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포르민염산염, 분량 : 100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다파글리플로진프로판디올수화물, 분량 : 12.3,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에보글립틴타르타르산염, 분량 : 6.87,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다른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다가 이 약으로 전환한 환자에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특별히 평가되지 않았다. 혈당 조절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서는 어떠한 변화도 주의 깊은 모니터링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서방성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 약은 쪼개거나 부수거나 갈거나 씹지 말고 통째로 삼켜야 한다. 이 약이 불완전하게 용해되어 변으로 배설될 수 있다. 대변으로 배설된 물질에 약물의 주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만약 환자가 이 약이 대변 중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을 반복적으로 보고할 경우, 의료진은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고 있는지 평가하여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5. 일반적 주의 항 참조). 특수 집단 신장애 이 약의 유효성 및 안전성은 신기능에 따라 다르며, 신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 약 투여 전 및 투여 후 주기적으로 신장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권장된다. 신장애 환자에서 정상 신기능 환자에 비해 유효성분의 증가된 혈중농도가 지속될 우려가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며 투여한다. 경증의 신장애 환자에 대한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추정 사구체여과율(eGFR)이 45mL/min/1.73m2 이상 60mL/min/1.73m2 미만이고 환자에서 내약성이 우수하고 유산산증 위험을 증가시킬 만한 다른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 이 약의 구성성분 중 메트포르민염산염의 용량 조절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서방성 메트포르민염산염의 시작용량은 1일 1회 500mg 또는 750mg 이므로, 이 약으로 투여를 시작해서는 안된다. 메트포르민염산염의 1일 최대 용량은 1000mg 이다. 추정 사구체여과율(eGFR)이 45mL/min/1.73m2 미만으로 저하될 경우 이 약 투여를 즉시 중단하여야 한다. 신기능은 3~6개월마다 평가되어야 한다.
메트포르민 드물게 심한 유산산증(Lactic acidosis) 또는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유산산증으로 인한 사망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주성분 또는 첨가제에 대한 과민반응 병력이 있는 환자 (디펩티딜펩티다제-4(DPP-4) 저해제 또는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2(SGLT2) 저해제 또는 비구아니드계 약물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또는 혈관부종 병력이 있는 환자를 포함한다) 2) 중등도(Stage3b) 이상의 신장애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45mL/min 또는 사구체 여과율<45mL/min/1.73m2), 투석 중인 환자, 탈수, 심각한 감염, 심혈관계 허탈(쇽), 급성 심근경색, 패혈증과 같은 신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급성 상태 3) 급성 및 불안정형 심부전 환자 4) 방사선 요오드 조영물질을 정맥내 투여하는 검사(예: 정맥요로조영술, 정맥담관조영술, 혈관조영술, 조영제를 사용한 컴퓨터단층촬영술 등)를 받는 환자(급성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고, 이 약을 투여 받는 환자에서는 유산산증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가 계획된 환자 중 사구체여과율>60mL/min/1.73m2인 경우는 적어도 검사 시점 또는 사전에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하고, 48시간 이내에는 재투여가 불가능하다. 