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릭스 액(경구용 약독화 로타 생바이러스 백신)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로타릭스 액(경구용 약독화 로타 생바이러스 백신)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로타릭스 액(경구용 약독화 로타 생바이러스 백신)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로타릭스 액(경구용 약독화 로타 생바이러스 백신) Rotarix Liquid (Oral Attenuated Rotavirus Vaccine)
이미지
Rotarix Liquid (Oral Attenuated Rotavirus Vaccine)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rota virus,live attenuated 100 만CCID50

약독 사람 로타 생바이러스 (바이러스주: RIX4414주), 분량 : 1,000,000 이상1,000,000 이상, 단위 : 분류되지 않는 함량단위,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단위(CCID50)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백당, 둘베코변형이글배지(DMEM), 아디프산이나트륨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1100256
표준코드
8806500028306, 8806500028313, 8806500028320
위탁제조업체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무색투명한 액이 무색투명한 플라스틱 튜브에 든 액상제제
허가일자
2011년 01월 18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50002830
원 /
ATC코드
J07BH01 rota virus, live attenuated 로타 바이러스, 생백신 약독화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6310]백신류
주성분코드
570001ASY
포장단위
10튜브 /상자[튜브(1.5mL)]
저장방법
밀봉용기, 2-8℃ 보관, 차광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이 백신은 경구로만 투여하여야 하며, 절대로 주사하여서는 안된다.

생후 6주 이후에 1차 경구 투여하며 최소 4주 간격을 두고 2차 경구 투여한다.

생후 16주 이전에 2차 경구 투여를 완료하되, 동 기간 내에 투여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최대 생후 24주 내에 2차 투여를 완료하여야 한다.

투여 방법:

투여 전, 투여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으십시오.

A. 이 백신 투여 전 확인해야 할 사항

● 유효기한을 확인한다.

● 튜브가 훼손되거나 개봉되어있지 않음을 확인한다.

● 용액이 무색투명하고 입자가 없음을 확인한다.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백신을 투여하지 않는다.

● 이 백신은 경구용으로 튜브로 직접 투여한다.

● 이 백신은 바로 투여 가능하며, 다른 것과 혼합할 필요가 없다.

묶음 개체입니다.

B. 튜브 준비하기

1. 뚜껑을 연다.

● 막을 뚫기 위해 뚜껑이 필요하므로 뚜껑을 버리지 않는다.

● 튜브를 수직으로 잡는다.

2. 용액이 튜브 끝에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튜브 끝을 반복하여 가볍게 친다.

● 막 바로 아래를 가볍게 쳐서 튜브의 가장 얇은 부분에 용액이 남아있지 않게 한다.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XHIm00002c1c7043.emf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8pixel, 세로 252pixel

3. 튜브를 개봉하기 위해 뚜껑을 뒤집는다.

● 튜브를 수직으로 유지한다.

● 튜브의 옆쪽을 잡는다.

● 뚜껑의 상단 중앙 안쪽에 작은 스파이크(뾰족한 침)가 있다.

● 뚜껑을 뒤집는다 (180°).

묶음 개체입니다.

4. 튜브를 개봉한다.

● 돌리지 않아도 된다. 뚜껑을 아래로 눌러 막을 뚫는다.

● 그 다음 뚜껑을 들어올린다.

묶음 개체입니다.

C. 튜브가 올바르게 개봉되었는지 확인한다.

1. 막이 뚫렸는지 확인한다.

● 튜브 상단에 구멍이 있어야 한다.

2. 막이 뚫리지 않은 경우,

● 막이 뚫리지 않은 경우, B항의 2, 3, 4 단계를 반복한다.

묶음 개체입니다.

D. 백신 투여하기

● 튜브를 개봉한 후, 용액이 투명하고 입자가 없음을 확인한다.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백신을 투여하지 않는다.

● 즉시 백신을 투여한다.

1. 백신을 투여하기 위해 영아의 자세를 잡는다.

● 영아를 약간 뒤로 눕힌다.

2. 백신을 투여한다.

● 영아의 구강 내 뺨 안쪽을 향해 용액을 부드럽게 짜낸다.

● 용액 전량을 투여하기 위해 튜브를 여러 번 짜낸다. 튜브 끝에 용액 방울이 남아있을 수 있다.

묶음 개체입니다.


