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미사르탄, 분량 : 4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EP, 성분정보 : , 비고 :
암로디핀베실산염, 분량 : 13.87,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EP, 성분정보 : , 비고 :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개개의 성분(암로디핀 또는 텔미사르탄)으로 용량을 조절할 것이 권장되나, 다음과 같이 개개의 성분에 대한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이 약으로 바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약과 같이 레닌-안지오텐신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을 임부에 투여하는 경우 자라나는 태아 또는 신생아에게 병적 상태 및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임신 2기 3개월 및 3기 3개월 중의 이러한 약물의 사용은 저혈압, 신생아 두개골 형성 저하증, 무뇨증,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인 신부전 및 사망을 포함한 태아 또는 신생아의 손상과 관련성이 있다. 태아의 신기능의 저하가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는 양수과소증이 보고된 바 있으며, 양수과소증은 태아의 사지연축, 두개안면기형, 폐의 형성저하증과 관련성이 있다. 미숙, 자궁내 성장 지연, 동맥관열림증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 약 노출에 의한 것인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임신이 진단된 경우에는 가능한 빨리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주성분 또는 디히드로피리딘계 유도체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임부(임신 2기 및 3기)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3) 수유부 4) 담도폐쇄성 질환자 5) 중증의 간장애 환자 6) 좌심실 유출로 폐쇄 [예; 높은 등급(high grade)의 대동맥협착] 7) 중증의 저혈압 환자 8) 쇽 환자(심장성 쇼크 포함) 9) 급성 심근경색 이후 혈류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심부전 환자 10) 이 약의 첨가제에 대해 불내성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 11) 당뇨병이나 중등도~중증의 신장애 환자(사구체여과율 <60mL/min/1.73m2)에서 알리스키렌 함유제제와의 병용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레닌-안지오텐신계를 저해하는 혈압강하제는 효과가 없으므로 이 약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2) 동맥판 또는 승모판협착증 환자나 폐쇄성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 다른 혈관이완제와 마찬가지로 동맥판 또는 승모판협착증 환자나 폐쇄성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한다. 3) 간장애 환자 암로디핀은 간에서 광범위하게 대사되며 텔미사르탄은 거의 대부분 담즙으로 배설된다. 따라서 담즙 정체, 담도폐쇄성 질환이 있는 환자나 간장애 환자의 경우 간 청소율 감소를 예상할 수 있다. 간기능 장애 환자에서 암로디핀의 반감기가 연장되며 AUC 수치가 더 높게 나타났다(권장 용량은 아직 확립되지 않음). 따라서 경증 또는 중등증의 간기능 장애 환자에는 주의하여 투여해야 하며, 1일 1회 텔미사르탄 40밀리그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4) 활동성 위 또는 십이지장궤양 등 위장관계 질환 환자 텔미사르탄 투여시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위약 투여시보다 더 자주 나타났다. 위장관 출혈이 임상시험에서 드물게 관찰된 바 있으며 대부분 위장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초기에 나타났다. 따라서 위장관계 질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할 때는 주의하여야 한다. 5) 신혈관 고혈압 환자 좌우 양쪽의 신동맥협착증이나 한쪽 신장만 기능하는 경우의 신동맥협착증이 있는 환자를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로 치료할 경우에는 중증의 저혈압이나 신부전의 위험이 증가된다. 