신기능 재평가 후 추가 손상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명된 이후에만 치료를 재개한다. 중등도 신장애 환자의 경우(사구체여과율 45~60mL/min/1.73m2), 이 약은 요오드화 조영제 투여 48시간 전 반드시 중단되어야 하며 48시간 이내에는 재투여가 불가능하다. 신기능 재평가 후 추가 손상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명된 이후에만 치료를 재개한다.) 5) 제1형 당뇨병, 유산산증, 혼수를 수반하거나 그렇지 않은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포함하는 급성 또는 만성 대사성산증 환자 및 케톤산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제1형 당뇨병과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인슐린으로 치료한다]. 6) 당뇨병성 전혼수 7) 중증 감염증 또는 중증의 외상성 전신장애 환자에서는 이 약의 치료는 일시적으로 중지되어야 하고 환자의 경구적 섭취가 회복되고 신기능이 정상으로 판명될 때 치료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8) 수술 과정의 경우에(음식과 수액의 섭취에 제한이 없는 가벼운 수술은 제외) 이 약은 수술 48시간 전에 일시적으로 중지되어야 하고, 최소 48시간이 지난 후 신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명된 후에 치료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9) 영양불량상태, 기아상태, 쇠약상태, 뇌하수체기능부전 또는 부신기능부전환자 10) 간기능 장애(손상된 간 기능은 유산산증의 몇몇 경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임상적 또는 실험실적으로 간 질환의 증거가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의 투여를 피해야 한다.), 호흡기 부전, 급성 심근경색, 쇼크와 같이 조직 저산소증을 유발할 수 있는 급성 또는 만성질환, 과도한 알코올 섭취자, 탈수증, 설사, 구토 등의 위장장애 환자 11) 태반 기능 부전, 자간전증 및 자궁 내 성장지연 위험이 있는 임신부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항 참조)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심부전 환자 : 이 약의 주성분인 에보글립틴은 New York Heart Association(NYHA) functional class I의 심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투여 경험이 제한적이므로, 이들 환자에서는 신중히 사용하여야 한다. NYHA functional class Ⅱ-IV 환자에서 에보글립틴의 임상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 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2) 체액량 감소 및/또는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의 투여 3) 급성 췌장염 : 이 약의 주성분인 에보글립틴을 복용한 환자에서 급성 췌장염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이고 중증의 복통과 같은 급성 췌장염의 특징적인 증상을 환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만약 투여 시작 후 췌장염이 의심될 경우 에보글립틴의 투여를 중단해야 하며, 다시 투여해서는 안 된다. 췌장염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주의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4) 다음의 환자 또는 상태(유산산증과 저혈당의 가능성이 있다.) 5) 이 약은 황색 4호(타르트라진)과 황색5호(선셋옐로우 FCF, Sunset Yellow FCF)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들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4. 