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술 중 봉합 전에 2% 타우로리딘 주사액 100~200 mL를 복강내 주입한다. 2) 수술 후 분비물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배농관을 통하여 1일 2% 타우로리딘 주사액 100~200 mL씩 관주하고, 1~2시간동안 막아두었다가 유출시킨다. 2. 뼈와 연조직 손상 수술부위를 37℃로 데운 0.5% 타우로리딘 주사액으로 간헐적으로 세척한다. 3. 흉막강 농양 수술 후 배농관을 통하여 2% 타우로리딘 주사액 100 mL씩 1일 2회 관주하고, 1~2시간 동안 막아두었다가 유출시킨다. * 소아는 연령과 체중에 따라 적절히 감량한다. * 반복 주입시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염산리도카인을 0.1% 농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뼈와 연조직 손상 3. 흉막강 농양
1) 말기 신부전 환자 2) 6세 미만의 유아 2. 이상반응 국소적 복강내 투여 시 일시적인 자극, 경미한 과민반응과 작열감이 나타날 수 있다. 1) 반코마이신의 전신적 투여는 이 약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2) Dakin's solution, 포비돈 요오드 또는 과산화 수소와 같은 산화제와 함께 복강내 투여하지 않는다. 4. 과량투여시의 처치 현재까지 이 약의 과량투여 예는 보고된 바 없으며, 동물실험에서 이 약을 정맥투여한 경우 LD50이 마우스 4,000 mg/kg 이상, 토끼 3,600 mg/kg 이상으로 독성이 적다. 동물실험에서 급속 정맥투여 시 일시적 미주신경자극반응(침분비증가, 눈물분비증가, 혈압강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 1) 이 약은 반드시 상온(15~25℃)에서 보관한다. 2) 이 약은 저온 보관하면 백색침전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30도정도로 가온 용해한 후 사용한다.
3.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