양쪽 또는 한쪽의 신동맥협착증이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할 경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제와 마찬가지로 혈청 크레아티닌 또는 혈중 요산질소의 상승이 예측된다. 6) 투석을 해야 하는 신부전 환자 7) 고령자 고령 환자에서의 암로디핀의 용량을 증량할 경우에는 주의하여야 한다(‘용법·용량’ 항 참조). 8)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의 이중차단 :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ACE억제제, 또는 알리스키렌 등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약제와의 병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4. 이상반응 안전성 프로파일 요약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어지러움 및 말초부종이며, 중대한 이상반응 실신은 드물게 보고될 수 있다(1,000명 환자 당 1건 이하). 이 약에 대한 안전성 및 내약성은 3,500명 이상의 환자가 참여한 다섯 개의 비교 임상을 통해 평가되었으며, 이 중 2,500명이 넘는 환자가 텔미사르탄과 암로디핀을 병용투여 받았다. 임상시험에서 텔미사르탄과 암로디핀의 병용투여 시 단일의 이상반응과 비교하였을 때 추가적인 이상반응이 확인되지 않았다. 암로디핀 단일제에 대한 용량 의존적 이상반응으로 알려진 말초부종은 암로디핀만 복용한 환자들에서보다 암로디핀/텔미사르탄 투여군에서 전반적으로 더 낮은 발생율로 관찰되었다. 비록 임상시험 또는 시판 후 기간 동안에 관찰되지 않았을지라도, 단일제(텔미사르탄 또는 암로디핀)에서 과거에 보고된 이상반응은 이 약에서도 잠재적인 이상반응일 수 있다. 추가적인 안전성 정보는 텔미사르탄 또는 암로디핀 단일제 허가사항을 참조한다. 이상반응 요약 텔미사르탄/암로디핀 복합제 또는 단일제(텔미사르탄 또는 암로디핀)의 임상시험 또는 시판 후 경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을 MedDRA에 따라 분류하여 아래 표로 나타내었다. 발현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1/10), 흔하지 않게 (≥1/1,000, <1/100), 드물게 (≥ 1/10,000, <1/1,000), 매우 드물게 (≤1/10,000), 알 수 없음(사용 가능한 자료로부터 추정할 수 없음). 기관계명 발현 빈도 이상반응 복합제 텔미사르탄 암로디핀 감염 및 기생충 감염 흔하지 않게 상기도감염(인두염 및 부비동염 포함), 요로감염(방광염 포함) 드물게 방광염 패혈증(치명적 결과 포함) 혈액 및 림프계 장애 흔하지 않게 빈혈 드물게 혈소판감소증, 호산구증가증 매우 드물게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면역계 장애 드물게 과민성, 아나필락시스반응 매우 드물게 과민성 대사 및 영양 장애 흔하지 않게 고칼륨혈증 드물게 저혈당증(당뇨 환자에서) 저나트륨혈증 매우 드물게 고혈당증 정신 장애 흔하지 않게 우울증, 불면증 기분변화, 우울증, 불안, 불면증 드물게 우울증, 불안, 불면증 불안 혼돈상태 신경계 장애 흔하게 어지러움 어지러움, 졸림, 두통 흔하지 않게 졸림, 편두통, 두통, 감각이상 실신 실신, 감각이상, 감각저하, 미각이상, 떨림 드물게 실신, 말초신경병증, 감각저하, 미각이상, 떨림 매우 드물게 추체외로장애, 근육긴장항진증, 말초신경병증 시각 장애 흔하게 시각장애(복시 포함) 흔하지 않게 시각장애 드물게 시각장애 귀 및 미로 장애 흔하지 않게 현기증 현기증 이명 심장 장애 흔하게 두근거림 흔하지 않게 서맥, 두근거림 서맥 서맥 드물게 빈맥 매우 드물게 심근경색, 심실성빈맥, 부정맥, 심방세동 심혈관계 장애 흔하게 홍조 흔하지 않게 저혈압, 기립성저혈압, 홍조 저혈압, 기립성저혈압 저혈압 매우 드물게 혈관염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흔하지 않게 기침 호흡곤란 호흡곤란, 비염, 기침 매우 드물게 간질성폐질병1) 위장관계 장애 흔하게 배변습관변화(설사 및 변비 포함), 복통, 소화불량, 구역 흔하지 않게 복통, 설사, 구역 위창자내공기참, 복통, 설사, 구토, 소화불량 구토, 구강건조 드물게 구토, 잇몸비대, 소화불량, 구강건조 복부불쾌감, 구강건조 매우 드물게 췌장염, 위염, 잇몸비대 간담도 장애 드물게 간기능이상, 간장애2) 매우 드물게 간염, 황달, 간효소증가(대부분 담즙정체와 함께 나타남)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흔하지 않게 가려움증 다한증, 발진, 