♦ 용법.용량


생후 6주 이상의 영아에서 로타바이러스(G1P[8], G2P[4], G3P[8], G4P[8], G9P[8])에 의한 위장관염의 예방


♦주의사항(일반)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백신의 성분에 대하여 과민반응이 있는 자.

2) 이전에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 후 과민반응을 나타낸 자.

3) 장중첩증의 병력이 있는 자.

4) 장중첩증이 일어나기 쉬운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위장관 이상(예. 메켈게실)이 있는 자.

5) 급성 중증 열성 질환자는 이 백신의 투여를 연기하여야 한다. 그러나, 경미한 감염(예. 감기)은 투여금기가 아니다.

6) 설사 또는 구토를 하는 경우 이 백신의 투여를 연기하여야 한다.

7) 중증복합면역결핍증(SCID)이 있는 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위장관 질환 또는 성장지연이 있는 영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 자료가 없으므로 이들 영아의 경우, 백신 접종 지연이 더 중대한 위험을 수반한다고 의사가 판단하면, 이 백신의 접종을 신중히 고려해 볼 수 있다.

2) 면역이 결핍된 자(예. 악성 종양환자나 다른 면역 저해 환자, 면역억제요법을 받고 있는 자 등)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이 백신을 주의하여 투여한다.

3) 면역이 억제된 영아(면역결핍증이 있는 영아, 면역억제요법을 받고 있는 영아, 자궁내에서 면역억제제 치료에 노출된 영아 포함)의 경우, 잠재적인 유익성과 위험성을 신중히 고려하여 이 백신을 투여한다.

3. 이상사례

1) 임상시험

빈도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이고 <1/10

흔하지 않게: ≥1/1,000 이고 <1/100

드물게: ≥1/10,000 이고 <1/1,000

매우 드물게: <1/10,000

다음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동결건조제형 또는 액상제형의 이 백신으로 수행한 임상 시험 자료에 근거한다. 총 4개의 임상시험에서, 로타릭스 액상제형 약 3800 도즈가 약 1900명의 영아에게 투여되었다. 이들 임상시험은 액상제형의 안전성 프로파일이 동결건조제형과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총 23개의 임상시험에서, 약 51,000명의 영아에게 동결건조제형 또는 액상제형의 이 백신 약 106,000 도즈를 투여하였다.

3개의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이 백신을 단독으로 투여하였다(기본 소아백신과 동시에 투여되지 않았다.). 명시된 반응(백신 투여 후 8일 동안 수집됨), 설사, 구토, 식욕부진, 발열, 보챔 및 기침/콧물의 발생률 및 중증도는 이 백신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간에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이러한 반응들에 대한 발생률 또는 중증도는 2차 투여시 증가하지 않았다.

동결건조제형 또는 액상제형의 이 백신을 기본 소아백신과 동시 투여한 임상시험을 포함하는 17개의 위약대조 임상시험을 통합 분석한 결과, 다음의 이상반응(백신 투여 후 31일 동안 수집됨)이 백신 투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① 위장관계 이상

- 흔하게: 설사

- 흔하지 않게: 고창, 복통

② 피부 및 피하조직 이상

- 흔하지 않게: 피부염

③ 전신 이상 및 투여부위

- 흔하게: 보챔

ㆍ 63,225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라틴아메리카와 핀란드에서의 대규모 안전성 임상시험에서 장중첩증의 위험을 평가하였다. 아래 표와 같이, 이 백신 투여군에서의 장중첩증 위험도는 위약군과 비교하였을 때 증가하지 않았다.

접종 후 31일

이내의 장중첩증

로타릭스

(31,673 명)

위약

(31,552 명)

상대적 위험도

(95% 신뢰구간)

1차 접종

1

2

0.50 (0.07;3.80)

2차 접종

5

5

0.99 (0.31;3.21)

ㆍ 조산아에서의 안전성

임상시험에서 1,009명의 조산아에게 로타릭스 동결건조제형 백신 또는 위약을 투여하였다(재태기간이 27-30주인 조산아 198명, 재태기간이 31-36주인 조산아 801명). 생후 6주 이후에 1차 투여를 하였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이 백신 투여군의 5.1%, 위약 투여군의 6.8%에서 관찰되었다. 이 밖의 이상반응의 발생률은 이 백신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간에 유사했다. 장중첩증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2) 시판 후 조사

위장관계 이상

- 드물게: 혈변, 중증복합면역결핍증(SCID) 영아에서 백신 바이러스 배출을 동반한 위장관염

- 매우 드물게: 장중첩증(4. 일반적 주의 항 12) 참고)

