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크로리무스 수화물, 분량 : 5.1,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타크로리무스로서 5밀리그램, 비고 :
타크로리무스로서 1회 체중 kg당 0.10 mg을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주사액으로 희석하여 24시간에 걸쳐 점적 정맥주사한다.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되면 가능한 빨리 경구 투여로 전환한다. 2. 간이식 타크로리무스로서 1회 체중 kg당 0.05 mg을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주사액으로 희석하여 4~12시간에 걸쳐 1일 2회 점적 정맥주사한다.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되면 가능한 빨리 경구투여로 전환한다. 3. 골수이식 - 골수이식후에 따르는 조직이식 거부반응과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 versus-host disease) : 이식 1일전부터 타크로리무스로서 1회 체중 kg당 0.03 mg을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 주사액으로 희석하여 24시간에 걸쳐 점적 정맥주사한다.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되면 가능한 빨리 경구 투여로 전환한다. - 이식편대숙주질환 : 발현후에 투여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타크로리무스로서 1회 체중 kg당 0.10 mg을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 주사액으로 희석하여 24시간에 걸쳐 점적 정맥주사한다.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되면 가능한 빨리 경구투여로 전환한다. 이 약은 환자에 따라 개인차가 있으므로, 혈중농도가 높은 경우의 이상반응, 혈중농도가 낮은 경우의 거부반응 및 이식편대숙주질환 발현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상황에 따라서 혈중농도를 측정하고, 최저혈중약물농도를 참고로 하여 투여량을 조절한다. 특히 이식 직후 혹은 투여 개시 직후는 자주 혈중농도 측정을 한다.
2. 간이식 : 동종의 간이식 환자에 대한 거부반응 방지 3. 골수이식 - 조직이식 거부반응 방지 -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 versus-host disease, GVHD) 방지
1) 면역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감염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와 림프종의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약은 면역억제제의 치료에 대한 경험과 이식 환자의 치료 경험이 있는 의사만이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이 약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는 적절한 실험실과 기타 의료시설 및 의료진을 갖춘 상태에서 관찰되어야 하며 유지요법을 행하는 의사도 환자의 follow-up에 대한 모든 정보를 받아야 한다. 2) 이 약은 신장 혈관계에 대한 혈관수축 효과, 독성 세뇨관병증 및 간질성 신세뇨관 효과로 인해 이식 환자에서 급성 및 만성 신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미국 및 유럽에서 실시한 무작위배정 시험에서 각각 이 약을 투여받은 간 이식 환자의 40% 및 36%에서 신독성이 보고되었다 (이상반응항 참고). 또한 이식 후 초기에 신독성 (급성 신장애)이 나타나며 이는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 고칼륨혈증, 요소 배출 감소 및 고요산혈증을 특징으로 보이고 일반적으로 가역적이다. 만성 신장애는 진행성 신기능 장애, 혈액 요소 증가 및 단백뇨를 특징으로 보인다.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는 타크로리무스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면밀히 모니터링 되어야 하며 일시적인 감량 또는 중단이 필요할 수 있다. 적극적인 개입이 없는 급성 신장애는 만성 신장애로 진행될 수 있다. 용량 감량 후에도 혈청 크레아티닌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환자에서는 다른 면역억제제로의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 신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약물과 타크로리무스를 병용하면 신독성이 강화될 수 있다. 신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약물과 타크로리무스의 병용이 필요한 경우, 신기능과 타크로리무스의 혈중 농도를 자주 모니터링하고, 타크로리무스 및/또는 병용 약물의 용량 조절은 시작 시와, 병용 치료 전반에 걸쳐, 또한 병용 약물의 중단 시에도 고려되어야 한다 (약물상호작용항 참고). 특히 과도한 신독성을 방지하기 위해 이 약을 시클로스포린과 동시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 약과 시클로스포린 사이의 전환 시에는 각 약물을 중단한 후 24 시간 이상 경과 후에 투여를 시작해야 한다. 