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약의 투여를 최적화하기 위해 혈중농도를 모니터할 필요는 없다. 이 약의 권장용량은 신장질환이 없는 경우, 노인을 포함한 모든 성인 및 소아에게 그대로 적용 한다. 식사와 관계없이 투여할 수 있다. 이 약은 1일 1회 투여한다. 1. 단독요법 단독요법으로 토피라메이트를 투여하기 위해 병용중인 다른 항전간약물을 중단할 경우, 발작조절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안전성 문제로 다른 항전간약물을 즉시 중단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2주 간격으로 다른 항전간약물을 1/3정도로 단계적으로 감량 중단하도록 한다(사용상 주의사항 “5. 일반적 주의”항 참조). 약물대사 효소 유도 약물을 중단시, 토피라메이트 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만약 임상적으로 토피라메이트의 농도 상승이 나타날 경우 이 약의 용량을 감량할 필요가 있다. - 성인 (만 17세 이상) - 소아(만 6-16세) 2. 부가요법 - 성인(만 17세 이상) - 소아(만 2-16세) 3. 신장애 환자 - 중등도 및 중증 (CLcr < 70 mL/min/1.73 m2)의 신장애 환자는 시작용량 및 유지용량의 약 1/2로 감량하는 것이 권장된다. - 혈액투석환자: 이 약은 혈액투석으로 혈장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혈액투석환자는 투석 당일에는 1일 투여량의 약 1/2에 해당하는 용량을 추가로 보충해 주어야 한다. 투석에 걸리는 시간, 투석장치의 청소율 및 투석환자의 신청소율 등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증량하고, 혈액투석의 시작과 종료 시에 분할 투여한다. 4. 간장애 환자 간장애 환자들은 이 약의 클리어런스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하여야 한다.
1) 자살과 자살관념 항간질약을 복용한 환자에서 자살관념 또는 자살행동의 위험성이 증가된다. 항간질약의 무작위배정 위약대조군 시험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에서 자살관념과 자살행동의 증가가 나타났다(항간질약 0.43%, 위약 0.24%). 이러한 위험의 증가에 대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항간질약을 치료받은 환자는 자살관념 또는 자살행동, 우울증의 발현 또는 악화 및 기분과 행동의 비정상적 변화에 대하여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항간질약을 처방받는 간질과 다른 많은 질병은 그 자체가 이환 및 사망, 치료기간 동안의 자살관념과 자살행동의 위험성증가와 관련된다. 따라서, 처방자는 항간질약 처방시 환자의 치료기간 동안 자살관념 또는 자살행동과 치료될 질병간의 연관성 유무 및 이 약의 유효성을 함께 고려한다. 2) 간질환자의 돌연사 이 약의 시판 전 개발 과정 도중 치료받던 환자(2,794 patient-years의 노출)에서 10명의 돌연사가 나타나 연간사망발생률은 0.0035에 해당된다. 비록 이 발생률이 건강한 인구 집단에서 예측되는 수치보다는 높으나, 이 약을 투여받지 않은 간질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돌연사의 발생률 추정범위 내에 있다(전체 간질환자에서의 발생률은 0.0005이며, 이 약의 경우와 유사한 임상시험 대상 환자 중의 발생률은 0.003이고, 치료불응성 간질환자에서의 발생률은 0.005이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장애 환자들은 안정 상태의 혈장 농도에 도달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서 임상적 결과(발작 횟수, 부작용)에 따라 용량적정을 실시하여야 한다(용법용량 ‘3. 신장애 환자’ 항목 참조). 2) 이 약은 혈액 투석에 의해 혈장에서 제거되므로 혈액투석 시 투석조건을 고려하여 용량을 증량하여야 한다. (예, 고효율 투석장치(역방향, 일회통과)를 이용하여 400 ml/min의 속도로 혈액투석을 하였을 때, 이 약의 청소율은 120 ml/min으로 건강인에서 경구투여시 청소율인 20~30 ml/min과 비교시 4~6 배 높은 청소율을 나타냈다.) 3) 이 약의 배설은 미변화체 및 대사체 모두 신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신장에서의 배설 속도는 신장 기능에 따라 다르며 연령과는 무관하다. 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갖는 환자의 경우 4-8일 만에 안정 상태의 혈장 속도에 도달하나 중등도 이상의 신장 기능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10-15일이 소요된다. 4) 어떤 환자들, 특히 신결석증의 소인이 있는 환자들은 신결석 형성 및 신산통, 신통증, 측복부 통증과 같은 신결석과 관련된 징후나 증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신결석에 대한 위험 인자로는 이전의 결석형성 경험, 신결석의 가족력 및 고칼슘뇨증이 있으나 이러한 인자들이 이 약 치료 도중의 신결석을 반드시 예견하는 것은 아니다. 5) 간장애 환자들은 이 약의 클리어런스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하여야 한다. 6) 이 약 투여 도중 만약 환자의 체중이 감소하거나 체중 증가가 적절치 못하다면 식이보조제나 음식 섭취의 증가를 고려하도록 한다. 4. 이상반응 가. 토피라메이트 속방정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약물 처방시 의사는 이러한 자료가 현재 사용중인 항전간제에 이 약을 추가투여하였을 때 얻어졌다는 것과 실제 환자 치료시에는 환자들의 특징과 다른 여러 요인들이 임상시험에서와 다르기 때문에 이상반응의 빈도를 예측하는데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한 빈도수를 다른 투여 약물과 다른 연구자에 의한 임상연구에서 얻어진 자료와 직접적으로 비교하여서는 안된다. 