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믹스캅셀(리팜피신,이소니코틴산히드라짓캅셀)(수출용)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리포믹스캅셀(리팜피신,이소니코틴산히드라짓캅셀)(수출용)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리포믹스캅셀(리팜피신,이소니코틴산히드라짓캅셀)(수출용)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리포믹스캅셀(리팜피신,이소니코틴산히드라짓캅셀)(수출용) Rifomix Cap.
이미지
Rifomix Cap.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이소니코틴산히드라짓, 분량 : 15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KP, 성분정보 : , 비고 :

리팜피신, 분량 : 3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KP, 성분정보 : , 비고 : 역가로서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미결정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198700084
표준코드
8806433006402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이약은 적색-적자색의 분말이 들어있는 상의는 흑색, 하의는 주황색의 캅셀제이다.
허가일자
1987년 03월 18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43300640
원 /
ATC코드
J04AM02 rifampicin and isoniazid 리팜피신과 이소니아지드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6220]항결핵제
주성분코드
포장단위
60.100.500.1000캅셀
저장방법
차광한 기밀용기에 넣어 건냉암소에 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성인 : 1일 1회 2캅셀 복용(식전 1시간 혹은 식후 2시간에 복용)

영양결핍자, 신경병(neuropathy) 소질이 있는 자(당뇨병 환자 등) 및 청년기 환자에게는 피리독신을 병용 투여하여야 한다.


♦ 용법.용량


유효균종 : 본제에 감수성인 결핵균

적응증 : 폐결핵(초기요법이나 예방요법으로는 적당하지 않음)


♦주의사항(일반)


1. 경고

이 약을 투여하는 환자에서 호산구증가와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 반응(DRESS증후군),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 독성표피괴사융해증(TEN), 급성전신성발진성농포증(AGEP)과 같은 중증피부이상반응(SCAR)을 포함하는 전신성 과민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과민반응의 증상 및 징후로는 발열, 발진, 두드러기, 혈관부종, 저혈압, 급성 기관지연축, 결막염, 혈소판감소증, 호중구감소증, 간 전이효소 상승 또는 독감유사증후군(flu-like syndrome)(쇠약, 피로, 근육통증, 오심, 구토, 두통, 오한, 통증, 가려움, 땀, 현기증, 숨가쁨, 가슴통증, 기침, 실신, 심계항진)이 포함된다.

이러한 반응은 중증일 수 있으며 DRESS증후군은 치명적일 수 있다.

발열, 림프절병증, 또는 실험실 검사 이상(호산구증가증, 간 이상)과 같은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발진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 약을 투여한 환자의 과민반응 증상 및 징후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해당 징후 및 증상이 발생할 시,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고 보조요법을 시행해야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담도 폐쇄증 환자

2) 심한 간장애 환자

3) 과민증 환자

4) 중증과민반응(이소니아지드에 의해 발생했던 약물유발간염, 이소니아지드 관련 간손상, 약물열, 오한, 관절염과 같은 이소니아지드에 의한 중증이상반응, 급성간질환병력)을 보이는 환자

5) 프라지콴텔의 치료적 유효 혈중농도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프라지콴텔 투여 환자에게 이 약은 금지됨. 프라지콴텔로 즉각 치료가 필요한 이 약 투여 환자에 대해 대체 약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프라지콴텔 치료가 필요한 경우 이 약은 프라지콴텔 투여 4주 전에 중단되어야 한다. 그 후 이 약 치료는 프라지콴텔 치료 완료 1일 후에 개시될 수 있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장애 환자

2) 신장애 환자 또는 신장애의 의심이 있는 환자

3) 정신장애의 기왕력 환자 또는 알콜 중독증 환자

4) 전간 등의 경련성 환자 또는 이들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5) 혈액장애,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4. 부작용 및 일반적 주의

1) 발열, 발진, 독성표피괴사용해, 드레스증후군, 혈관염, 급성전신성발진성농포증(AGEP) 등의 과민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런 증상이 나타날 때는 투여를 중지한다.

2) 일과성의 SGOT, SGPT치의 상승 및 황달들의 간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잘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3) 각혈, 혈담, 비출혈,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호산구증다증, 혈소판 감소증, 출혈경향,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장애(프로트롬빈 시간의 비정상적인 연장이나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인자 감소) 등의 혈액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잘하고 이상이 있을 때는 투여를 중지한다.

4) 기억력 저하, 환각, 감정이변, 흥분, 불면, 초조감 등의 정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런 증상이나타날 때는 신중히 투여한다.

5)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런 증상이 나타날 때는 신중히 투여한다.

6) 두통, 현기, 권태감, 경련 등의 신경계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대량 투여로 드물게 근경련, 말초신경염, 사지 지각이상(지각과민, 미비감, 의주감)이 나타날 수 있다.

7) 대량 투여로 시신경염, 시신경 위축 증의 안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8) 식욕부진, 구역, 구토, 위통, 설사, 위부팽만감, 복통, 변비, 췌장염 등의 위장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9) 장기 투여시 전신 홍반성 낭창양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10) 드물게 쇽크양 증상을 일으키고 또 드물게 알레르기성으로 생각되는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과거에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자에게 투여할 경우나 본제의 간혈 투여 및 일시 중지하고 재투여할 경우는 특히 주의하여 투여한다.