이상반응 1) 에보글립틴/다파글리플로진/메트포르민의 병용 이상반응명 에보글립틴 5mg N=141(%) 위약 N=141(%) 각종 위장관 장애 변비(Constipation) 3(2.13%) 1(0.71%) 만성 위염(Chronic gastritis) 3(2.13%) 0(0.00%) 대장 용종(Large intestine polyp) 3(2.13%) 0(0.00%) 위 궤양(Gastric ulcer) 2(1.42%) 1(0.71%) 위 식도 역류 질환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2(1.42%) 0(0.00%) 치핵(Haemorrhoids) 2(1.42%) 0(0.00%) 소화 불량(Dyspepsia) 1(0.71%) 2(1.42%) 감염 및 기생충 감염 질 감염(Vaginal infection) 3(2.13%) 0(0.00%) 대상 포진(Herpes zoster) 2(1.42%) 1(0.71%) 방광염(Cystitis) 2(1.42%) 0(0.00%)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관절통(Arthralgia) 2(1.42%) 3(2.13%) 근육통(Myalgia) 2(1.42%) 1(0.71%) 회전 근개 증후군 (Rotator cuff syndrome) 2(1.42%) 2(1.42%) 척추 내 추간판 장애 (Intervertebral disc disorder) 0(0.00%) 2(1.42%) 각종 눈 장애 당뇨성 망막 병증(Diabetic retinopathy) 0(0.00%) 2(1.42%)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인대 염좌(Ligament sprain) 2(1.42%) 1(0.71%) 발 골절(Foot fracture) 0(0.00%) 2(1.42%) 각종 신경계 장애 어지러움(Dizziness) 2(1.42%) 1(0.71%) 두통(Headache) 1(0.71%) 2(1.42%) 생식계 및 유방 장애 유방 통증(Breast pain) 0(0.00%) 2(1.42%)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소양증(Pruritus) 0(0.00%) 2(1.42%) 귀 및 미로 장애 감각 신경 난청 (Deafness neurosensory) 2(1.42%) 0(0.00%) 각종 혈관 장애 고혈압(Hypertension) 1(0.71%) 2(1.42%) 이상반응명 다파글리플로진 10mg N=98(%) 위약 N=99(%) 감염 및 기생충 감염 대상 포진(Herpes zoster) 2(2.04%) 0(0.00%) 외음질염(Vulvovaginitis) 2(2.04%) 0(0.00%) 생식기 감염(Genital infection) 1(1.02%) 1(1.01%) 위장염(Gastroenteritis) 1(1.02%) 0(0.00%) 외음질 칸디다증(Vulvovaginal candidiasis) 1(1.02%) 0(0.00%) COVID-19 0(0.00%) 1(1.01%) 비인두염(Nasopharyngitis) 0(0.00%) 1(1.01%) 치주염(Periodontitis) 0(0.00%) 1(1.01%) 각종 위장관 장애 소화 불량(Dyspepsia) 2(2.04%) 1(1.01%) 설사(Diarrhoea) 2(2.04%) 0(0.00%) 위 식도 역류 질환(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1(1.02%) 0(0.00%) 대장 용종(Large intestine polyp) 1(1.02%) 0(0.00%) 복부 불편감(Abdominal discomfort) 0(0.00%) 1(1.01%) 구내염(Stomatitis) 0(0.00%) 1(1.01%) 구토(Vomiting) 0(0.00%) 1(1.01%) 임상 검사 아밀라아제 증가(Amylase increased) 2(2.04%) 1(1.01%) 리파아제 증가(Lipase increased) 1(1.02%) 2(2.02%) 혈액 요소 증가(Blood urea increased) 1(1.02%) 0(0.00%) 체중 감소(Weight decreased) 1(1.02%) 0(0.00%) 대사 및 영양 장애 저혈당증(Hypoglycaemia) 2(2.04%) 3(3.03%) 고요산 혈증(Hyperuricaemia) 0(0.00%) 1(1.01%)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등허리 통증(Back pain) 1(1.02%) 0(0.00%) 근육통(Myalgia) 1(1.02%) 0(0.00%) 회전 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1(1.02%) 0(0.00%) 관절통(Arthralgia) 0(0.00%) 1(1.01%) 골 감소증(Osteopenia) 0(0.00%) 1(1.01%) 관절 주위염(Periarthritis) 0(0.00%) 1(1.01%) 발바닥 근막염(Plantar fasciitis) 0(0.00%) 1(1.01%) 건초염(Tenosynovitis) 0(0.00%) 1(1.01%) 각종 신경계 장애 뇌허혈(Cerebral ischaemia) 1(1.02%) 0(0.00%) 미각 이상(Dysgeusia) 1(1.02%) 0(0.00%)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0(0.00%) 1(1.01%) 어지러움(Dizziness) 0(0.00%) 1(1.01%) 두통(Headache) 0(0.00%) 1(1.01%)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타박상(Contusion) 