그러나, 이 빈도수는 임상시험에 참여했던 환자들에게 발생된 이상반응이 약물에서 기인했을 가능성과 그렇지 않았을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예측하는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표 1> 성인 대상 위약 대조 병용시험 중 보고된 이상반응 발생율(%)a,b(토피라메이트 투여군에서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신체부위/이상반응 이 약 투여량(mg/일) 위약 (291명) 200-400 (183명) 600-1,000 (414명) 일반적인 전신적 장애 피로 13.4 14.8 29.7 무력증 1.0 6.0 3.1 등통 4.1 5.5 2.9 흉통 3.4 3.8 2.4 인플루엔자양 증상 2.4 3.3 3.6 하지통 1.7 2.2 3.6 알레르기 1.0 1.6 2.9 조홍 1.4 1.6 0.7 체취 0.0 1.1 0.0 부종 1.4 1.6 1.0 경직 0.0 1.1 0.5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어지러움(dizziness) 15.1 24.6 32.1 운동실조 6.5 15.8 14.5 언어(speech)장애 2.1 13.1 11.4 안구진탕증 6.9 9.8 11.1 지각이상 3.8 10.9 19.1 진전 6.2 8.7 8.9 언어(Language)문제 1.0 6.0 10.4 조화이상 1.7 3.8 3.6 감각저하 0.7 2.2 1.2 보행이상 1.4 2.7 2.2 불수의적 근육수축 1.0 2.2 2.2 혼미 0.0 1.6 1.2 현기(vertigo) 1.0 1.1 1.7 위장관계 장애 구역 8.2 9.8 12.1 소화불량 6.2 7.1 6.3 복통 3.8 6.0 7.0 변비 2.4 3.8 3.4 위장염(gastroenteritis) 1.4 2.2 1.0 구갈 0.7 1.6 3.9 위장장애 NOS 0.3 1.1 0.0 치은염 0.3 1.1 1.2 청각 및 전정 장애 청각 이상 0.7 1.6 1.2 대사 및 영양 장애 체중 감소 3.1 9.3 12.8 근골격계 장애 근육통 0.7 1.6 1.7 골격통 0.0 1.1 0.0 혈소판, 출혈 및 응고 장애 비출혈 1.4 2.2 0.7 자반 0.7 1.1 0.0 정신의학적 장애 경면 12.0 29.0 27.8 정신운동 서행 2.4 12.6 20.8 신경과민 6.2 16.4 19.3 기억력 장애 3.1 12.0 14.5 착란 5.2 11.5 13.8 우울증 4.8 5.5 13.0 집중/주의력 장애 1.7 6.0 14.5 식욕부진 4.5 10.4 12.3 격앙 2.1 3.3 3.4 기분장애 2.1 3.8 9.2 공격적인 반응 1.7 2.7 2.9 인지 장애 1.0 2.7 2.9 리비도 감소 0.7 1.6 0.2 무감정 0.7 1.1 3.1 이인증 0.7 1.1 2.2 감정불안 1.4 2.7 2.7 생식기계 장애, 여성 (93명) (57명) (128명) 유방통 2.2 3.5 0.0 무월경 1.1 1.8 1.6 월경과다 0.0 1.8 0.8 월경이상 1.1 1.8 0.8 생식기계 장애, 남성 (198명) (126명) (286명) 전립선 장애 0.5 2.4 0.0 저항 기전 장애 감염 1.0 1.6 0.7 바이러스 감염 1.4 1.6 0.5 칸디다증 0.3 1.1 0.0 호흡기계 장애 비염 5.8 6.6 6.3 인두염 2.1 6.0 3.1 부비동염 4.1 4.9 5.6 호흡곤란 1.0 1.1 2.4 피부 및 피부부속기 장애 홍반성 발진 0.3 1.1 0.2 피부 장애 0.3 1.6 0.7 땀분비 증가 0.3 1.1 0.5 기타 특수 감각 장애 미각도착 0.0 1.6 3.9 비뇨기계 장애 요로감염 0.7 2.2 2.9 혈뇨 0.7 1.6 0.5 뇨실금 0.3 1.6 1.4 빈번한 배뇨 0.7 1.1 2.4 소변 이상 0.0 1.1 0.5 시각 장애 복시 5.5 10.4 10.4 시각이상 2.4 12.6 10.1 안구통 1.1 1.8 2.0 백혈구 및 세망내피계 장애 백혈구 감소증 0.7 1.6 1.2 적혈구 장애 빈혈 1.0 1.1 0.5 a 본 병용요법 시험에서 환자들은 이 약 또는 위약과 1-2가지의 항전간제를 함께 투여받았다. b 표에 나타난 값은 열거된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환자들은 1가지 이상의 이상반응을 보고할 수 있으므로, 한 카테고리 이상의 이상반응 항에 포함될 수 있다. <표 2> 5개의 위약조절, 병용요법 시험에서 보고된 용량관련 이상반응의 유발율(%) 이상반응 이 약 투여량(mg/일) 위약 (174명) 200 (45명) 400 (68명) 600 - 1,000 (247명) 피로 14.1 11.1 11.8 30.8 신경과민 7.5 13.3 17.6 20.6 집중/주의력장애 1.1 6.7 8.8 15.4 착란 5.2 8.9 10.3 15.0 우울증 6.3 8.9 7.4 13.4 식욕부진 4.0 4.4 5.9 11.3 언어장애 0.6 2.2 8.8 11.7 불안 5.2 2.2 2.9 9.3 기분이상 1.7 0.0 5.9 10.1 인식이상 외(NOS) 0.6 0.0 0.0 4.0 체중감소 2.3 4.4 8.8 12.6 진전 6.3 13.3 8.8 13.8 <표 3> 소아(16세 미만) 대상 위약대조 병용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발생율)a,b (토피라메이트 투여군에서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신체부위/이상반응 위약 (101명) 토피라메이트 (98명) 일반적인 전신적 장애 피로 5.0 16.3 상해 12.9 14.3 알레르기 반응 1.0 2.0 등통 0.0 1.0 창백 0.0 1.0 심혈관계 장애 - 일반 고혈압 0.0 1.0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보행이상 5.0 8.2 운동실조 2.0 6.1 운동과다증 4.0 5.1 어지러움(dizziness) 2.0 4.1 언어(speech)장애 2.0 4.1 경련 악화 3.0 3.1 반사저하 0.0 2.0 대발작 0.0 1.0 변실금 0.0 1.0 지각이상 0.0 1.0 위장관계 장애 구역 5.0 6.1 침분비 증가 4.0 6.1 변비 4.0 5.1 위장염(gastroenteritis) 2.0 3.1 연하곤란 0.0 1.0 위창자내공기참(flatulence) 0.0 1.0 위식도 역류 0.0 1.0 설염 0.0 1.0 치은 증식 0.0 1.0 심장 박동 장애 서맥 0.0 1.0 대사 및 영양 장애 체중 감소 1.0 9.2 갈증 1.0 2.0 저혈당증 0.0 1.0 체중 증가 0.0 1.0 혈소판, 출혈 및 응고 장애 자반 4.0 8.2 비출혈 1.0 4.1 혈종 0.0 1.0 프로트롬빈 증가 0.0 1.0 혈소판감소증 0.0 1.0 정신의학적 장애 경면 15.8 25.5 식욕부진 14.9 24.5 