이 약 또는 시클로스포린의 농도가 상승한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약물의 투여는 더 지연된다. 3) 미국과 유럽에서 실시한 무작위배정 시험에 의하면 경증~중증의 고칼륨혈증이 이 약을 투여받은 신이식 환자에서 31% 보고되었으며, 간이식 환자에서 각각 45%(미국)과 13%(유럽)으로 나타났고, 유럽에서 실시한 무작위배정 시험에 의하면 심장이식 환자에서 8%로 나타났으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이상반응항 참고). 따라서 혈중 칼륨 농도를 자주 측정해야 하며 이 약 투여시 칼륨보존성 이뇨제의 병용은 하지 않아야 한다(상호작용항 참고). 4) 진전, 두통 및 기타 운동기능, 정신상태 및 감각기능의 변화와 같은 신경독성이 2개의 무작위배정 시험에서 약 55%의 간이식 환자에게 나타났다(이상반응항 참고). 진전과 두통은 고용량의 타크로리무스 복용과 관련이 있으며 용량 감소에 의해 소실된다. 이 약을 투여 받은 성인과 소아에게서 경련이 나타났다(이상반응항 참고). 혼수와 정신착란 또한 고농도의 타크로리무스에서 발견되었다. 타크로리무스로 치료받는 환자에게서 가역적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PRES)과 같은 뇌병증이 보고되었다. PRES의 징후는 두통, 정신상태 변화, 발작, 시각장애와 고혈압을 포함하며, 방사선학적인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만일 PRES가 의심이 된다든가 또는 진단된 경우에는 혈압을 잘 관리해야 하고 면역억제제를 즉시 감량할 필요가 있다. 이 증후군은 면역억제제의 감량 또는 중단에 의해서 증상이 회복되는 특징이 있다. 5) 다른 면역억제제를 복용한 환자와 마찬가지로,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도 림프종과 기타 다른 악성 종양, 특히 피부에서 암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 되었다. 이러한 위험성은 이 약 자체가 가진 위험성이라기 보다는 이 약의 강도와 지속시간에 기인한 것이다. Epstein-Barr Virus(EBV)와 관련된 림프세포증식성 질환(LPD)이 보고되었다. 이 질환의 위험성은 면역억제제 복용시 EBV 감염에 걸릴 위험성이 더 많은 소아나 장기간의 면역억제 치료 후 이 약으로 전환된 환자에게서 더 크다. 면역계의 과다억제로 말미암은 감염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 위험성 때문에 이 약은 다른 면역억제제와의 병용시에는 주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6) 면역이 억제된 환자는 잠복성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한 기회 감염의 위험이 높다. 이 약을 투여받는 환자에게서 BK바이러스와 관련된 신증, JC바이러스와 관련된 PML(진행 다초점 백색질뇌증,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및 CMV(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감염은 이식편 거부를 포함한 중대하고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7) 이식후 당뇨병 임상시험에서 신이식 또는 간이식 후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인슐린의존성 이식후 당뇨(Post-Transplant Diabetes Mellitus, PTDM)의 발병이 보고되었다. 이식 전 당뇨의 병력이 없으면서 신이식 후 타크로리무스의 일반형 제제(프로그랍 캡슐)을 치료받은 환자의 20%에서 인슐린 의존성 PTDM이 보고되었다. 이식 1년째에 인슐린 의존성은 이러한 PTDM 환자의 15%에서 가역적이었으며 2년째에는 50%의 환자에서 가역적이었다. 흑인과 히스패닉계 신이식 환자들에게서 PTDM이 진행될 위험성이 높았다. 미국 및 유럽의 무작위배정 시험에서 타크로리무스의 일반형 제제(프로그랍 캡슐)로 치료받은 간이식 환자 각각의 18%와 11%에서 인슐린 의존성 PTDM이 보고되었으며, 이식후 1년째에 이러한 미국 및 유럽 환자들 각각의 45%와 31%에서 가역적이었다. 고혈당은 미국과 유럽의 무작위배정 시험에서 간이식 수여자 각각의 47%와 33%에서 타크로리무스의 일반형 제제(프로그랍 캡슐)의 사용과 연관이 있었으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8) 순수적혈구무형성증(PRCA)이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보고되었으며 보고된 모든 환자는 Parvovirus B19 감염이나 기저질환 또는 PRCA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병용약물 투여 등의 PRCA에 대한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었음이 보고되었다. 9)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성분 - 특히 강력한 CYP3A4 저해제 (텔라프레비르, 보세프레비르, 리토나비르, 케토코나졸, 보리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클래리트로마이신 등) 또는 CYP3A4의 유도제 (리팜핀, 리파부틴 등) – 이 병용되는 경우, 용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이 약의 노출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 약의 혈중 농도를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병용 시작 후 초기 며칠 동안 신속하고 빈번한 타크로리무스의 혈중 농도 모니터링이 계속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CYP3A4 저해제와의 병용 시 신장기능 및 ECG의 QT 연장, 다른 이상사례에 대한 모니터링이 강력히 권장된다(상호작용항 참고). 