1(1.02%) 0(0.00%) 상완골 골절(Humerus fracture) 1(1.02%) 0(0.00%) 관절 탈구(Joint dislocation) 1(1.02%) 0(0.00%) 상과염(Epicondylitis) 0(0.00%) 1(1.01%)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피부염(Dermatitis) 1(1.02%) 0(0.00%) 홍반(Erythema) 1(1.02%) 0(0.00%) 지루성 피부염(Seborrhoeic dermatitis) 0(0.00%) 1(1.01%) 두드러기(Urticaria) 0(0.00%) 1(1.01%)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오한(Chills) 1(1.02%) 1(1.01%) 흉부 불편감(Chest discomfort) 0(0.00%) 1(1.01%) 각종 눈 장애 백내장(Cataract) 1(1.02%) 0(0.00%) 결막 출혈(Conjunctival haemorrhage) 0(0.00%) 1(1.01%) 굴절 장애(Refraction disorder) 0(0.00%) 1(1.01%) 신장 및 요로 장애 당뇨성 신장 병증(Diabetic nephropathy) 1(1.02%) 0(0.00%) 신 낭종(Renal cyst) 0(0.00%) 1(1.01%) 생식계 및 유방 장애 양성 전립선 과형성(Benign prostatic hyperplasia) 1(1.02%) 0(0.00%) 질 출혈(Vaginal haemorrhage) 1(1.02%) 0(0.00%) 간담도 장애 급성 담낭염(Cholecystitis acute) 1(1.02%) 0(0.00%) 각종 혈관 장애 고혈압(Hypertension) 1(1.02%) 0(0.00%)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성대구증(Sulcus vocalis) 1(1.02%) 0(0.00%) 혈관 운동성 비염(Vasomotor rhinitis) 1(1.02%) 0(0.00%) 각종 전신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0(0.00%) 1(1.01%) 불안 장애(Anxiety disorder) 0(0.00%) 1(1.01%) 불면(Insomnia) 0(0.00%) 1(1.01%) 외과적 및 내과적 시술 치아 임플란트(Dental implantation) 0(0.00%) 1(1.01%) 각종 심장 장애 두근거림(Palpitations) 0(0.00%) 1(1.01%) 각종 내분비 장애 바제도병(Basedow's disease) 0(0.00%) 1(1.01%) 2) 에보글립틴 이상반응명 에보글립틴 2.5mg N=39 에보글립틴 5mg N=44 에보글립틴 10mg N=38 위약 N=36 위염(gastritis) 2(5.1%) 1(2.3%) 0(0.0%) 0(0.0%) 치주염(periodontitis) 0(0.0%) 0(0.0%) 2(5.3%) 0(0.0%) 코인두염 (nasopharyngitis) 1(2.6%) 4(9.1%) 1(2.6%) 1(2.8%) 발기부전 (erectile dysfunction) 0(0.0%) 0(0.0%) 2(5.3%) 0(0.0%) 이상반응명 에보글립틴 5mg N=78 위약 N=80 소화불량(dyspepsia) 0(0.0%) 3(3.8%) 코인두염(nasopharyngitis) 5(6.4%) 5(6.3%) 관절통(arthralgia) 3(3.8%) 0(0.0%) 이상반응명 에보글립틴 5mg N=111 시타글립틴 100mg N=108 소화불량(dyspepsia) 5(4.5%) 3(2.8%) 설사(diarrhoea) 4(3.6%) 1(0.9%) 코인두염(nasopharyngitis) 8(7.2%) 9(8.3%) 가려움증(pruritus) 4(3.6%) 1(0.9%) 발현빈도 기관계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0.09%(3/3,445명, 3건)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0.61%(21/3,445명, 24건) 흔하지 않게 (0.1~1% 미만) 각종 위장관 장애 - 오심 드물게 (0.01~0.1%미만) 각종 신경계 장애 - 두통, 어지러움, 이상 후각 각종 위장관 장애 소화 불량 변비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 근육통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두드러기, 발진 임상 검사 - 간 기능 시험 증가, 체중 감소 각종 면역계 장애 - 약물 과민성 대사 및 영양 장애 고혈당 고삼투성 비케톤성 증후군 고혈당 고삼투성 비케톤성 증후군 각종 정신 장애 - 불면 각종 심장 장애 두근거림 두근거림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 비출혈 신장 및 요로 장애 - 신 기능 장애 생식계 및 유방 장애 - 성 기능 장애 3) 다파글리플로진 기관계 매우 흔하게 흔하게* 흔하지 않게** 