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레오타이드디아스파르트산염, 분량 : 1.1286,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파시레오타이드로서 0.9mg, 비고 :
이 약의 권장 초기용량은 0.6 mg 또는 0.9 mg씩 1일 2회이며, 피하 주사한다. 치료 2개월 후 임상평가를 통해 24시간 동안의 뇨중 유리 코티솔 (UFC)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한 환자는 투약을 계속한다. 치료에 대한 반응 및 내약성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며, 0.6 mg에 대한 내약성이 좋은 경우에 한해 0.9 mg으로 용량 증가를 고려할 수 있다. 치료 2개월 후 반응이 없는 환자는 치료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 치료 중에는 지속적으로 의심되는 부작용의 관리가 필요하며 일시적인 용량감소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0.3 mg 1일 2회 용량감소가 제안된다. 투약을 잊었을 경우, 그 다음의 계획된 시간에 주사해야 한다. 놓친 용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투여량을 두 배로 늘려서는 안 된다.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공복혈당, HbA1C 및 간기능 검사를 통해 정상범위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ECG 및 담낭초음파를 통해 정상상태인지 확인 후 이 약을 투여하여야 하며, 조절되지 않는 당뇨환자의 경우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당뇨치료를 최적화 하여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2. 신중투여 항 1), 2), 3) 및 5) 참조) 신장애 신장애 환자에 대한 용량조절은 필요치 않다. 간장애 경증 간장애 (Child-Pugh A) 환자는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중등도의 간장애(Child-Pugh B) 환자의 권장 초기용량은 0.3 mg씩 1일 2회이며, 최대 권장용량은 0.6 mg씩 1일 2회이다. 중증 간장애 (Child-Pugh C) 환자에게는 투여해서는 안된다.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중증의 간 장애 (Child-Pugh class C)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당 대사 이상 환자 · 시판 후 조사에서 당뇨 병력과 관계없이 이 약 투여 환자에게서 케톤산증의 사례가 관찰되었다. 일부 사례에서, 급성 질환, 감염, 췌장 질환 (예시. 췌장 악성종양 혹은 췌장 수술), 알코올 남용 등 케톤산증의 선행 요인들이 존재했다. 중증의 대사성 산증과 일치하는 증상 및 징후를 나타내는 환자들은 당뇨 병력과 관계없이 케톤산증 여부를 평가받아야 한다. 2) 간 검사 3) 심혈관계 관련 4) 저코티솔증 5) 담낭 및 관련반응 6) 뇌하수체 호르몬 7) 나트륨 함량 3. 이상반응 2상 및 3상 임상시험에서 총 201명의 쿠싱병 환자가 이 약을 투여 받았다. 이 약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코르티솔저하증의 발생률 및 고혈당증의 등급을 제외하고는 소마토스타틴 유사체와 비슷하였다. 다음은 3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총 162명의 쿠싱병 환자에 대한 데이터를 기술한 것이다. 이 시험 등록 피험자들은 이 약 0.6mg 1일 2회 피하주사 또는 0.9mg 1일 2회 피하주사하는 것으로 무작위배정 되었다. 평균연령은 약 40세였고 대다수가 여성이었다 (77.8%). 환자 대부분 (83.3%)은 지속성 또는 재발성 쿠싱병이었고, 두 치료군 모두에서 소수 (≤5%)만이 이전에 뇌하수체 방사선요법을 받은 환자였다. 치료에 노출된 평균기간은 10.37개월 (0.03-37.8)이었고 6개월 이상 치료받은 환자는 67.9%였다. 약물 이상 반응의 발생빈도 및 정도는 두 투여군에서 유사하였다. CTCAE v. 3.0에 따른 1등급 및 2등급 약물 이상 반응이 57.4%에서, 3등급 약물이상반응은 35.8%에서, 4등급 약물이상반응은 2.5%에서 관찰되었다. 