10) 이 약을 투여 받은 소수의 환자에서 아나필락시스가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피마자유를 함유한 제제는 소수의 환자에게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강력한 위험성 때문에 이 약은 이 약 캡슐을 투여할 수 없는 환자에게만 사용해야 한다. 11)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들은 투여 직후 최소한 30분 이상 계속적으로 관찰되어야 하며 그 후에도 빈번한 관찰이 요구된다.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이나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에피네프린을 함유한 수용액(1:1000)이나 산소공급을 실시한다. 12) 앰플 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이상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하여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한다. 13)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위장관천공이 보고되었으나 모든 경우 이식 수술의 합병증이거나 감염, 게실 또는 악성 신생물에 동반되는 증상으로 판단되었다. 위장관천공은 생명을 위협하거나 위중한 상황으로 진행될 수 있는 의학적으로 중요한 증상이므로 위장관천공이 발생한 것으로 의심되는 증상 발현 즉시 수술을 포함한 적절한 처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14) 타크로리무스는 QT 간격을 연장시키거나 Torsades de Pointes를 유발할 수 있다. QT 연장의 위험이 있는 환자들은 주의하여 복용하여야 한다. (선천성 혹은 후천성 QT연장, QT 간격을 연장시키거나 타크로리무스 노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과 병용투여 등) 15) 혈전성미세혈관병증(TMA)(용혈성요독증후군(HUS) 및 혈전성혈소판감소성자색반(TTP) 포함)은 다인성 병인을 가질 수 있다. 이식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TMA 의 위험 요소에는, 예를 들어, 중증 감염,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인간 백혈구 항원(HLA) 불일치, 칼시뉴린 억제제의 사용 및 라파마이신(mTOR) 억제제의 포유동물 표적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위험 요소는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TMA 의 위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타크로리무스와 mTOR 억제제의 병용은 TMA 의 위험에 기여할 수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마크로라이드 화합물에 과민반응 환자 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에 대한 과민성을 나타내는 환자(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함유제제에 한함.) 3) 시클로스포린 투여중인 환자(경고 및 상호작용항 참고) 4) 칼륨보존성 이뇨제 투여중인 환자(경고 및 상호작용항 참고) 3. 다음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본인 또는 양친, 형제가 기관지천식, 발진, 두드러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쉬운 체질을 가진 환자 2) 약물 과민반응의 병력 환자 3) 간장애 환자(약물대사능이 저하하여 이 약의 혈중농도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4) 신장애 환자(신장애가 악화될 수 있다.) 5) 고령자 6) 감염증 환자(감염증이 악화될 수 있다.) 7)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항 참고) 4. 이상반응 1) 중대한 이상반응 2) 기타의 이상반응 3) 미국, 영국의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간이식>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이상반응은 진전, 두통, 설사, 고혈압, 구역 그리고 신기능 장애이다. 이러한 이상반응들은 타크로리무스의 경구투여 혹은 정맥내 투여에 의해 나타나고 용량이 감소하면 반응도 줄어든다. 설사는 때때로 구역이나 구토와 같은 위장관 이상반응과 관련이 있다. 타크로리무스의 일반형 제제를 투약받은 환자에서 고칼륨혈증과 저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났다. 고혈당증이 많은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몇 명의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 치료가 요구될 수 있다(경고항 참조). 