3) 국내 사용성적조사에서 확인된 이상사례

- 국내에서 6년 동안 3,0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사례 발현율은 62.9%(1,913명/3,040명, 3,413건)이었고, 이 중 본제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12.2%(371명/3,040명, 506건)로, 열 3.2%(98명/3,040명, 109건), 구토 2.3%(71명/3,040명, 74건), 보챔 2.2%(67명/3,040명, 73건), 설사 1.6%(49명/3,040명, 51건), 식욕상실 0.9%(27명/3,040명, 27건), 상기도 감염 0.7%(22명/3,040명, 23건), 기침 0.7%(20명/3,040명, 21건), 위장염 0.6%(19명/3,040명, 21건), 묽은 변 0.4%(11명/3,040명, 12건), 중이염 0.3%(9명/3,040명, 10건), 발진 0.3%(9명/3,040명, 9건), 기관지염 0.2%(7명/3,040명, 7건), 높은 음조의 울음 0.2%(6명/3,040명, 7건), 감기 0.2%(6명/3,040명, 6건), 편도염 0.2%(5명/3,040명, 5건), 세기관지염 0.1%(4명/3,040명, 4건), 비염 0.1%(3명/3,040명, 5건), 변비, 콧물 각 0.1%(3명/3,040명, 3건), 아토피피부염, 접촉성피부염, 대변변색, 상세불명의 위창자 질환, 상세불명의 귀 감염, 천식, 부비동염, 두드러기, 결막염 각 0.1%(2명/3,040명, 2건) 등이 보고되었다. 중대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8%(24명/3,040명, 34건)로, 세관지염 0.3%(9명/3,040명, 9건), 위장염, 중이염, 폐렴, 요로감염 각 0.1%(3명/3,040명, 3건), 기관지염 0.1%(2명/3,040명, 2건) 등이 보고되었다. 이 중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32.5%(987명/3,040명, 1,553건)로, 상기도 감염 8.7%(264명/3,040명, 301건), 기침 8.2%(248명/3,040명, 280건), 세기관지염 5.0%(152명/3,040명, 179건), 위장염 3.5%(105명/3,040명, 119건), 중이염 1.9%(59명/3,040명, 64건), 발진 1.6%(49명/3,040명, 51건), 비인두염 1.4%(44명/3,040명, 49건), 인두염 1.4%(42명/3,040명, 45건), 결막염 1.1%(32명/3,040명, 33건), 소화불량 0.9%(28명/3,040명, 31건), 비충혈 0.7%(22명/3,040명, 23건), 비염 0.7%(21명/3,040명, 27건), 변비 0.6%(18명/3,040명, 18건), 편도염 0.5%(16명/3,040명, 17건), 폐렴 0.4%(13명/3,040명, 13건), 부비동염, 눈곱 각 0.4%(12명/3,040명, 12건), 두드러기 0.4%(11명/3,040명, 11건), 대장염 0.3%(8명/3,040명, 8건), 높은 음조의 울음 0.2%(7명/3,040명, 8건), 요로감염 0.2%(7명/3,040명, 7건), 위염, 외이염 각 0.2%(6명/3,040명, 6건), 아구창 0.2%(5명/3,040명, 6건), 상세불명의 위창자질환, 칸디다증 각 0.2%(5명/3,040명, 5건), 급성위염 0.1%(4명/3,040명, 5건), 천식, 피부감염 각 0.1%(4명/3,040명, 4건), 상세불명의 귀감염, 대변 변색, 위식도역류, 바이러스 감염, 알레르기성아토피성비염, 농흉, 가래질환, 땀띠 각 0.1%(3명/3,040명, 3건), 바이러스 감염, 입궤양형성, 과민성 대장증후군, 피진, 백선증, 혈뇨, 수신증, 누관폐쇄 각 0.1%(2명/3,040명, 2건) 등이 보고되었다.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3.6%(110명/3,040명, 143건)로, 상기도감염 0.7%(22명/3,040명, 23건), 기침 0.7%(20명/3,040명, 21건), 위장염 0.6%(19명/3,040명, 21건), 중이염 0.3%(9명/3,040명, 10건), 발진 0.3%(9명/3,040명, 9건), 기관지염 0.2%(7명/3,040명, 7건), 높은 음조의 울음 0.2%(6명/3,040명, 7건), 편도염 0.2%(5명/3,040명, 5건), 세기관지염 0.1%(4명/3,040명, 4건), 비염 0.1%(3명/3,040명, 5건), 변비 0.1%(3명/3,040명, 3건), 상세불명의 위창자질환, 대변 변색, 상세불명의 귀감염, 두드러기, 결막염, 천식, 부비동염 각 0.1%(2명/3,040명, 2건) 등이 보고되었다.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8%(23명/3,040명, 33건)로, 세관지염 0.3%(9명/3,040명, 9건), 위장염, 중이염, 폐렴, 요로감염 각 0.1%(3명/3,040명, 3건), 기관지염 0.1%(2명/3,040명, 2건) 등이 보고되었다. 이 중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4) 이 약에 대한 국내 재심사 이상사례 및 자발적 부작용 보고자료를 국내 시판 허가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보고자료(1989~2014.6.)와 재심사 종료시점에서 통합 평가한 결과, 다른 모든 의약품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에 비해 이 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중 추가로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 결과가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호흡기계 질환 : 상기도감염, 폐렴, 기관지염, 가래질환, 호흡기질환, 천식, 농흉

