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구균, 연쇄구균, 폐렴구균, 박테로이드, 칸비로박타, 펩토연쇄구균,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 <적응증> 표재성피부감염증, 심재성피부감염증, 림프관(절)염, 만성농피증, 인후두염, 편도염(편도주위염, 편도주위농양), 급성기관지염, 폐렴, 감염성장염, 외이염, 중이염, 부비동염, 치주조직염, 악염
이 약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간장애 환자(체내저류가 연장될 수가 있으므로 적절히 감량하는 등 주의한다.) 3. 이상반응 1) 총 증례 9,712예중, 77례(0.79%)에서 부작용이 확인되었다. 주된 증상은, 설사 39례(0.40%), 발진 17례(0.18%), AST(GOT)상승 9례(0.09%)등이 있다.(재심사종료시) 2) 중대한 이상반응 3) 기타 이상반응 0.1%~5%미만 0.1%미만 빈도불명 과민증*) 발진 담마진 소양 소화기 설사 오심, 위부불쾌감, 장염, 식욕부진, 구토, 묽은변 장부팽만감, 변비 간장 AST(GOT), ALT(GPT), LDH의 상승 혈액 호산구증다 기타 구내염, 흐린시력 *) 발현시 중지할것 4. 일반적 주의 이 약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성을 확인하고 치료 상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임부에 대한 투여 1) 토끼의 기관형성기에 100~600mg/kg/일을 경구투여한 실험에서는 300 및 600mg/kg/일 투여군에서 모체동물에 묽은 변, 체중억제가 나타났고 이로 인한 생아수(生兒數, 출생한 마리수)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2) 임신 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3) 소아용제제이다. 6. 적용상의 주의 1) 현탁액조제시: 용시조제의 제제이기 때문에, 조제후의 보존은 피한다. 부득이 보존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냉장보관하고, 가능한 한 빨리 사용해야 한다. 또, 복용시 충분히 흔들어 준다. 2) 복용시: 약의 쓴맛을 막기 위한 제제설계가 되어 있어, 산성음료(오렌지쥬스등)와 함께 복용하면 쓴맛이 발현되기 때문에 피할 것을 권한다. 7. 기타 동물실험에서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삭카린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감미제로서 삭카린이 함유되어 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