이상반응 발현율은 간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2개의 무작위배정 비교 시험에서 조사되었는데, 514명은 타크로리무스와 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았고 515명은 시클로스포린-based regimen을 투여 받았다. 1건 이상의 이상반응이 보고된 환자는 타크로리무스군에서 99.8%였고, 시클로스포린군에서 99.6%였다. 12개월 동안 미국과 유럽에서 임상을 실시하였으며 두 연구는 서로 다른 환자 구성을 가지고 있고 서로 다른 강도의 면역억제제로 투여 받았다. 타크로리무스에서 15%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은 <표1>과 같다. <표1> 간이식 환자에서 15%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 (단위 : %) 미국 STUDY 유럽 STUDY 타크로리무스 (N=250) 시클로스포린 (N=250) 타크로리무스 (N=264) 시클로스포린 (N=265) 신경계 두통 ("경고" 참고) 64 60 37 26 진전 ("경고" 참고) 56 46 48 32 불면증 64 68 32 23 감각이상 40 30 17 17 소화기계 설사 72 47 37 27 구역 46 37 32 27 변비 24 27 23 21 좌전두횡위(LFT) 비정상 36 30 6 5 식욕부진 34 24 7 5 구토 27 15 14 11 심혈관계 고혈압 ("일반적주의" 참고) 47 56 38 43 비뇨기계 신장기능 이상 ("경고" 참고) 40 27 36 23 크레아티닌 증가 ("경고" 참고) 39 25 24 19 혈액요소질소(BUN) 증가("일반적주의" 참고) 30 22 12 9 요로감염 16 18 21 19 빈뇨 18 15 19 12 대사와 영양 고칼륨혈증 ("경고" 참고) 45 26 13 9 저칼륨혈증 29 34 13 16 고혈당 ("일반적주의" 참고) 47 38 33 22 저마그네슘혈증 48 45 16 9 혈액과 림프계 빈혈 47 38 5 1 백혈구증가증 32 26 8 8 혈소판감소증 24 20 14 19 기타 복통 59 54 29 22 통증 63 57 24 22 발열 48 56 19 22 무력증 52 48 11 7 요통 30 29 17 17 복수 27 22 7 8 사지부종 26 26 12 14 호흡기계 흉막삼출 30 32 36 35 무기폐 28 30 5 4 호흡곤란 29 23 5 4 피부 및 사지 가려움 36 20 15 7 발진 24 19 10 4 <신이식> 미국에서 실시된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주요 이상반응은 감염, 진전, 고혈압, 신기능감소, 변비, 설사, 두통, 복부통증, 불면증이다. 타크로리무스 투약환자에서 15%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표2> 신이식 환자에서 15%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 (단위 : %) 이상반응 타크로리무스 (N=205) 시클로스포린 (N=207) 신경계 진전 ("경고"참고) 54 34 두통 ("경고"참고) 44 38 불면증 32 30 감각이상 23 16 어지러움 19 16 소화기계 설사 44 41 구역 38 36 변비 35 43 구토 29 23 소화불량 28 20 심혈관계 고혈압("일반적주의"참고) 50 52 흉통 19 13 비뇨기계 크레아티닌 증가("경고"참고) 45 42 비뇨기 감염 34 35 대사와 영양 저인산혈증 49 53 저마그네슘혈증 34 17 고지혈증 31 38 고칼륨혈증 ("경고"참고) 31 32 당뇨("일반적주의" 참고) 24 19 저칼륨혈증 22 25 고혈당 ("일반적주의"참고) 22 16 부종 18 19 혈액과 림프계 빈혈 30 24 백혈구감소증 15 17 기타 감염 45 49 사지부종 36 48 무력증 34 30 복통 33 31 통증 32 30 발열 29 29 요통 24 20 호흡기계 호흡곤란 22 18 기침 증가 18 15 근골격계 관절통 25 24 피부 및 사지 발진 17 12 가려움 15 17 제3상 임상시험에서 타크로리무스를 투여받은 신이식, 간이식 환자들에서 발생한 발현율 3% 이상 15% 미만의 이상반응들은 다음과 같다. 5.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첨가물로 폴리옥시에칠렌피마자유를 함유하는 의약품에서 쇼크 등의 중증의 과민반응 발현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이 약의 사용시에는 소량 주입 후 환자의 상태를 잘 관찰하여 이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신속히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하며, 동물실험에서 아나필락시스의 위험성은 이 약의 점적정주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항히스타민제의 사전 투여로 경감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2) 이 약 치료시 고혈압이 가장 흔한 이상반응이다(이상반응항 참고). 경증~중등도의 고혈압이 심각한 고혈압보다 더 흔했다. 항고혈압제의 복용이 필요하다. 혈압의 조절은 어떠한 약물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이 약은 고칼륨혈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칼륨보존성 이뇨제는 피해야 한다. 칼슘길항제가 이 약에 기인한 고혈압 치료에 유용하나 이 약의 대사에 영향을 미치므로 용량의 감소가 필요하다(상호작용항 참고). 3) 미국과 유럽에서 실시한 타크로리무스의 일반형 제제의 무작위배정 시험에 의하면, 고혈당증이 이 약을 투여받은 간이식환자에서 각각 47%와 29% 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치료가 필요하였다(이상반응항 참고). 4) 신장애 또는 간장애 환자 : 신장애를 가진 환자에게는 용량의 감소가 필요하다 (용법용량항 참고). 