신경과민 6.9 14.3 인격장애(행동 장애) 8.9 11.2 집중/주의력 장애 2.0 10.2 공격적 반응 4.0 9.2 불면 6.9 8.2 기분 장애 6.9 7.1 기억력 장애 0.0 5.1 감정 불안정 5.0 5.1 착란 3.0 4.1 정신운동 서행 2.0 3.1 식욕 증가 0.0 1.0 신경증 0.0 1.0 생식기계 장애, 여성 백대하 0.0 2.3 저항 기전 장애 바이러스 감염 3.0 7.1 감염 3.0 3.1 호흡기계 장애 상기도 감염 36.6 36.7 폐렴 1.0 5.1 호흡 장애 0.0 1.0 피부 및 부속기 장애 피부 장애 2.0 3.1 탈모 1.0 2.0 피부염 0.0 2.0 다모증 1.0 2.0 홍반성 발진 0.0 2.0 습진 0.0 1.0 지루 0.0 1.0 피부 변색 0.0 1.0 비뇨기계 장애 뇨실금 2.0 4.1 야간뇨 0.0 1.0 시각 장애 눈 이상 1.0 2.0 시각이상 1.0 2.0 복시 0.0 1.0 눈물이상 0.0 1.0 근시 0.0 1.0 백혈구 및 세망내피계 장애 백혈구감소증 0.0 2.0 5) 또한 모든 임상시험 기간 동안 1,715명의 간질 환자에게 토피라메이트를 보조요법제로서 투여하여 나타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자주 : 1% 이상, 때때로 : 0.1% ~ 1%, 드물게 : 0.1% 미만 환자에서 발생) 6) 임상시험데이터 이 약의 안전성을 1차성 강직성-간대성 전신발작, 부분발작, 레녹스-가스토 증후군과 관련된 발작, 처음 또는 최근 진단된 간질 또는 편두통의 치료를 위해 20건의 이중맹검시험에 참여한 4,111명의 환자(이 약 : 3,182명, 위약 : 929명)와 34건의 공개(open-label)시험에 참여한 2,847명의 환자로 구성된 임상시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평가하였다. 본 항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통합데이터로부터 도출되었다. 모든 이상약물반응의 대부분은 경증 내지 중등도였다. <표 4>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간질 보조요법 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성인 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약물반응 전신/조직계 이상약물반응 이 약 200-400 mg/day (N=354) % 이 약 600-1000 mg/day (N=437) % 위약 (N=382) % 대사 및 영양장애 식욕부진 5.4 6.2 1.8 식욕감소 5.1 8.7 3.7 정신장애 정신완서 8.2 19.5 3.1 어휘선택장애 4.5 9.4 1.6 혼돈상태 3.1 5.0 0.8 우울증 3.1 11.7 3.4 불면 3.1 6.4 4.5 공격성 2.8 3.2 1.8 초조 1.7 2.3 1.3 분노 1.7 2.1 0.5 불안 1.7 6.6 2.9 방향감장애 1.7 3.2 1.0 기분변화 1.7 4.6 1.0 신경계장애 졸음 17.8 17.4 8.4 어지러움 16.4 34.1 13.6 감각이상 8.2 17.2 3.7 조화이상 7.1 11.4 4.2 안구진탕 6.2 11.7 6.8 기면 5.6 8.0 2.1 말더듬증 5.4 6.2 1.0 기억장애 5.1 10.8 1.8 주의력장애 4.5 11.9 1.8 떨림 4.0 9.4 5.0 건망증 3.4 5.3 1.0 균형장애 3.4 3.9 2.4 감각저하 3.1 5.9 1.0 활동떨림(intention tremor) 3.1 4.8 2.9 미각이상 1.4 4.3 0.8 정신장애 1.4 5.0 1.3 언어장애 1.1 2.7 0.5 눈 장애 복시 7.3 12.1 5.0 흐린 시야 5.4 8.9 2.4 시각장애 2.0 1.4 0.3 위장관 장애 구역 6.8 15.1 8.4 설사 5.1 14.0 5.2 상복부통증 3.7 3.9 2.1 변비 3.7 3.2 1.8 위불편감 3.1 3.2 1.3 소화불량 2.3 3.0 2.1 입안 건조 1.7 3.7 0.3 복통 1.1 2.7 0.8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근육통 2.0 2.5 1.3 근육연축 1.7 2.1 0.8 근골격 흉통 1.1 1.8 0.3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피로 13.0 30.7 11.8 과민 9.3 14.6 3.7 무력증 3.4 3.0 1.8 보행장애 1.4 2.5 1.3 조사 체중감소 9.0 11.9 4.2 성인의 보조요법에 대한 권장용량은 200-400 mg/day이다. <표 5>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간질 보조요법 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소아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약물반응 전신/조직계 이상약물반응 이 약(N=104) % 위약(N=102) % 대사 및 영양장애 식욕감소 19.2 12.7 식욕부진 5.8 1.0 정신장애 공격성 8.7 6.9 이상행동 5.8 3.9 혼돈상태 2.9 2.0 기분변화 2.9 2.0 신경계 장애 졸음 15.4 6.9 기면 13.5 8.8 주의력장애 10.6 2.0 균형장애 5.8 2.0 어지러움 4.8 2.9 기억 장애 3.8 1.0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코피 4.8 1.0 위장관 장애 변비 5.8 4.9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6.7 5.9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피로 16.3 4.9 과민 11.5 8.8 보행장애 4.8 2.0 조사 체중감소 9.6 1.0 소아(2-16세)의 보조요법에 대한 권장용량은 5-9 mg/kg/day이다. <표 6>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간질 단독요법 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성인 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약물반응 전신/조직계 이상약물반응 이 약 50 mg/day (N=257) % 이 약 400 mg/day (N=153) % 혈액 및 림프계 장애 빈혈 0.8 2.0 대사 및 영양 장애 식욕부진 3.5 12.4 식욕감소 2.3 2.6 정신 장애 우울 4.3 8.5 불안 3.9 6.5 정신완서 2.3 4.6 