3등급 및 4등급 약물이상반응은 대부분 고혈당증과 관련된 것이었다. 10% 이상에서 발생한 가장 흔한 약물이상반응은 설사, 구역, 복통, 담석증, 고혈당증, 당뇨, 피로 및 당화 혈색소 상승, 주사부위반응이었다. 시험기간 동안 사망은 보고되지 않았다. 두 무작위 배정군 및 전체에서 5% 이상의 빈도로 발생한 약물과 관련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이상반응을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이상반응을 기관별로 분류하고, 한 기관 내에서는 빈도가 높은 이상반응을 우선으로 하였으며, 동일 빈도 내에서는 가장 심각한 이상반응부터 기재하였다.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1/10), 흔하지 않게 (≥1/1,000, <1/100) ※ 표. 쿠싱병 환자에 대한 3상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발생빈도 5%이상 또는 5%미만이지만 주목할만한 약물이상반응 기관계 / 빈도 이상반응 혈액 및 림프계 흔하지 않게 빈혈 내분비계 흔하게 부신기능 부전 대사 및 영양계 매우 흔하게 고혈당증, 당뇨 흔하게 제2형 당뇨, 식욕감퇴, 내당력손상 신경계 흔하게 두통, 어지럼증 심장계 흔하게 동서맥, QT연장 혈관계 흔하게 저혈압 위장관계 매우 흔하게 설사, 복통, 구역 흔하게 구토, 상복부 통증 간담도계 매우 흔하게 담석증 흔하게 담낭염(급성담낭염포함), 담즙정체 피부 및 피하조직계 흔하게 탈모, 가려움 근골격 및 결합조직계 흔하게 근육통, 관절통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반응 매우 흔하게 주사부위반응, 피로 검사치 매우 흔하게 당화 혈색소 상승 흔하게 GGT 상승, ALT 상승, AST 상승, 리파아제 상승, 혈당 상승, 혈중 아밀라제 상승,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이 약의 시판 후 사용경험에서 아래와 같은 약물이상반응이 나타났다. 이 약물이상반응은 불확실한 규모의 집단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되었으므로, 그 빈도를 확실하게 추정할 수 없으며, 따라서 '알려지지 않음'으로 분류된다. 기관 이상반응 대사 및 영양계 당뇨병성 케톤산증 1) 위장관 장애 3상 임상시험에서 위장관 장애, 설사, 구역, 복통 및 구토가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표 참조). 이 이상반응들은 주로 이 약의 치료 첫 달 동안 발생하기 시작했다. 특별한 조치가 요구되지 않았고, 치료 지속시 개선되었다. 2) 고혈당증 및 당뇨 3상 임상시험에서 고혈당증 관련 이상반응이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모든 환자에 대해: 고혈당증 (40%), 당뇨병 (18%), HbA1c 증가 (11%), 제2형 당뇨 (9%)가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FPG 및 HbA1c의 증가는 이 약의 개시 후 곧 나타났고, 치료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약 0.6mg 투여군에서 평균 FPG 수치는 베이스라인 98.6 mg/dL에서 6개월 후 125.1 mg/dL로 증가했다. 이 약 0.9mg 투여군에서 평균 FPG 수치는 베이스라인 97.0 mg/dL에서 6개월 후 128.0 mg/dL로 증가했다. 이 약 0.6mg 투여군에서 HbA1c는 베이스라인 5.8%에서 6개월 후 7.2%로 증가했다. 이 약 0.9mg 투여군에서 HbA1c는 베이스라인 5.8%에서 6개월 후 7.3%로 증가했다 (사용상주의사항 2. 신중투여항 1) 참조) 이 약 중단후 1개월 추적 방문시, 평균 FPG 및 HbA1c 수치는 감소했으나, 베이스라인 수치보다 높았다. 장기 추적 자료는 없다. 3) 간 효소 3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으로 치료한 환자에서의 아미노기전이효소 평균값의 일시적인 증가가 있었다. 평균값은 치료 4개월째 베이스라인 수치로 환원되었다. 이 증가는 간 질환의 임상 징후와는 관련이 없었다. 이 약의 임상개발프로그램에서 3xULN초과 ALT 및 2xULN초과 빌리루빈 동시 증가의 사례가 4명의 환자에서 보고되었고, 1명은 쿠싱병 환자였으며 3명은 건강한 자원자였다 (사용상주의사항 2. 신중투여 항 2) 참조). 