· 시각장애 : 결막염, 눈물관막힘

·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 외이염, 열발진, 땀샘질환

· 방어기전 장애 : 중이염, 모닐리아증, 바이러스감염

· 비뇨기계 질환 : 요로감염

· 위장관계 장애 : 위식도역류, 대변변색

4. 일반적 주의

1) 백신 투여 전에 피투여자에 대한 의학력(특히 투여금기, 이전에 투여한 백신 및 약물유해반응의 발생 가능성에 대해) 검토 및 진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2) 이 백신은 부형제로 백당을 함유하고 있다. 과당 불내성, 포도당-갈락토스 흡수 장애 또는 수크라제-이소말타제 결핍과 같이 드문 유전 장애가 있는 자에게는 이 백신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3) 분변에서의 백신 바이러스 배출이 투여 후 평균 10일 동안 지속되며, 7일 경에 최고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LISA법으로 검출하였을 때, 1차 투여 후 분변의 50%에서, 2차 투여 후 분변의 4%에서 바이러스 항원입자가 확인되었다. 이들 분변에 생 백신주가 존재하는지 시험하였을 때, 17%만이 양성이었다.

4) 피투여자를 접촉한 항체음성인 자에게 위의 배출된 백신 바이러스가 전이된 경우 임상적 증상을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5) 최근 이 백신을 투여받은 자를 접촉하는 사람은 기저귀를 갈아줄 때 위생에 주의해야 한다(손씻기 포함).

6) 조산아 140명에서의 제한된 자료에 따르면, 이 백신은 조산아에게 투여될 수 있으나, 더 낮은 면역반응이 관찰될 수 있으며 임상적 방어 수준이 알려져 있지 않다.

7) 피투여자에게서 방어면역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8) 이 백신의 G1P[8], G2P[4], G3P[8], G4P[8] 및 G9P[8]형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염에 대한 유효성은 증명되었으나 다른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에 대한 방어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9) 이 백신은 로타바이러스 이외의 다른 병인에 의한 위장관염을 예방하지 않는다.

10) 로타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예방용으로 이 백신을 투여한 자료는 없다.

11) 임상시험에서 이 백신을 뱉거나 토하는 경우는 드물게 관찰되었고, 이런 경우 대체 용량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영아가 백신 용량 대부분을 뱉거나 토하였을 경우, 동일 방문시점에 1회 대체용량을 추가로 투여할 수 있다.

12) 라틴아메리카와 핀란드에서 수행된 대규모 안전성 평가 임상시험(63,225명) 결과 이 백신 투여군에서 위약 투여군에 비해 장중첩증이 증가됨이 증명되지 않았으나, 시판 후 안전성 연구에서 백신 투여 후 장중첩증 발생률의 일시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주로 1차 투여 후 7일 이내였고, 2차 투여 이후에는 보다 적은 범위였다. 전반적인 장중첩증의 발생은 드물며, 이 백신의 접종이 전반적인 장중첩증의 발생률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입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의료 전문가는 장중첩증을 나타내는 증상(중증 복통, 지속적인 구토, 혈변, 복부팽만 그리고/또는 고열)을 주의하여 추적 관찰해야 하며, 환자/보호자에게 이러한 증상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하도록 알려주어야 한다.