어휘선택장애 3.5 4.6 우울감 0.8 2.6 기분변화 0.4 2.0 기분동요 1.6 2.0 신경계장애 감각이상 18.7 40.5 기억장애 1.2 7.2 미각이상 2.3 5.9 감각저하 4.3 5.2 균형장애 1.6 3.3 말더듬증 1.6 2.6 인지장애 0.4 2.0 기면 1.2 2.0 정신장애 0.8 2.0 정신운동 기술 장애 0 2.0 진정 0 1.3 시야결손 0.4 1.3 눈 장애 눈건조 0 1.3 귀 및 미로 장애 귀 통증 0 1.3 이명 1.6 1.3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호흡곤란 1.2 2.0 콧물 0 1.3 위장관 장애 설사 5.4 6.5 구강 감각이상 1.2 3.3 입안 건조 0.4 2.6 위염 0.8 2.6 복통 1.2 2.0 위식도역류질환 0.4 2.0 잇몸출혈 0 1.3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0.4 3.9 탈모 1.6 3.3 가려움 0.4 3.3 얼굴 감각저하 0.4 2.0 전신적 가려움 0 1.3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근육연축 2.7 3.3 관절통 1.9 2.0 근육단일수축 0.4 1.3 신장 및 비뇨기 장애 신결석 0 2.6 배뇨장애 0.8 2.0 빈뇨증 0.8 2.0 생식기계 및 유방 장애 발기부전 0.8 1.3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피로 15.2 14.4 무력증 3.5 5.9 과민 3.1 3.3 조사 체중감소 7.0 17.0 성인의 단독요법에 대한 권장용량은 400 mg/day이다. <표 7>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간질 단독요법 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소아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약물반응 전신/조직계 이상약물반응 이 약 50 mg/day (N=77) % 이 약 400 mg/day (N=63) % 대사 및 영양 장애 식욕감소 1.3 4.8 정신 장애 정신완서 0 4.8 기분변화 1.3 4.8 우울증 0 3.2 신경계 장애 감각이상 3.9 15.9 주의력장애 3.9 7.9 귀 및 미로 장애 현기증 0 3.2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코피 0 3.2 위장관장애 설사 3.9 9.5 구토 3.9 4.8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탈모 0 6.3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발열 0 6.3 무력증 0 4.8 조사 체중감소 7.8 20.6 사회적 상황 학습장애 0 3.2 10세 이상 소아의 단독요법에 대한 권장용량은 400 mg/day이다. <표 8>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편두통 예방요법 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성인 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약물반응 전신/조직계 이상약물반응 이 약 50 mg/day (N=227) % 이 약 100 mg/day (N=374) % 이 약 200 mg/day (N=501) % 위약 (N=436) % 대사 및 영양 장애 식욕부진 3.5 7.5 7.2 3.0 식욕감소 5.7 7.0 6.8 3.0 정신 장애 불면 4.8 7.0 5.6 3.9 불안 4.0 5.3 5.0 1.8 어휘선택장애 6.6 5.1 5.2 1.4 우울증 3.5 4.8 7.4 4.1 우울감 0.4 2.9 2.0 0.9 혼돈상태 0.4 1.6 2.0 1.1 기분 동요 1.8 1.3 1.0 0.2 정동 불안정 0.4 1.1 0.2 0.2 정신완서 1.8 1.1 3.4 1.4 신경계 장애 감각이상 35.7 50.0 48.5 5.0 미각이상 15.4 8.0 12.6 0.9 감각저하 5.3 6.7 7.4 1.4 주의력 장애 2.6 6.4 9.2 2.3 불면 6.2 5.1 6.8 3.0 기억 장애 4.0 4.5 6.2 1.6 건망증 3.5 2.9 5.2 0.5 떨림 1.3 1.9 2.4 1.4 균형장애 0.4 1.3 0.4 0 정신장애 0.4 1.1 1.8 0.9 눈 장애 흐린 시야 4.0 2.4 4.4 2.5 귀 및 미로 장애 이명 0.4 1.3 1.6 0.7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호흡곤란 1.3 2.7 1.6 1.4 코피 0.4 1.1 0.6 0.5 위장관 장애 구역 9.3 13.6 14.6 8.3 설사 9.3 11.2 10.0 4.4 입안 건조 1.8 3.2 5.0 2.5 구강 감각이상 1.3 2.9 1.6 0.5 변비 1.8 2.1 1.8 1.4 복부팽만 0 1.3 0.2 0.2 위불편감 2.2 1.3 1.0 0.2 위식도역류질환 0.4 1.1 1.2 0.5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근육단일수축 1.8 1.3 1.8 0.7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피로 15.0 15.2 19.2 11.2 무력증 0.9 2.1 2.6 0.5 과민 3.1 1.9 2.4 0.9 갈증 1.3 1.6 1.0 0.5 조사 체중감소 5.3 9.1 10.8 1.4 편두통 예방요법에 대한 권장용량은 100 mg/day이다. <표 9> 이중맹검 임상시험에서 이 약 투여 성인 환자의 1% 미만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또는 공개시험에서 이 약 투여 성인 환자에서 보고된 모든 이상약물반응 혈액 및 림프계 장애 백혈구감소증, 림프절종창, 혈소판감소증 면역계 장애 과민증 대사 및 영양 장애 고염소혈증성 산증, 저칼륨증, 식욕증가, 대사성산증, 다음다갈증 정신 장애 이상행동, 성 불감증, 감정둔마, 울음, 주의산만, 성 흥분 장애, 말더듬음, 조기기상, 고양된 기분, 다행감, 정동둔마, 환각, 환청, 환시, 경조증, 초기 불면증, 자발적 발화 결여, 성욕 감소, 나른함, 성욕 상실, 조증, 중도불면증, 극치감 감소, 공황발작, 공황장애, 공황반응, 편집증, 고집증, 읽기장애, 안절부절, 수면장애, 자살 관념, 자살시도, 눈물이 많아짐, 이상사고(thinking abnormal) 신경계 장애 미각상실, 운동불능, 후각상실, 언어상실, 행위상실증, 전조, 작열감, 소뇌증후군, 일주기율동수면장애, 