드물게 매우 드물게 감염 - 외음부질염, 귀두염 및 관련 생식기 감염*,b,c 요로 감염b 진균감염** - 회음부 괴저(푸르니에 괴저)b 대사 및 영양 저혈당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과 함께 사용할 때)b - 체액량 감소b,e, 구갈** 당뇨병성 케톤산증 (제2형 당뇨병 환자인 경우)b,f - 신경계 - 현기증 - - - 위장관 이상 - - 변비** 구강건조** - -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 요통 - - - 신장 및 비뇨기계 - 배뇨통 다뇨*,g 야간뇨** - 간질성 신세뇨관염 생식기계 및 유방 - - 외음부 가려움증** 생식기 가려움증** - - 실험실적 수치 - 헤마토크릿 상승h 치료 초기 신장 크레아티닌 청소율 감소b 이상지질혈증i 치료 초기 혈중 크레아티닌 상승**,b 혈중 요소 상승** 체중 감소** - -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중대한 이상사례 1.59%(48/3,027명, 52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0.17%(5/3,027명, 5건) 드물게 (0.01~0.1% 미만) 위장관계 장애 위식도역류성질환, 상복부통, 장게실, 장천공, 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 대사 및 영양 질환 고혈당증 고혈당증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감각이상, 뇌경색, 신경압박 - 감염 및 침습 요로감염, 부비동염, 게실염, 골반염, 폐렴, 폐결핵 요로감염, 급성신우신염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무력증, 통증 -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인대염좌, 도로교통사고, 약물중독, 발목골절, 손 골절, 장골골절, 반월판손상, 흉추골절, 정강뼈골절 - 눈장애 각막염 - 호흡기계 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객혈 - 혈관 질환 뇌출혈, 말초 동맥 폐색 - 심장 장애 협심증, 심근경색증 - 간 및 담도계 질환 담관결석, 담관염, 알코올성간경화 - 정신질환 우울증, 자살시도 - 신생물 위선암 - 방어기전 장애 아나필락시스반응 - 흔하지 않게 (0.1~1% 미만) 감염 및 침습 급성신우신염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가슴통증 -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15.73% (476/3,027명, 624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3.67% (111/3,027명, 129건) 드물게 (0.01~0.1%미만) 위장관계 장애 만성위염, 장게실, 위창자내공기참, 잦은장운동, 위장염, 대장용종, 장천공, 명치불편, 기능성위장장애, 미란성위염, 잇몸장애, 잇몸통증, 치질, 열공탈장, 과민성대장증후군, 흑색변, 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위염, 위장장애, 복부불편함, 복통, 식도염, 하복부통, 잦은장운동 비뇨기계 질환 긴박뇨, 당뇨병성신증, 과민성방광, 미세알부민뇨, 복압성요실금, 배뇨주저, 요로결석 소변이상, 긴박뇨 임상 검사 혈중젖산증가, 림프구감소증 체중증가, 혈중젖산증가 대사 및 영양 질환 비타민D결핍 고혈당증, 식욕증가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미각이상, 졸림, 긴장성두통, 수근관증후군, 뇌경색, 당뇨병성신경병증, 의식불명, 신경압박, 신경통, 말초신경병증, 수면장애, 실신, 진전 미각이상 감염 및 침습 기관지염, 대상포진, 부비동염, 편도선염, 게실염, 단순포진, 다래끼, 관절농양, 후두염, 중이염, 골반염, 치관주위염, 폐렴, 폐결핵, 비염, 발톱무좀 단순포진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부종, 발열, 이물감, 얼굴부종, 얼굴통증, 온감, 독감유사증후 가슴통증, 피로, 통증, 부종, 이물감 생식기능 장애 유방종괴, 발기기능장애, 양성전립선비대증, 유방통증, 생식기발진, 월경과다, 생식기부종, 자궁출혈, 질출혈, 외음부질불편감 월경불순, 생식기부종, 외음부질불편감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탈모, 피부염, 피부건조증, 알레르기피부염, 접촉성피부염, 당뇨병성족부궤양, 발한 이상 습진, 동전습진, 습진, 과각화증, 손발톱색소침착, 피부병변 두드러기, 식은땀, 피부염, 피부건조증, 과각화증, 피부병변 근육-골격계 장애 옆구리통증, 근섬유통, 사지불편감, 근경련, 근골격불편, 골감소증 근위약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타박상, 도로교통사고, 약물중독, 발목골절, 안와골절, 족부골절, 위장관내이물, 손 골절, 