5. 상호작용

1) 이 백신은 다음의 단가나 혼합백신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디프테리아, 파상풍 및 백일해 백신(DTPa),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백신(Hib), 불활화 폴리오 백신(IPV), B형 간염 백신(HBV) 및 폐렴구균 단백결합 백신, 수막구균 혈청형 C 접합체 백신. 임상시험결과, 명시된 백신의 면역반응 및 안전성 양상은 영향받지 않았다.

2) 투여 전 후 영아의 식이를 제한할 필요는 없다.

3) 이 백신으로 1차 투여받은 영아들은 이 백신으로 2차 투여까지 완료할 것을 권장한다. 이 백신으로 1차 투여하고 다른 로타바이러스 백신으로 2차 투여했을 경우, 혹은 그 반대로 투여한 경우에 대한 안전성, 면역원성 또는 유효성 자료는 없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백신은 성인용이 아니므로, 사람에서의 임신 또는 수유 중 투여에 대한 자료는 없으며 동물에서의 생식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2) 임상시험 자료를 근거로 할 때, 수유가 이 백신에 의한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에 대한 방어를 감소시키지 않았으므로, 접종기간 동안 수유를 지속할 수 있다.

7. 과량투여

이 백신을 과량투여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전반적으로 과량투여시 보고된 이상사례 프로파일은 이 백신의 권장량을 투여했을 때 관찰되는 바와 유사하였다.

8. 적용상의 주의

1) 이 백신은 절대로 주사하여서는 안 된다.

2) 적합성 시험 자료가 없으므로, 이 백신을 다른 의약품과 혼합하여서는 안 된다.

3) 이 백신은 바로 투여 가능하다 (재구성 또는 희석이 필요하지 않다).

4) 이 백신은 경구로 투여하며, 다른 백신이나 용액과 혼합하여 투여해서는 안 된다.

5) 이 백신은 무색투명하며, 육안으로 입자가 관찰되지 않는 경구용 액제이다.

6) 이물이나 비정상적인 성상을 보이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폐기한다.

9.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이 백신은 냉장(2 ~ 8℃) 보관한다.

2) 이 백신은 동결하여서는 안 된다.

3) 차광을 위하여 원래의 포장형태로 보관한다.

♦주의사항(전문가)



10.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임상시험 정보

① 로타릭스 동결건조제형 백신과 관련하여 외국에서 수행된 주요한 임상시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가. 유럽(핀란드, 독일 등)에서 4,000명 이상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로타릭스 2회 투여 후 1년 째 유효성은 모든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에 대하여 87.1%(95% CI: 79.6;92.1)이었으며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에 대하여는 95.8%(95% CI: 89.6;98.7)의 유효성을 나타내었다. 혈청형 등을 포함한 자세한 유효성 결과는 아래와 같다.

 

 

생후 1년차

(로타릭스: 2572명, 위약:1302명)*

생후 2년차

(로타릭스: 2554명, 위약:1294명)*

모든 중증도 및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에 대한 백신 유효성(%)

[95% 신뢰구간]

유형

모든 중증도

중증**

모든 중증도

중증**

순환하는 로타바이러스

87.1[79.6;92.1]

95.8[89.6;98.7]

71.9[61.2;79.8]

85.6[75.8;91.9]

G1P[8]

95.6[87.9;98.8]

96.4[85.7;99.6]

82.7[67.8;91.3]

96.5[86.2;99.6]

G2P[4]

62.0[<0.0;94.4]

74.7[<0.0;99.6]

57.1[<0.0;82.6]

89.9[9.4;99.8]

G3P[8]

89.9[9.5;99.8]

100.0[44.8;100.0]

79.7[<0.0;98.1]

83.1[<0.0;99.7]

G4P[8]

88.3[57.5;97.9]

100.0[64.9;100.0]

69.6[<0.0;95.3]

87.3[<0.0;99.7]

G9P[8]

75.6[51.1;88.5]

94.7[77.9;99.4]

70.5[50.7;82.8]

76.8[50.8;89.7]

Strains with P[8] genotype

88.2[80.8;93.0]

96.5[90.6;99.1]

75.7[65.0;83.4]

87.5[77.8;93.4]

의학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에 대한 백신 유효성(%)

[95% 신뢰구간]

순환하는 로타바이러스

91.8[84;96.3]

76.2[63.0;85.0]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인한 입원에 대한 백신 유효성(%)

순환하는 로타바이러스

100[81.8;100]

92.2[65.6;99.1]

* 무작위 배정에 따라 로타릭스를 2회 접종 받은 군으로서 유효성 분석대상군을 의미함

**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이란 설사, 구토의 중증도ㆍ 기간과 발열 및 탈수의 중증도를 기초로 평가하는 Vesikari scale score (20점 만점)가 11이상인 경우를 말함

†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므로 (p≥0.05) 주의하여 해석하도록 한다.