가려움증 탈모, 자색반, 피부변색, 다한증, 발진, 가려움증 드물게 습진, 홍반, 발진 혈관부종(치명적 결과 수반), 독성피부발진, 약물발진, 두드러기, 습진, 홍반 매우 드물게 혈관부종, 다형성홍반, 두드러기, 박탈피부염, 스티븐스-존슨증후군, 광과민반응 알 수 없음 독성표피괴사용해 근골격 및 결합조직 장애 흔하게 관절종창, 근육경련 흔하지 않게 관절통, 근육경련(다리 경련), 근육통 요통, 근육경련, 근육통 관절통, 요통, 근육통 드물게 요통, 사지통증(다리통증) 힘줄통증(건염과 같은 증상들), 관절통, 사지통증 신장 및 요로 장애 흔하지 않게 신기능장애(급성신부전 포함) 배뇨질환, 빈뇨증, 야간뇨 드물게 야간뇨 생식계 및 유방 장애 흔하지 않게 발기기능장애 남성의 여성형유방, 발기기능장애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매우 흔하게 부종 흔하게 말초부종 무력증, 피로 흔하지 않게 무력증, 흉통, 피로, 부종 무력증, 흉통 통증, 흉통, 병감(권태) 드물게 병감(권태) 인플루엔자유사질병 임상 검사 흔하지 않게 간효소증가 혈액크레아티닌증가 체중증가, 체중 감소 드물게 혈액요산증가 혈액크레아티닌포스포키나제증가, 헤모글로빈감소, 간효소증가, 혈액요산증가 1) 텔미사르탄의 시판 후 경험에서 간질성폐질병(주로 간질성폐렴 및 호산구성폐렴)이 보고되었다. 2) 텔미사르탄의 간기능이상 및 간장애 시판 후 이상반응은 이러한 이상반응이 발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 환자에서 대부분 발생하였다.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6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3.28%(20/610명, 총 20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중대한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0.49%(3/610명, 총 3건)로 간세포암종, 뇌경색, 울혈성심부전 각 0.16%(1/610명, 1건)로 보고되었다.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0.16%(1/610명, 총 1건)로 울혈성심부전 0.16%(1/610명, 1건)가 보고되었다.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1.31%(8/610명, 총 8건)로 보고되었으며, 간세포암종, 근육골격통증, 뇌경색, 목통증, 비인두염, 상복부불쾌감, 상복부 통증, 체위성어지럼증 각 0.16%(1/610명, 1건)로 조사되었다.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0.33%(2/610명, 총 2건)로 상복부불쾌감, 체위성어지럼증 각 0.16%(1/610명, 1건)가 보고되었다. 5. 일반적 주의 1) 임신 2) 저혈압 3) 고칼륨혈증 4) 신장애 환자 5) 심근경색의 위험 또는 협심증의 증가 6) 암로디핀의 경우 혈장농도 반감기가 길어 투여를 중지한 후에도 완만한 혈압강하작용이 나타나므로, 투여 중지 후 다른 혈압강하제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용량 및 투여간격에 주의하고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 7) 심부전환자에 대한 투여 중증 심부전(NYHA class III 및 IV 등급) 환자에 대한 암로디핀의 장기간, 위약대조시험(PRAISE-2)에서 보고된 폐부종 발생률은 위약 군보다 암로디핀 투여 군에서 더 높았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투여하여야 한다. 암로디핀을 포함한 칼슘채널차단제는 향후 심혈관계 사건 및 사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울혈성 심부전 환자에게 주의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8) 이 약은 소르비톨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유전적으로 과당 불내성 환자에는 적합하지 않다. 9) 당뇨 10) 운전 및 기계조작에 대한 영향 11) 허혈성 심장질환 1) 암로디핀 및 텔미사르탄 병용시 유의한 약동학적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약과 다른 약물과의 약물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2) 텔미사르탄의 약물 상호 작용 3) 암로디핀의 약물 상호 작용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 텔미사르탄과 같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의 사용은 임신 1기 3개월 동안은 권장되지 않으며, 2기 및 3기 3개월 동안은 금지된다. 