4명 모두 치료 시작 10일 이내에 간 수치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 경우 모두 총 빌리루빈 증가는 부수적 또는 진행성 아미노기전이효소 증가와 동반되었다. 쿠싱병 환자는 황달이 발생했다. 4명 모두 치료중단 후 간기능검사결과는 기저수치로 회복되었다. 4) 코르티솔저하증 쿠싱병 환자에서의 3상 임상시험에서 코르티솔저하증의 사례가 보고되었다. 대다수의 사례는 이 약의 용량 감소 및 (또는) 저용량 추가, 단기 글루코코티코이드 치료 등으로 관리되었다. 5) 주사부위 반응 쿠싱병에 대한 3상 임상시험에 등록된 환자의 13.6%에서 주사부위 반응이 보고되었다. 다른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주사부위 반응이 보고되었다. 이 이상반응은 국소통증, 홍반, 혈종, 출혈 및 소양증으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이 이상반응들은 저절로 해소되었으며 특별한 조치는 필요 없었다. 6) 갑상선 기능 중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쿠싱병의 흔한 합병증이다. 갑상선 기능 저하는 또한 소마토스타틴 유사체 투여와 관련된 흔한 이상반응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쿠싱병을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의 환자 중 7명에서 보고되었는데, 이 중 2명이 연구자에 의해 약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7명 환자 모두는 등록 시 갑상선자극호르몬 (TSH)은 정상치의 하한선과 가깝거나 하한선 이하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 이상반응과 이 약 사용 간의 상관 관계를 확립하기는 어렵다. 7) 췌장 효소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리파제 및 아밀라아제의 증상이 없는, 가역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췌장염은 발생가능한 잠재적 이상반응으로, 소마스타딘 유사체를 사용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담석증 및 급성 췌장염과 관련되어 있다. 8) 기타 실험실적 이상반응 헤모글로빈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서 평균값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기저값을 초과하는 PT 및 PTT의 증가가 환자의 33% 및 47%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이 PT 및 PTT 증가값은 아주 적었다. 이 실험실 결과는 불확실한 임상적 유의성 중 하나이다. 4. 상호 작용 1) 이 약에 대한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는 약동학적 상호작용 이 약은 중등도의 단백 결합능을 가지며, 대사적으로 매우 안정하다. In vitro에서 이 약은 P-gp (P-glycoprotein) 기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용량에서, 이 약은 다음의 사항에 해당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생체외 시험 자료를 바탕으로, 단백 결합, 대사 및/또는 전달체 (transporter)에 매개한 이 약과 병용 약제간의 약물상호작용의 잠재성은 낮다. 건강한 지원자에게 베라파밀을 병용투여하여 P-gp 저해제가 파시레오타이드 피하주사의 약동학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 이 약 생체이용률의 비율 및 범위에 변화가 없었다. 2) 다른 약물의 효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는 약동학적 상호작용 3) 예측되는 약력학적 상호작용 5. 임부, 수유부, 가임여성에 대한 투여 1) 임부: 임부에 대한 잘 통제된 연구는 없으나, 동물실험에서 생식독성이 나타났다. 사람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임신 중 이 약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 수유부: 파시레오타이드가 유즙으로 배설되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약을 랫트에 피하투여시, 유즙으로 배설되었다. 