서 경련을 유도하였다. 티오콜키코시드를 반복투여했을 때, 경구투여경로에서 위장관계장애(장염, 구토)를, 근육투여경로에서 구토를 유도하였다. 티오콜키코시드는 복귀돌연변이 시험, 체외염색체이상시험 및 체내 소핵시험에서 유전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글루코콘쥬게이션된 주요 대사체인 SL18.0740은 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유전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체외 소핵시험(사람 림프구 사용) 및 체내 소핵시험에서 유전자 변이가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염색체이수성 특성을 제시한다. SL18.0740의 염색체이수성 효과는 치료용량에서 사람혈장에서 얻어진 농도보다 더 높은 시험관 내(in vitro) 시험에서의 농도와 생체 내(in vivo) 시험에서의 AUC 혈장 노출에서 얻어졌다. 경구투여 후 주로 형성되는 아글리콘 대사체(3-demethylthiocolchicine-SL59.0955)는 체외 소핵시험(사람 림프구 사용) 및 체내 소핵시험에서 유전자 변이가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염색체이수성 특성을 제시한다. SL59.0955의 염색체이수성 효과는 경구로 8mg을 일일 2회 투여한 치료용량에서 사람혈장에서 얻어진 농도와 근접한 시험관 내(in vitro) 시험에서의 농도 및 생체 내(in vivo) 시험에서의 노출에서 얻어졌다. 세포분열에서 염색체이수성 효과는 홀배수체세포를 야기한다. 염색체이수성은 염색체수 수정 및 이형접합성 손실로, 생식세포에 대한 영향으로 최기형성, 배아독성/자연유산, 남성 생식능력 감퇴의 위험인자로 인식되며, 체세포에 대한 영향으로 암의 잠재적인 위험 인자로 인식된다. 근육주사 투여 후 아글리콘 대사체의 존재(3-dimethylthiocolchicine-SL59.0955)는 평가되지 않았다. 랫드에서 티오콜키코시드를 일일 12mg/kg으로 경구투여했을 때 생식·발생독성을 유발한다(성장지연, 태아사망, 성별분포비율 장애). 독성효과가 없는 용량은 일일 3mg/kg이었다. 토끼에서 티오콜키코시드는 일일 24mg/kg부터 모태독성을 유발했으며, 경미한 기형이 관찰되었다(갈비뼈과잉, 뼈형성지연). 랫드에서 수행된 생식능력 시험 결과, 임상적 효과를 유도하지 않은 용량단위인 일일 12mg/kg까지의 용량에서 생식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티오콜키코시드 및 그 대사체는 서로 다른 농도 단위에서 사람 생식능 장애의 위험인자로 인식되는 염색체이수성 활성을 나타냈다. 잠재적인 발암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