장골골절, 열상, 인대파열, 사지손상, 반월판손상, 피부찰과상, 힘줄파열, 흉추골절, 정강뼈골절, 치아손상 - 눈장애 건성안, 안통, 망막장애, 시력저하, 안검염, 백내장, 결막부종, 알레르기결막염, 결막염, 복시, 눈꺼풀부종, 각막염, 고안압증, 시각장애, 유리체부유물 - 호흡기계 질환 입인두통, 알레르기비염, 천식, 만성폐쇄성질환, 발성장애, 비출혈, 객혈, 객담, 수면무호흡증후군, 천명 - 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뇌출혈, 홍조, 말초 동맥 폐색, 말초한랭, 정맥류, 혈관성두통 기립성저혈압 심장 장애 협심증, 심방세동, 이완기장애, 심근경색증 - 정신질환 불안장애, 유뇨증, 우울증, 환청, 수면장애, 자살시도 불안장애, 유뇨증 간 및 담도계 질환 담관결석, 담관염, 알코올성간경화, 간낭종 - 청력 및 전정기관 장애 현훈 - 신생물 위선암, 항문생식기사마귀, 위선종, 신경종, 상세불명의뇌하수체신생물 상세불명의뇌하수체신생물 내분비 질환 남성생식선저하증, 갑상선낭종, 갑상선종괴 - 방어기전 장애 아나필락시스 반응, 음식알레르기 음식알레르기 혈액 및 림프계 장애 적혈구증다증 - 흔하지 않게 (0.1~1% 미만) 위장관계 장애 소화불량, 오심, 설사, 위염, 구토, 위장장애, 복부불편함, 복통, 위식도역류성질환, 식도염, 하복부통, 상복부통, 장염, 위궤양 소화불량, 오심, 설사, 구토 비뇨기계 질환 요저류, 소변이상 요저류 임상 검사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증가,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증가, 체중증가 - 대사 및 영양 질환 식욕감소, 다음증, 고혈당증, 식욕증가 식욕감소, 다음증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두통, 감각저하, 감각이상 두통 감염 및 침습 비인두염, 상기도감염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무력증, 가슴통증, 피로, 가슴불편함, 통증, 말초부종, 전신부종, 허기 무력증, 허기 생식기능 장애 질분비물, 월경불순 질분비물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가려움증, 두드러기, 식은땀 가려움증 근육-골격계 장애 관절통, 근골격통증, 사지통증, 근위약, 근육통, 골관절염 -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인대염좌 - 눈장애 당뇨병성망막병증 - 호흡기계 질환 기침, 호흡곤란 - 혈관 질환 기립성저혈압 심장 장애 두근거림 두근거림 정신질환 불면증 - 간 및 담도계 질환 지방간, 담낭용종 - 청력 및 전정기관 장애 이명 - 4) 메트포르민 시판 후 조사와 임상시험 결과에서 메트포르민염산염 서방형 정제를 투여받은 환자에서 보고된 부작용은 그 내용과 정도에 있어서 메트포르민염산염 즉시 방출형 정제를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보고된 부작용과 비슷했다.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메트포르민을 투여받을 때 나타날 수 있다.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1/10 흔하지 않게: >1/1,000, <1/100 드물게: >1/10,000, <1/1,000 매우 드물게: <1/10,000 5. 일반적 주의 1) 케톤산증 다파글리플로진을 포함한 SGLT2 저해제로 치료받은 제1형과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신속한 입원을 필요로 하는 중대한 생명을 위협하는 케톤산증 보고가 확인되었다. 다파글리플로진으로 치료받은 환자에게서 케톤산증과 관련하여 치명적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혈당수치가 250mg/dL 보다 낮더라도 다파글리플로진과 관련된 케톤산증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약으로 치료한 환자에서 중증의 대사성 산증에 일치하는 징후와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 혈당 수치와 관계없이 케톤산증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만약 케톤산증이 의심되는 경우, 이 약의 치료를 중단하고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시작해야 한다. 케톤산증의 치료는 인슐린, 체액, 그리고 탄수화물 보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많은 시판 후 보고에서, 특히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케톤산증의 유무는 즉시 확인되지 않았고, 치료의 도입이 지연되었는데, 이는 나타난 혈당 수치가 당뇨병성 케톤산증에서 일반적으로 예측되는 수치 (대부분 250mg/dL 미만)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케톤산증의 증상과 징후는 탈수 및 중증의 대사성 산증과 일치하고 오심, 구토, 식욕감소, 복통, 권태, 호흡곤란 등을 포함한다. 