이 약 투여중인 환자들은 수유를 중단해야 한다. 3) 수태능: 이 약을 랫트에 피하투여한 연구 결과, 암컷 생식능에 대한 영향이 나타났다. (예, 비정상적 생리주기, 황체수 및 착상수 감소). 이와 같은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관성을 알려지지 않았다. 파시레오타이드 치료를 받는 여성 쿠싱병 환자에서 혈중 코티솔 농도 저하 또는 정상화는 가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가임여성: 동물실험에서 파시레오타이드가 발생중인 태아에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파시레오타이드 투여 중 효과적인 피임법을 이용할 것이 권장된다. 또한 파시레오타이드 치료가 수태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수태능’참조) 6. 소아에 대한 투여 18세 이하 소아에서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65세 이상의 고령자에 투여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나, 제한된 임상결과 고령자에서 용량조절이 필요하다는 증거는 없다. 다만, 고령자의 경우 신기능, 간기능 및 심장기능 등이 저하되어 있고 기저 질환 및 복용 약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통 초기 용량을 저용량으로 시작하면서 주의하여 투여할 필요가 있다. 8. 과량 투여시의 처치 건강한 지원자에게 2.1 mg 1일 2회 용량까지 투여시 높은 빈도로 관찰된 이상반응은 설사였다. 과량투여시 증상이 해소될 때까지 환자의 임상 상태에 따라 적당한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 9. 운전 및 기계 조작 시의 영향 운전 및 기계를 사용하는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거나 무시해도 될 정도이나, 이 약으로 치료하는 동안 환자가 피로나 두통을 경험한다면 운전이나 기계사용 시 주의하도록 권고해야 한다. 10. 취급상의 주의 1) 이 약의 주사액은 눈에 보이는 입자가 없이 무색투명하여야 한다. 입자가 발견되거나 투명하지 않으면 그 액은 사용하지 않는다. 2) 사용설명서를 잘 읽고 그에 따라 주사한다. 3) 사용되지 않은 제품이나 폐기용 물질은 관련 규정에 따라 폐기해야 한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주사위치 2) 주사하기 전 준비사항 3) 주사준비 ⓛ 이 약의 주사액은 툭하고 끊어지는 앰플 (snap-off ampule)에 들어있다. 앰플을 개봉할 때 뚜껑부분에 액이 없도록 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앰플을 톡톡 두드린다. ② 앰플 목에 표시된 선에서 앰플 꼭대기를 툭 끊어 앰플을 개봉한다. ③ 멸균 주사기를 꺼내어 바늘을 부착한다. 바늘 두 개를 이용할 경우 이 단계에서 두껍고 긴 뭉뚝한 바늘을 이용한다. 바늘 커버를 제거한다. ④ 바늘을 앰플에 넣고 주사기에 앰플내의 약액이 전부 들어가도록 플런저를 잡아당긴다. 바늘 두 개를 이용할 경우 짧은 바늘로 교체한다. ⑤ 플런저 바닥에 엄지를 대고 검지와 중지로 고정하여 한손에 주사기를 잡는다. 공기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주사기를 손가락으로 톡톡 두드린다. 바늘팁에서 첫 방울이 나타날 때까지 플런저를 눌러 주사기에 공기방울이 없도록 한다. 4) 주사하는 방법 ⓛ 한 손으로 주사부위 피부를 약하게 집고 다른 한손으로는 약 45도 각도 (그림 참조)로 바늘을 잡고 주사부위에 삽입한다. 혈관이 뚫리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플런저를 약간 당겨본다. 사기에 혈액이 보인다면 바늘을 빼내어 다른 부위에 삽입한다. ② 한 손으로 피부를 계속 잡은 채로, 플런저를 천천히 눌러 약액을 모두 주사한다. 플런저를 끝까지 내린 채로 주사기를 제자리에 5초간 둔다. ③ 천천히 접은 피부를 풀어 부드럽게 바늘을 빼낸다. 주사기에 커버를 다시 씌운다. ④ 사용한 주사기와 바늘을 즉시 전용용기 (sharps container) 또는 기타 단단한 밀폐된 폐기용기에 폐기한다. 사용하지 않은 제품이나 폐기물은 모두 관련법에 따라 폐기하여야 한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