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빈뇨, 야간다뇨, 과민성 방광, 절박 요실금
1) 폐쇄각 녹내장 환자 2) 요폐증상을 나타내는 배뇨곤란 환자(전립선종 또는 비대증 환자) 3) 위장관의 기계적 협착 환자 (유문협착증 환자) 4) 부정 빈맥 환자 5) 근무력증 환자 6) 거대결장증 환자 7)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2. 부작용 항콜린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1) 피부 : 발한억제, 홍반 2) 눈 : 폐쇄각 녹내장, 조절이상(특히 시력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원시 환자) 3) 소화기계 : 구갈(타액분비 억제) 4) 심장 : 빈맥 5) 비뇨기계 : 배뇨곤란 3. 일반적주의 눈의 조절이상으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 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1) 아만타딘, 삼환계 및 사환계 항우울약, 퀴니딘, 항히스타민제, 디소피라미드의 항콜린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다. 2) β-효능약의 빈맥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동물실험에서 기형발생이 보고되지 않았으나 임신중 또는 수유중 환자에게 투여경험이 없으므로 엄격한 관리하에서가 아니면 임신중 또는 수유중에 투여하지 않는다. 6.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 지금까지 사람에게 중독의 증후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시각조절장애, 빈맥, 구강건조, 피부발적 등의 항콜린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2) 처치 : 부교감신경효능약인 네오스티그민으로 치료될 수 있다. 녹내장 환자에게는 필로카르핀을 국소적용할 수 있다.
4.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