일부 보고에서 케톤산증을 일으키기 쉬운 요인으로 인슐린 용량 감소, 급성 열성질환, 질병 또는 수술로 인한 칼로리 섭취 제한, 인슐린 결핍을 일으키는 췌장장애(예: 제1형 당뇨병, 췌장염 또는 췌장 수술 병력), 그리고 알코올 남용이 확인되었다.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인슐린 분비 감소, 칼로리 제한, 알코올 남용을 포함한 케톤산증을 일으키기 쉬운 요인이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 이 약으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케톤산증이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하고, 케톤산증을 일으키기 쉬운 임상적 상황(예: 급성 질환 또는 수술로 인한 장기적인 단식)이 발생할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을 고려한다. 환자들에게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위험, 관련 위험 인자, 신호 및 증상 등과 함께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혈당 250mg/dL 미만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점을 알려야 한다. 환자들이 혈중 케톤 수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며 언제 모니터링이 필요한지 교육받는 것이 권장된다. 케톤산증이 의심되는 경우 환자들은 신속히 치료를 받아야 한다. 2) 유산산증 유산산증은 매우 드물기는 하나 심각하며, 메트포르민의 치료중 메트포르민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대사성 합병증이다.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는 50%가 치명적이다. 유산산증은 급성신기능악화, 심폐질환 및 패혈증 상태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유산산증은 조직의 유의한 관류저하와 저산소혈증이 있을 때, 당뇨병을 포함하는 병리생리학적 상태와 결부되어 나타날 수 있다. 유산산증은 혈중 젖산 농도 증가(5mmol/L 초과), 혈중 pH 저하, 음이온 간의 차이가 늘어나는 전해질 불균형과 젖산/피루브산염의 비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트포르민이 유산산증의 원인이라고 여겨지는 경우, 메트포르민의 혈중농도는 일반적으로 5ug/mL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에 있어서 유산산증의 발현에 대한 보고는 매우 적다(연간 환자 1,000명당 약 0.03건, 치명적인 경우는 연간 환자 1,000명당 약 0.015건). 보고된 경우는 주로 많은 내∙외과적인 문제가 병합된 경우와 많은 약물의 복합투여 등의 상태에서, 내인적 신장질환과 신장 관류저하를 포함하는 신기능이 유의하게 저하된 당뇨병 환자에서 일차적으로 발생된 것이다. 유산산증의 위험은 신기능 저하의 정도와 환자의 나이에 따라 증가된다. 덧붙여 메트포르민은 저산소증, 탈수, 패혈증과 관계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각 투여를 중지해야 한다. 간기능이 손상된 경우 젖산 배설능력이 유의적으로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간질환의 임상적 또는 실험실적 소견이 있는 환자의 경우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알코올은 메트포르민이 젖산대사에 영향을 미치게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 받는 동안 급ㆍ만성적인 알코올의 과량섭취는 피해야 한다. 유산산증의 시작은 때때로 구별이 어렵고 권태, 근육통, 호흡곤란, 무력증과 복부 통증과 같은 비특이적 증상들을 수반한다. 산증이 더 심해질 경우 체온저하, 저혈압과 저항성 서맥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환자와 의사는 이러한 증상들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며, 환자는 만약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에게 즉시 알려야 한다. 혈청 전해질, 케톤, 혈당, 혈중 pH(<7.35), 젖산농도와 메트포르민의 혈중 농도도 유산산증을 확인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유산산증의 의심이 큰 경우에는 젖산의 측정결과를 기대할 것 없이 필요한 처치를 한다. 