나. 남미(멕시코, 브라질 등)에서 20,000명 이상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입원 또는 탈수 치료를 요하는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에 대하여 로타릭스 2회 투여 후 1년째는 84.7%(95% CI: 71.7;92.4)를 2년째는 79.0%(66.4;87.4)의 유효성을 나타내었다. 혈청형 등을 포함한 자세한 유효성 결과는 아래와 같다.

혈청형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접종후 1년)

로타릭스 9009명, 위약 8858명***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접종후 2년)

로타릭스 7175명, 위약 7062명***

 

 

유효성(%) [95% 신뢰구간]

유효성(%) [95% 신뢰구간]

모든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84.7 [71.7;92.4]

79.0[66.4;87.4]

G1P[8]

91.8 [74.1;98.4]

72.4[34.5;89.9]

G2P[4]

41.0[<0.0;82.4]

1.6[<0.0;98.7]

G3P[8]

87.7 [8.3;99.7]

71.9[<0.0;97.1]

G4P[8]

50.8# [<0.0;99.2]

63.1[0.7;88.2]

G9P[8]

90.6 [61.7;98.9]

87.7[72.9;95.3]

Strains with P[8] genotype

90.9 [79.2;96.8]

79.5[67.0;87.9]

#: G4P[8]에 대한 증례수는 매우 적었다(로타릭스군: 1례, 위약군: 2례).

*** 무작위 배정에 따라 로타릭스를 2회 접종 받은 군으로서 유효성 분석 대상군을 의미함

†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므로 (p≥0.05) 주의하여 해석하도록 한다.

다. G2P[4]혈청형에 대한 유효성의 통계적 분석(pooled analysis) 결과

이 백신에 대한 5개의 임상시험을 통계적으로 통합 분석(pooled analysis)하였을 때, 출생후 1년 동안 로타바이러스 G2P[4]형에 의한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Vesikari score≥11)에 대한 유효성은 71.4%(95% CI: 20.1;91.1)였다. 이들 임상시험에서 점 추정치와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100% (95% CI: -1858.0;100), 100% (95% CI: 21.1;100), 45.4% (95% CI: -81.5;86.6), 74.7 (95% CI: -386.2;99.6). 한 임상시험에서는 점 추정치를 구할 수 없었다.

라. 아프리카에서 수행된 임상시험결과 G8P[4], G12P[6] 혈청형에 대한 일부 교차방어 효과를 보였으나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② 허가 후 유용성 연구(증례-대조 연구)

[표. 입원을 요하는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에 대한 로타릭스 2회 투여 후 유용성]

국가

기간

연령

N

(증례 수(1)/

대조군 수)

혈청형

유용성 (%)

[95% CI]

벨기에

2008-2010

< 만 4 세

생후 3-11 개월

160/198(2)

전체

90 [81;95]

91 [75;97]

< 만 4 세

41/53(2)

G1P[8]

95 [78;99]

< 만 4 세

생후 3-11 개월

80/103(2)

G2P[4]

85 [64;94]

83 [22;96](3)

브라질

2008-2009

< 만 3 세

생후 3-11 개월

249/249(4)

전체

76 [58;86]

96 [68;99]

< 만 3 세

생후 3-11 개월

222/222(4)

G2P[4]

75 [57;86]

95 [66;99](3)

(1) 증례는 위장관염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로타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자

-증례 수에는 로타릭스 미접종 및 2회 접종 받은 자를 모두 포함

(2) 백신 유용성은 병원대조군(hospital control)을 이용하여 계산함

-병원대조군은 위장관염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증례와 같은 병원에 입원한 연령 대응 환자

-대조군 수에는 로타릭스 미접종 및 2회 접종 받은 자를 모두 포함

(3) 사후분석 자료

(4) 백신 유용성은 인접대조군(neighborhood control)을 이용하여 계산함

-인접대조군은 위장관염 증상이 없는 증례와 인접한 지역에 거주하는 연령 대응 소아

-대조군 수에는 로타릭스 미접종 및 2회 접종 받은 자를 모두 포함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