간이식 후에도 간장애를 나타내는 환자는 타크로리무스의 높은 혈중농도에 의한 신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환자들은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하며 용량의 조절도 고려해야 한다. 몇몇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환자에게는 용량의 감소가 필요하다. 청소율 감소와 반감기의 연장 때문에, 중증의 간부전 환자(Pugh 10이상)는 이 약의 낮은 농도가 필요할 수 있다. 혈액 농도에 대한 빈번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5) 과량 투여에 의한 이상반응의 발현 및 저용량 투여에 의한 거부반응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해 타크로리무스의 최저혈중농도(trough level)를 자주 측정하여 투여량을 조절한다. 또한 타크로리무스는 분석시 용기에 흡착(약 20%) 할 수 있으므로, 흡착에 의한 손실의 영향이 없도록 표준 샘플 및 측정 샘플 모두 같은 정량 조작을 행한다. 6) 신장애의 발현 빈도가 높으므로 임상검사(크레아티닌, BUN, 크레아티닌청소율 등)를 자주 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할 것. 특히 투여 초기에는 그 발현에 주의한다. 또한 이 약에 기인된 신장애의 악화는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감량, 휴약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하여야 한다. 7) 고혈당, 요당 등과 같은 췌장기능 장애의 발현 빈도가 높으므로 임상검사(혈액검사, 혈당, 아밀라제, 요당 등)를 자주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여야 한다. 특히 투여 초기에는 그 발현에 주의하고 이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감량, 휴약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8) 이 약의 투여에 의한 부신피질호르몬제 유지량의 감량이 가능하나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이상반응 발현에 대해서도 계속해서 충분히 관찰한다. 9) 이 약의 첨가물인 폴리옥시에칠렌피마자유를 함유하는 다른 의약품에서 고지혈증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10) 음식물 : 자몽쥬스(이 약의 혈중농도가 상승하여 신장애 등의 이상반응이 발현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11) 효능ㆍ효과에 관련한 사용상의 주의 : 골수이식 때의 사용에 즈음하여 HLA 적합 동포간 골수이식시에서는 이 약을 1차 선택약으로 하지 않는다. 12) 용법ㆍ용량에 관련된 사용상의 주의 13) 이식편대숙주질환(GVHD)이 발생하면, 가능한 빨리 치료할 것을 권장한다. 시클로스포린을 복용하던 환자의 경우, 약의 복용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하여야 하며 만약 시클로스포린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즉시 그 약을 중단하고 이 약으로 대체하여야 한다. 14) 감염증의 발현 또는 악화에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 15) 과도한 면역억제로 감염에 대한 감수성 상승, 림프종 등의 악성종양 발생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 16) 이 약을 투여 중에 심부전, 부정맥, 심근경색, 협심증, 심근장애(심기능저하, 벽비후를 포함)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반응 항 참조), 투여시에는 심전도, 심에코, 흉부X선 검사를 실시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잘 관찰하여야 한다. 17) 이 약은 시각 장애와 신경학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 약이 운전 능력과 기계 조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18) 안구질환 가끔 시력 손실로 전이되는 사례를 포함한 안구질환이 타크로리무스로 치료받은 환자에게서 보고되었다. 대체 면역억제제로 변경했을 때 일부사례에서는 회복이 보고되었다. 시력변화, 색각변화, 시야흐림 또는 시야결손에 대해 보고할 것이 환자에게 권고되고, 이 경우 환자는 적절한 안과 의사에게 신속한 검사를 받는 것이 권고된다. 1) 병용금지 2) 병용주의 3) 타크로리무스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약물들 타크로리무스는 주로 cytochrome P450-3A4(CYP3A4)에 의해 간에서 광범위하게 대사되기 때문에, 이러한 효소를 억제하는 물질은 타크로리무스의 대사를 감소시켜서 혈중농도를 상승시킨다. 특히 텔라프레비르와 같은 강력한 CYP3A4 억제제와 병용시에는 타크로리무스의 혈중 노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유의한 타크로리무스 용량 감소 및 투여간격의 연장이 필요할 수 있다. 강력한 CYP3A4 억제제인 클래리트로마이신과 병용 시 타크로리무스의 용량을 즉시 감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타크로리무스의 농도가 1~3일 이내에 가파르게 상승하였다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약물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병용 시작 후 초기 며칠 동안 신속하고 연속된 주기적 타크로리무스의 혈중 농도 검사뿐만 아니라 QT연장에 대한 심전도 모니터링, 신장기능과 다른 이상반응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강력히 권장된다. 