특히, 투여 개시 초기 투여량을 증가한 경우에는 유산산증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치료 초기에 환자가 메트포르민의 특정 용량에서 안정화되면 흔히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후기에 나타나는 위장관 증상은 유산산증이나 다른 심각한 질병 때문일 수 있다.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의 공복 시 정맥 혈장의 젖산 농도가 정상상한치 이상이지만 5mmol/L이하인 경우, 유산산증이 임박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으며, 잘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이나 비만, 지나친 육체활동 또는 검체를 다루는데 있어 기술적인 문제와 같은 다른 기전에 기인할 수 있다. 유산산증은 케톤산증(케톤뇨증과 케톤혈증)의 증거가 없는 대사성 산증이 나타나는 당뇨환자에서 의심해야 한다. 유산산증은 입원치료를 요하는 내과적 응급상황이다.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유산산증이 일어난 경우, 약물을 즉시 투여 중지하고 즉각 일반적인 보조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메트포르민은 투석이 가능하기 때문에(양호한 혈역학적 조건에서 170mL/분에 이르는 청소율), 산증을 정상화하고 축적된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즉각적인 혈액 투석이 추천된다. 이러한 처치는 때때로 즉각적인 증상 호전과 회복을 가져온다. 3) 저혈당 저혈당은 일반적인 사용 환경 하에서 메트포르민을 단독 투여한 환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나, 열량 섭취가 불충분한 경우, 격렬한 운동이 열량 섭취로 보충되지 못한 경우나 다른 혈당강하제(설포닐우레아, 인슐린, 메글리티나이드계 등) 또는 알코올을 병용 투여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령자, 쇠약하거나 영양 불균형인 환자, 부신이나 뇌하수체 부전 환자 또는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 저혈당이 나타나기 쉽다. 저혈당은 고령자, β-아드레날린 차단 약물을 투여하는 사람에서는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메트포르민의 투여에 의해 저혈당 증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설탕(자당)을 투여하며,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아카보즈, 보글리보스)와의 병용에 의해 저혈당 증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포도당을 투여한다. 4)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한 관절통 다른 DPP-4 저해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 후 조사에서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하는 관절통이 보고되었다. 약물 투여 이후 증상의 발생시기는 1일 후부터 수년 후까지 다양하였다. 약물 투여 중지 시에 증상은 완화되었다. 일부 환자에서는 동일한 약 또는 다른 DPP-4 저해제를 다시 복용시에 증상의 재발이 나타났다. 중증 관절통의 원인으로 DPP-4 저해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한다. 5) 수포성 유사천포창 다른 DPP-4 저해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 후 조사에서 입원을 필요로 하는 수포성 유사천포창이 보고되었다.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DPP-4 저해제 투여중지 및 국소 또는 전신 면역억제제 치료로 회복되었다. 환자들에게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수포 또는 짓무름이 발생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알려야 한다. 만약, 수포성 유사천포창이 의심되는 경우, 이 약을 중단하고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위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6) 간에 대한 작용 모든 환자에서 이 약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간 효소 모니터링이 권장되며, 그 후에는 의사의 임상적 판단에 따라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