이 약을 임신중인 여성에 투여한 적절한 자료는 없다. 비임상자료에서 기형 발생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태자독성은 나타났다. 임신 2기 및 3기 3개월 동안,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의 노출은 인체 태자독성 (신장기능 감소, 양수감소증, 두개골 골화 지연)과 신생아독성(신부전, 저혈압, 고칼륨혈증)을 유발한다. 임신 기간 중에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투여를 시작해서는 안 된다. 만약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의 지속적 치료가 필수적이지 않다면, 임신을 계획중인 환자는 임부의 사용에 대해 안전성 프로파일이 확립된 다른 고혈압 치료제로 대체하여야 한다. 임신이 진단된 경우에는 가능한 빨리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의 치료를 중단해야 하며, 만약 적절하다면, 다른 치료제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만약 임신 2기 3개월 이후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에 노출된 경우, 신장 기능과 두개골 초음파 검사가 권장된다.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를 복용했던 임부의 영아는 반드시 저혈압, 빈뇨, 고칼륨혈증 등의 발현 가능성을 긴밀하게 관찰하여야 한다. 암로디핀의 임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인체에 대한 최대 권장 용량의 50배에 해당하는 용량의 암로디핀을 투여한 랫드에서 분만지연 및 연장이 나타났다. 동물실험에서는 암로디핀 고용량에서 생식독성이 관찰된 바 있다. 2) 수유부 : 사람에 대한 투여 경험에서 암로디핀이 사람 모유중으로 이행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텔미사르탄이 사람의 모유 중으로 이행되는지의 여부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동물실험에서는 텔미사르탄이 유즙으로 분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수유하는 동안에는 이 약을 투여하지 않아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항 참조) 3) 생식능 : 사람에서 이 약 및 개별 주성분의 생식능은 연구된 바 없다. 텔미사르탄 및 암로디핀의 병용투여한 별도의 생식독성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비임상시험에서 암컷 및 수컷의 수태능에 대한 텔미사르탄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칼슘채널차단제를 투여 받은 일부 환자에서 정자머리 부분의 가역적인 생화학적 변화가 보고되었다. 암로디핀이 생식능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에 관한 임상 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한 건의 랫드 시험에서 수컷의 수태능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이 발견되었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이 약은 만18세 이하 소아환자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으므로, 투여가 권장되지 않는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을 고령자에 투여시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나, 일부 고령자에서 보다 민감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한다. 75세 이상의 고령자인 경우, 암로디핀의 청소율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낮은 용량으로 치료를 시작하며, 용량을 서서히 증량한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1) 텔미사르탄 2) 암로디핀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12. 의약품동등성시험정보주1
6. 상호작용