어둔함, 복합부분발작, 경련, 의식상태저하, 기립성 어지러움, 침흘림, 감각이상, 쓰기장애, 운동이상, 언어장애, 근육긴장이상, 본태성 떨림, 의주감(formication), 대발작, 지각과민, 과다수면, 미각저하, 운동감소, 후각저하, 말초신경병증, 이상후각, 수면의 질 저하, 실신전조, 반복적 언어, 감각장애, 감각상실, 혼미, 실신, 자극에 대한 무반응 눈 장애 조절장애, 시각적 심도 지각 변화, 약시, 눈꺼풀연축, 일시적 시각상실, 한쪽 시각상실, 녹내장, 눈물흘림증가, 동공산대, 야맹증, 광시증, 노안, 섬광암점, 암점, 시력 감퇴 귀 및 미로 장애 난청, 감각신경 난청, 한쪽 난청, 귀 불편감, 청각장애 심 장애 서맥, 동 서맥, 두근거림 혈관 장애 홍조, 안면홍조, 기립성 저혈압,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발성장애, 운동호흡곤란, 코막힘, 부비동 과다분비 위장관 장애 복부 불편감, 하복부 통증, 복부압통, 구취, 명치부 불편감, 위창자내공기참, 혀통증, 구강 감각저하, 구강 통증, 췌장염, 침 과다분비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무한증(땀없음증), 알레르기성 피부염, 홍반, 반상 발진, 피부변색, 피부냄새이상, 얼굴부기, 두드러기, 국소적 두드러기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옆구리 통증, 근육피로, 근육약화, 근골격 경직 신장 및 비뇨기계 장애 요관결석, 뇨결석, 혈뇨, 실금, 급박뇨, 신산통, 신장통증, 뇨실금 생식기계 및 유방 장애 성기능장애 일반적 장애 석회증, 안면부종, 이상느낌, 술취한 느낌, 신경질, 권태감, 말초냉증, 나태함 조사 혈중 중탄산나트륨 감소, 결정형 뇨의 존재, 일렬보행테스트 이상(tandem gait test abnormal), 백혈구수 감소 <표 10> 이중맹검 임상시험에서 이 약 투여 소아 환자의 2% 미만에서 보고된 이상약물반응 또는 공개시험에서 이 약 투여 소아 환자에서 보고된 모든 이상약물반응 혈액 및 림프계 장애 호산구증가증, 백혈구감소증, 림프절종창, 혈소판감소증 면역계 장애 과민증 대사 및 영양 장애 고염소혈증성 산증, 저칼륨증, 식욕증가 정신장애 분노, 감정둔마, 울음, 주의산만, 어휘선택장애, 초기 불면증, 불면, 중도불면증, 기분 동요, 고집증, 수면 장애, 자살관념, 자살시도 신경계장애 일주기율동수면장애, 경련, 말더듬증, 미각이상, 대발작, 감각저하, 정신장애, 안구진탕, 이상후각, 수면의 질 저하, 정신운동 과다, 정신운동 기술 장애, 실신, 떨림 눈 장애 복시, 눈물흘림증가, 흐린 시야 귀 및 미로 장애 귀 통증 심 장애 두근거림, 동 서맥 혈관장애 기립성 저혈압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코막힘, 부비동 과다분비, 콧물 위장관 장애 복부 불편감, 복통, 입안 건조, 위창자내공기참, 위염, 위식도역류질환, 잇몸 출혈, 혀통증, 췌장염, 구강 감각이상, 위장 불편감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관절통, 근골격 경직, 근육통 신장 및 비뇨기계 장애 실금, 급박뇨, 빈뇨증 일반적 장애 이상느낌, 고열, 권태감, 나태함 7) 시판 후 조사 및 기타 <표 11>자발적인 보고율로부터 추정한 빈도에 따른 이 약의 시판 후 경험에서 밝혀진 이상약물반응 감염 및 기생충 침입 매우 드물게 비인두염 혈액 및 림프계 장애 매우 드물게 호중구감소증 면역계 장애 매우 드물게 알레르기성 부종 정신장애 매우 드물게 절망감 눈 장애 매우 드물게 눈의 이상감각 매우 드물게 폐쇄각 녹내장 매우 드물게 결막부종 매우 드물게 눈 운동 장애 매우 드물게 눈꺼풀 부종 매우 드물게 황반병증 매우 드물게 근시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매우 드물게 기침 심 장애 드물게 가슴불편감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매우 드물게 다형성 홍반 매우 드물게 눈주위 부종 매우 드물게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Stevens-Johnson syndrome) 매우 드물게 독성표피괴사용해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흔하지 않게 말초 부종 매우 드물게 관절 부기 매우 드물게 팔다리 불편감 신장 및 비뇨기계 장애 매우 드물게 신세뇨관산증 일반적 장애 및 투여 부위 반응 매우 드물게 전신적 부종 매우 드물게 인플루엔자 유사 질병 조사 매우 드물게 체중증가 흔하지 않게 식은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보고된 이상반응을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이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치 못한 약물이상반응으로는 가슴불편감, 말초부종이 각 1례씩 보고되었다. ④ 또한 편두통에 대한 재심사 기간 동안 별도의 임상시험 수행을 통해 보고된 예상치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말초부종 1건(0.41%), 식은땀 1건(0.41%)씩이 보고되었다. ⑤ 항간질약을 치료받은 환자는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우울증의 발현 또는 악화 및 기분과 행동의 비정상적 변화를 보인다. - 11종의 다른 항간질약을 사용하여 199개의 위약-대조 임상 시험(단독요법과 부가요법)을 분석한 결과 항간질약 복용환자는 위약 투여환자와 비교시 약 2배의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의 위험을 보였다. 12주의 치료기간 동안 자살행동 또는 자살충동 발생율은 27,864명의 항간질약 치료환자에서 0.43%였으며 16,029명의 위약 투여 환자에서는 0.24%였다. 이는 치료받은 530명 환자 중 한명은 자살 충동 또는 자살 행동을 보인 것을 의미한다. 동 약물 치료 환자에서 4건의 자살이 있었고 위약 치료 환자에서의 자살은 없었다. 그러나, 자살 예수가 너무 적어 이 약과 자살의 연관성을 결론지을 수는 없다. - 항간질약 복용에 의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의 위험증가는 약물치료를 시작 초기 1주에 관찰되었고 치료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대부분의 임상시험은 24주 이상을 초과할 수 없었으며 24주를 초과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의 위험은 평가할 수 없었다. -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위험은 분석된 11종의 항간질약에서 일관적이었다. 