11) 장기 투여를 받고 있는 부인에게 황체·난포호르몬 혼합제제의 월경주기 조정 작용이 약화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경구 피임제제의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12) 뇨, 대변, 타액, 담, 땀, 누액, 치아가 리팜피신 또는 그 대사 산물에 의해 등적색으로 착색된다. 또 혈청도 같은 모양으로 착색된다. 치아 변색은 영구적일 수 있다.

13) 환자는 다음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해야 한다 : 발진, 열, 림프절부종, 식욕감퇴, 불안, 오심, 구토, 어두운 뇨, 피부와 눈의 황변, 기침, 숨가쁨, 천명, 관절의 통증이나 부종.

14) 이 약은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장애와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비타민 K 결핍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예: 만성간질환, 영양상태불량, 항생제나 항응고제 장기 사용)의 경우,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응고 검사(프로트롬빈 시간과 다른 응고 검사)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비정상적인 응고 검사 및/또는 출혈이 발생할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고 비타민 K 보충제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

국외 시판 후 보고에 의하면 고용량의 세파졸린과 리팜피신 병용 투여는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중증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장애로 이어질 수 있고 이것은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출혈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세파졸린과 리팜피신을 병용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대체 치료법이 없을 경우, 프로트롬빈 시간과 다른 응고 검사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권고대로 비타민 K를 투여해야 한다.

15) 이 약에서 기이한 약물 반응(Paradoxical drug reaction)(질환의 재발, 낮은 치료 순응도, 약물 내성, 치료의 부작용 또는 이차 감염/진단 없이 이전에 적절한 항미코박테리아 치료로 개선을 보인 환자에서 새로운 증상, 신체적 징후 및 방사성 징후에 대한 발현 또는 재발)이 시판 후 사례로 보고되었다(‘이상반응’항 참조). 기이한 약물 반응은 종종 일시적이며 치료에 대한 반응 실패로 오인해서는 안 된다. 만약 항미코박테리아를 치료하는 동안 증상 또는 징후의 악화가 발생하는 경우 감별 진단하여 기이한 약물 반응으로 고려, 관찰 또는 치료한다.

16) 리팜피신 치료 시 간질성폐질환으로 발현되는 폐독성이 보고되었다. 폐독성은 폐염증, 과민성폐염증, 호산구성폐렴, 폐침습, 기질성폐렴을 포함하였으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폐독성은 치명적일 수 있다. 호흡부전, 폐섬유증, 그리고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포함하는 중증 폐독성의 증상 또는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즉시 중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실시해야 한다.


5. 약물 상호작용

1) 에탐부톨의 시력장애를 증강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에탐부톨과 병용할 경우는 시력장해에 대해 관찰을 잘 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2) 이 약이 영향을 미치는 약물대사효소 및 전달체로는 Cytochromes P450(CYP) 1A2, 2B6, 2C8, 2C9, 3A4, UDP-글루쿠론산전이효소(UDP-glucuronosyl transferases, UGT), 황산전달효소(sulfotransferases), 카르복실에스테라제(carboxyesterases)와 P-당단백(P-glycoprotein, P-gp) 및 다제 내성-관련 단백질 2(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2, MRP2)을 포함한 전달체가 있다. 대부분의 약물은 이러한 효소 또는 전달체 경로 한 개 이상에 대한 기질이며 해당 경로는 이 약으로 동시에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약은 대사를 활성화하고, 병용 투여한 특정 약물의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많은 약물 및 약물 계열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약물상호작용을 지속시킬 가능성이 있다.

3) 본제는 쿠마린계 항응고제의 작용을 약화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4) 본제는 다음 의약품의 작용을 증강한다.

항응고제, 항간질제, 교감신경 흥분제 및 부교감 신경억제제, 3환계 항우울제

5) 다음 의약품에 대량으로 길항하고 소량으로 증강한다.

경구 항 당뇨병용제, 인슈린

6) 설피탐과 병용시 협조곤란성 정서 장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7) 제산제 병용투여는 이 약의 흡수를 줄일 수 있다. 이 약은 제산제가 투여되기 최소 1시간 전에 투여되어야 한다.

8) 아토바쿠온을 이 약과 병용하면 아토바쿠온 농도는 감소하고, 이 약의 농도는 증가하며 독성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약과 아토바쿠온의 병용 투여는 권고되지 않는다.

9) 리팜피신은 답손의 제거율을 증가시켜 답손의 노출을 감소시킨다. 또한, 리팜피신은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답손의 히드록시아민 대사체 생성을 증가시킨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 또는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 투여할 경우는 신중히 투여한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다복용시 증상

리팜피신 : 피부, 소변, 땀, 침, 눈물, 대변, 치아의 적갈색 또는 오렌지 변색 증상이 일어나며 그 증상의 정도는 복용량에 비례한다.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