가. 텔미사르탄 시험약 텔미스타엑스정80/5밀리그램(동광제약(주))과 대조약 트윈스타정80/5밀리그램[한국베링거인겔하임㈜]을 2x4 반복교차시험으로 각 1정씩 건강한 성인에게 공복 시 단회 경구투여하여 30명의 혈중 텔미사르탄을 측정한 결과, 대조약 Cmax의 시험대상자 개체 내 변동계수가 44.3%이었다. 비교평가항목치(AUCt)를 로그변환하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 0.8에서 log 1.25 이내이며, 비교평가항목치(Cmax)를 로그변환하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평균치 차는 log 0.8에서 log 1.25 이내로서, 변동계수 44.3%에 해당하는 Cmax의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 0.7249에서 log 1.3795 이내이므로,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 제17조제4항에 따라 생물학적으로 동등함을 입증하였다. 구분 비교평가항목 참고평가항목 AUC0~72hr (ngㆍhr/mL) Cmax (ng/mL) Tmax (hr) t1/2 (hr) 대조약 트윈스타정80/5밀리그램 [한국베링거인겔하임㈜] 3871±2474 704.5±447.6 0.75 (0.50~4.00) 23.55±10.90 시험약 텔미스타엑스정80/5밀리그램 [동광제약(주)] 3774±2538 600.9±410.6 1.25 (0.50~4.00) 20.35±8.25 기준 90% 신뢰구간* log 0.9070 ~ 1.0248 log 0.7322 ~ 0.9680 - - AUCt log 0.8 ~ log 1.25 Cmax log 0.7249 ~ log 1.3795 (변동계수** 44.3%) 로그변환한 평균치의 차 log 0.9641 log 0.8419 - - (AUCt, Cmax, t1/2 ; 평균값 ± 표준편차, Tmax ; 중앙값(범위), n = 30) AUCt : 투약시간부터 최종혈중농도 정량시간 t까지의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 Cmax : 최고혈중농도 Tmax :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 t1/2 : 말단 소실 반감기 * 비교평가항목치를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 ** 대조약 Cmax의 시험대상자 개체 내 변동계수(%)= 나. 암로디핀 시험약 텔미스타엑스정80/5밀리그램[동광제약(주)]과 대조약 트윈스타정80/5밀리그램[한국베링거인겔하임㈜]을 2x2 교차시험으로 각 1정씩 건강한 성인에게 공복 시 단회 경구투여하여 30명의 혈중 암로디핀을 측정한 결과, 비교평가항목치(AUCt, Cmax)를 로그변환하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 0.8에서 log 1.25 이내로서 생물학적으로 동등함을 입증하였다. 구분 비교평가항목 참고평가항목 AUC0~72hr (ngㆍhr/mL) Cmax (ng/mL) Tmax (hr) t1/2 (hr) 대조약 트윈스타정80/5밀리그램 [한국베링거인겔하임㈜] 110.3±23.75 3.359±0.509 5.00 (5.00~6.00) 36.27±6.57 시험약 텔미스타엑스정80/5밀리그램 [동광제약(주)] 107.2±22.79 3.225±0.580 5.00 (4.00~7.00) 37.67±8.18 90% 신뢰구간* (기준 : log 0.8 ~ log 1.25) log 0.9403 ~ 1.0116 log 0.9153 ~ 1.0025 - - (AUCt, Cmax, t1/2 ; 평균값 ± 표준편차, Tmax ; 중앙값(범위), n = 30) AUCt : 투약시간부터 최종혈중농도 정량시간 t까지의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 Cmax : 최고혈중농도 Tmax :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 t1/2 : 말단 소실 반감기 * 비교평가항목치를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 주1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 제7조제2항에 따라, 시험약 텔미스타엑스정40/5밀리그램(동광제약㈜) 및 텔미스타엑스정40/10밀리그램(동광제약㈜)은 대조약 텔미스타엑스정80/5밀리그램(동광제약㈜)과의 비교용출시험자료를 제출하였으며, 대조약과 용출양상이 동등하였다. 이에 따라 해당자료로서 생물학적동등성을 입증하였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
· mlodipine
임부에 대한 안전성 미확립. 인체에 대한 최대 권장 용량의 50배에 해당하는 용량의 암로디핀을 투여한 랫드에서 분만지연 및 연장이 나타남.
· elmisartan
임신 2기 및 3기에 투여시 태아 및 신생아에 저혈압, 신생아 두골형성부전, 무뇨, 신부전, 양수과소증(태아사지경축, 두개안면기형, 폐형성저하증과 관련) 및 사망과 관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