다양한 작용기전과 사용범위를 가진 항간질약에서의 위험성 증가는 어떤 효능으로든 사용된 모든 항간질약에 대해서도 위험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그 위험성은 분석된 임상시험에서 연령(5-100세)에 따라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나. 토피라메이트 서방캡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표12> 임상시험에서 위약 대비 2% 이상 증가한 약물의 투여와 관련이 있는 이상반응 신체기관/이상반응 위약(N=125) 토피라메이트 서방캡슐 200mg (N=124) 전신 질환 피로 5 6 무기력 1 2 과민 1 2 신경계 질환 졸림 2 12 어지럼증 6 7 저림 2 7 실어증 0 2 구음장애 1 2 기억장애 1 2 정신 질환 정신운동지체 0 2 심혈관질환 고혈압 1 3 대사 및 영양 장애 체중 감소 0 7 식욕저하 2 4 식욕부진 1 2 발현빈도 기관계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0.46%(3/646명, 3건) 흔하지 않게 (0.1~ 1%미만) 신경계 질환 뇌전증 악화, 정신 이상(이해력 저하) 5. 일반적 주의 1) 환자 및 보호자에게 항간질약이 우울증의 징후 및 증상의 발현 또는 악화, 비정상적 기분과 행동의 변화, 자살충동 및 자살행동 또는 자해충동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려 환자에게 이러한 증상 또는 행동이 발현될 경우 즉시 의료전문가에게 보고될 수 있도록 한다. 2) 발작 혹은 간질 병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이 약을 포함한 항전간제의 투약중단은 발작 발생 가능성 또는 발작 빈도의 증가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임상시험에서, 성인 간질 환자를 대상으로 1주일 단위로 일일용량을 50-100mg씩 줄였고, 편두통 예방요법으로 이 약을 1일 100mg까지 투여받던 성인에서 1주일 단위로 일일용량을 25-50mg씩 감량하였다. 소아 대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은 2-8 주에 걸쳐 점진적으로 투약 중단되었다. 이 약을 빠르게 투약 중단해야 할 의학적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3) 이 약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졸음, 현기 또는 다른 관련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졸음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항전간제보다 더 진정작용이 있을 수도 있다. 이것은 또한 시각 장애 및/혹은 시야흐림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이 약에 대한 각 환자의 경험이 확립될 때까지 운전을 하거나 기계를 조작하는 환자에게는 잠재적인 위험이 될 수도 있다. 4) 이 약을 투여 중에는 적절한 수분 공급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분 공급은 신결석 형성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운동이나 높은 기온에 노출되기 전 및 중에 적절한 수분 공급을 하는 것은 열과 관련된 이상반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4.이상반응 항 참조). 5) 이 약 치료 중 기분 장애 및 우울증의 발생 빈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6) 이중맹검 임상시험에서 자살관련 사례(자살관념, 자살시도, 및 자살)가 토피라메이트 투여환자에서는 0.5%의 빈도(투여환자 8652명 중 46명)로 나타났고, 위약 투여환자에서는 0.2%의 빈도(투여환자 4045명 중 8명)로 나타났다. 양극성 장애에 대한 이중맹검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 한 명이 자살하였음이 보고되었다. 7)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이차성 협우각 녹내장과 관련된 급성 근시 증후군이 보고되었으며 그 증상에는 갑작스런 시력저하 및/또는 안통이 포함된다. 안과적인 검사시 근시, 좁아진 전방, 안 충혈 및 안압 상승이 관찰될 수 있다. 산동은 나타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 증후군은 모양체상방 삼출(supracilliary effusion)로 인한 수정체와 홍체의 전방 이동 및 이차성 협우각 녹내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증상은 이 약 투여 시작 1개월 내에 나타난다. 40세 미만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는 원발성 협우각 녹내장과 달리 토피라메이트와 관련된 이차성 협우각 녹내장은 성인과 소아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처치로는 치료 의사의 판단하에 가능한 빨리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고 안압을 저하시키는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한다. 이러한 처치로 일반적으로 안압이 저하되었다. 어떤 병에 의한 안압상승이라도 치료받지 않으면 영구 시력손실을 포함한 심각한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다. 8)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안압 상승과 독립적으로 시야결손이 보고되었다. 임상시험에서 이러한 반응의 대부분은 이 약 중단 후 가역적이었다. 만일 이 약 치료 중 어느 때라도 시각 문제가 발생한다면 약물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 9) 음이온 차의 변화 없는(non-anion gap) 고염소혈증성 대사성 산증(호흡성 알칼리혈증 없이 정상 범위 이하로 혈청 중탄산염 농도 저하)이 이 약 치료와 관련이 있다. 혈청 중탄산염의 저하는 신장의 carbonic anhydrase에 대한 이 약의 저해 효과로 인한 것이다. 중탄산염 농도의 저하는 이 약 투여 중 어떤 시기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치료 초기에 발생한다. 이 감소는 대개 경미하거나 중등도(성인에서 100mg/일 이상의 용량 및 소아에서 약 6mg/kg/일 용량에서 평균 4mmol/L 저하)이다. 드물게 10mmol/L 아래로의 저하가 보고되었다. 신장 질환, 심한 호흡계 질환, 간질 중첩증, 설사, 수술, 케톤 식이, 특정 약물 등 산증의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상태 혹은 치료가 이 약의 중탄산염 농도 저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소아 환자에서 만성적인 대사성 산증은 성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어느 시점에서든 대사성 산증이 모든 속방형 토피라메이트 투여군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연구에서 속방형 토피라메이트를 투여한 환자가 지속성 대사성 산증을 레비티라세탐 투여군 대비 76% 더 경험하였다. 전체 연구에서 속방형 토피라메이트를 투여한 환자에서 현저히 비정상적으로 낮은 혈청 중탄산염 수치가 레비티라세탐 투여군 대비 35% 더 나타났다. 이는 더 중증인 대사성 산증의 빈도를 의미한다. 12개월 시점에서의 골밀도 감소는 혈청 중탄산염 수치 감소와 연관이 있었는데, 이는 최소한 대사성 산증이 골밀도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부분적 요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속방형 토피라메이트 투여한 소아에서 대조군 대비 혈청 크레아티닌이 증가할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에서의 성장 및 뼈와 관련된 결과에 대한 이 약의 영향은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기존의 상태에 따라, 이 약 치료 중에는 혈청 중탄산염 농도를 포함한 적절한 평가가 권장된다. 대사성 산증이 발현되고 지속되는 경우 이 약의 용량을 감량하거나 중단(서서히 감량하여 중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10) 토피라메이트의 투여로 입원이 필요할 수도 있는 땀분비 감소증이 보고되었다. 땀분비 감소증은 체온 상승을 동반하며 특히 높은 온도에 노출된 어린이에게서 보고되었다. 더운 날씨에 토피라메이트를 투여받는 소아 환자에 대하여는 땀분비 감소와 체온 증가를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하며, 열과 관련된 질환의 소인을 가진 환자들에게 이 약을 처방할 경우 주의하여야 한다. 아래에서 “영향없음”은 15% 이하의 변화를 말한다. 1) 다른 항전간제에 대해 이 약이 미치는 영향 다른 항전간제(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발프론산,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에 대한 이 약의 첨가 투여는 다른 약제의 안정 상태의 혈장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단지 페니토인을 복용중인 어떤 환자의 경우 이 약의 투여가 페니토인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페니토인 투여 환자 중 임상적으로 독성 징후나 증상이 보이는 환자는 페니토인 농도를 모니터해야 한다. 간질 환자에서의 약물동력학적 상호작용 연구 결과 라모트리진에 이 약 100-400mg/일을 추가하는 것은 라모트리진의 정상 상태의 혈장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라모트리진(평균 327mg/일) 병용 중 혹은 중단 후에 토피라메이트의 정상상태 혈장 농도에도 변화가 없었다. 2) 이 약에 대하여 다른 항전간제가 미치는 영향 페니토인과 카르바마제핀은 이 약의 혈장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이 약 치료시에 페니토인 또는 카르바마제핀을 병용투여하거나 투여중단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임상적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이 약의 투여량을 조정해야 한다. 발프론산의 병용투여 및 투여중단은 이 약의 혈장농도에 임상적으로 유의성있는 변화를 주지 않으므로 이 약의 투여량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병용 항전간제 항전간제 농도 토피라메이트 농도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발프론산 라모트리진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 ↔ ↔ ↔ ↔ ↔ ↓(48%) ↓(40%) ↔ ↔ NS NS ↔ : 혈장농도에 영향 없음(15% 이하의 변화), ** : 혈장농도가 상승된 환자 있었음 ↓ : 혈장농도 저하 NS : 연구되지 않음(Not Studied) 3) 기타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4) 기타 형태의 상호작용 병용약물 병용약물의 농도a 토피라메이트 농도 아미트립틸린 ↔ 노르트립틸린 대사체의 Cmax와 AUC 20% 증가 NS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 (경구, 피하) ↔ ↔ 할로페리돌 ↔ 환원 대사체의 AUC 31% 증가 NS 프로프라놀롤 ↔ 4-OH 프로프라놀롤에 대한 Cmax 17% 증가(토피라메이트 50mg 매 12시간) Cmax 9% 및 16%, AUC 9% 및 17% 증가 (각각 프로프라놀롤 40mg 및 80mg 매 12시간) 수마트립탄(경구, 피하) ↔ NS 피조티펜 ↔ ↔ 딜티아젬 딜티아젬 AUC 25% 감소 DEA 18% 감소 DEM* ↔ AUC 20% 증가 벤라팍신 ↔ ↔ 플루나리진 AUC 16% 증가 (토피라메이트 50mg 매 12시간)b ↔ a 단독 투여시와 비교시 변화된 % ↔ = 모약물(parent drug)의 Cmax와 AUC에 영향 없음(15% 이하 변화) NS = 연구되지 않음(Not Studied) * DEA = 데스아세칠딜티아젬, DEM = N-디메칠딜티아젬 b 플루나리진 단독 투여시 플루나리진 AUC가 14% 증가되었다. 정상상태 도달 기간 중의 노출 증가의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은 동물실험(마우스, 랫트, 토끼)에서 최기형성을 보였다. 랫트에서 이 약은 태반관문을 통과한다. 임부에 대한 이 약의 적절하고, 잘 관리된 연구는 없다. 이 약은 임부가 복용했을 때 태아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임신등록기구(Pregnancy registeries)의 자료분석결과, 자궁 내에서 토피라메이트에 노출됐던 유아들의 경우 선천성 기형(예, 구순열/구개열과 같은 두개안면결손, 요도밑열림증, 및 여러 신체기관과 관련된 기형)의 위험이 증가되었다. 이는 토피라메이트 단독요법 및 다제병용요법의 일부로서 토피라메이트를 사용한 것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이러한 등록체계 및 기타 시험에서 얻은 데이터는 단독요법과 비교했을 때 병용요법에서 항간질약의 사용과 관련된 최기형작용의 위험 증가를 나타낸다. 항간질약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 약 단독 요법의 등록 데이터에서 저체중출생(2500g 미만)의 높은 유병률이 나타났다. 임신등록기구의 자료분석 결과, 자궁 내 토피라메이트 단독요법에 노출된 영아에서 부당 경량아(SGA: 임신주수로 보정되고, 성별로 층화된 10번째 백분위수 미만의 출생체중으로 정의)의 빈도 증가가 보고되었다. 부당 경량아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저 출생체중과 부당 경량아에 대한 인과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임신 중에는 이 약 치료시의 유익성이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해야 한다.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적절한 피임을 하도록 권장한다.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을 치료 및 상담할 때는 위험성에 대비한 유익성을 숙고하여야 하고, 대체가능한 치료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임신 중에 이 약을 사용하거나 이 약을 투여 중에 임신하게 된 경우, 환자에게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알려주어야 한다. 2) 토피라메이트는 랫트의 유즙으로 분비된다. 토피라메이트의 사람의 모유중으로의 분비에 대해서는 대조 연구되지 않았으며, 모유 중으로 이 약이 상당히 분비됨을 암시하는 제한된 관찰이 있었다. 많은 약물들이 사람의 모유 중으로 분비되므로, 약물 투여의 모체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여, 수유를 중단할지 약물을 중단할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2세 미만의 소아에는 안전성,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9.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1) 임상시험에서 이 약이 혈청 중탄산염 농도를 평균 4 mmol/L 저하시킴이 보고되었다. 2) 이중맹검시험에서 3.5mmol/L 미만의 혈청 칼륨 감소로 정의되는 저칼륨혈증이 위약 투여 피험자의 0.1%에서 보고된 것과 비교하여 토피라메이트 투여 피험자의 0.4%에서 보고되었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토피라메이트 과량복용이 보고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징후 및 증상이 있었다. : 두통, 경련, 졸음, 언어장애(speech disturbance), 흐린 시야, 복시, 정신작용 저하, 기면, 대사성산증, 저칼륨혈증, 협조운동이상, 혼미, 저혈압, 복통, 초조, 어지러움, 우울증. 대부분의 사례에서 임상 경과는 심각하지 않았지만 토피라메이트를 포함한 여러 가지 약물을 과량 복용한 사례에서 사망이 보고되었다. 토피라메이트의 과량투여는 심한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5. 일반적주의 항 참조). 토피라메이트의 보고된 최대 과량투여량은 96-110g이었고, 20-24시간 동안 혼수상태가 지속되다가 3-4일 후 완전히 회복되었다. 2) 치료 급성 과량복용시, 복용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다면 즉시 위세척이나 구토를 유발시켜 위를 비워야 한다. 약용탄은 in vitro에서 토피라메이트를 흡착함이 관찰되었다. 적절한 보조 처치를 해야 한다. 혈액투석은 이 약을 체내에서 제거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겨져 왔다. 환자에게 충분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한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 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할 것 3) 약/음식을 혼합하여 보관하지 말 것(캡슐제에 한함) 12. 기타 1) 21개월 동안 음식에 토피라메이트를 투여한(20, 75, 300mg/kg) 마우스에서 방광 종양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2) 120mg/kg(mg/m2에 근거한 권장 임상용량의 약 3배)까지의 용량의 토피라메이트를 2년 동안 경구 투여한 랫트에서 발암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토피라메이트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변이원성이 없었다. 3) 100mg/kg(mg/m2에 근거한 권장 임상용량의 약 2.5배)까지의 용량을 투여한 랫트에서 암수컷의 수정능에 영향이 없었다.
6.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