또한 이 효소계의 반응을 유도하는 약물들은 타크로리무스의 대사를 증가시켜서 혈중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약물과 병용 시 혈중 농도 모니터링과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 4) 타크로리무스의 혈중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들 및 생약요법 5) 타크로리무스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는 약물들 6) 기타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 바르비트레이트,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코르티손, 에르고타민, 에티닐에스트라디올, 게스토딘, 이소니아지드, 타목시펜, 트리아세틸로렌도마이신, 염산마그네슘-알루미늄(이와 반대로 이 약은 다음과 같은 약물의 대사를 저해한다. : 시클로스포린, 코르티손, 테스토스테론, 페노바르비탈, 안티피린, 스테로이드성 피임약, 따라서 피임약 복용시 특별한 주의 필요) 7) 미코페놀산의 장간순환을 저해하는 시클로스포린에서 이러한 저해 영향이 없는 타크로리무스로 병용 요법으로 전환할 경우 주의가 필요한데, 이는 미코페놀산 노출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코페놀산의 장간순환을 저해하는 약물은 미코페놀산의 혈장수치를 낮추어 미코페놀산의 효능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시클로스포린에서 타크로리무스로 전환하거나, 타크로리무스에서 시클로스포린으로 전환할 때 미코페놀산의 혈중 농도에 대한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8)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DAA: direct-acting antiviral)의 영향: HCV 바이러스 제거와 관련된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동안 간기능의 변화로 인해 타크로리무스의 약동학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지속적으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타크로리무스의 면밀한 모니터링과 용량 조절이 수행되어야 한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타크로리무스는 태반을 통과할 수 있고 자궁 내에서 타크로리무스에 노출되었던 영아는 조숙, 선천성 기형, 저체중출산, 태아가사(fetal distress)를 겪을 위험이 있다. 임신 중 타크로리무스 사용시 조기분만, 신생아 고칼륨혈증 및 신기능장애 등이 유발될 수 있다. 2) 타크로리무스는 당뇨(임신성 당뇨 포함)가 있는 임부의 고혈당상태를 증가시킬 수 있다. 주기적으로 혈당 상태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또한 타크로리무스는 임부의 고혈압을 더 악화시킬 수 있고, 전자간증(pre-eclampsia)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모니터링과 혈압 관리가 필요하다. 3) 생식능력이 있는 여성 및 남성이 타크로리무스로 치료를 시작할 때에는 치료 시작 전 적절한 피임 수단을 고려해야한다. 임부에게 타크로리무스의 치료는 다른 안전한 대체 치료가 없거나 태아에게 미치는 잠재적 위험성보다 임부가 얻는 유익성이 더 클 때에만 투여가 고려될 수 있다. 4) 랫드와 토끼를 사용한 시험에서 타크로리무스는 모체독성을 나타내는 용량에서 배태자 독성을 나타내었다 (기타 항 참조). 5) 타크로리무스는 모유로 이행되므로 태아에서의 악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모유수유를 중단한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골수이식, 신장이식에서의 12세 미만의 소아(저체중출생아, 신생아, 영ㆍ유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적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자는 일반적으로 생리기능(신기능, 간기능, 면역기능 등)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 10.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혈중농도 측정 : 많은 임상연구 센타에서 이 약의 혈중농도 측정이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정확한 관계가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혈중농도의 측정은 거부반응과 독성에 대한 임상적 평가, 용량조절, 순응도 평가에 도움을 준다. 타크로리무스의 혈중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석법이 사용된다. 발표된 문헌에서의 혈중농도와 현재의 분석법에 의해 실제 측정한 혈중농도에 대한 비교는 채택된 분석법에 대한 자세한 지식의 바탕 위에서 행해져야만 한다. 미국의 임상시험에서 얻어진 자료에 의하면, ELISA법에 의해 측정된 타크로리무스의 혈중농도는 이식후 첫주에는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심하였다. 그러나 이 기간 후에, 이식수술 후 2주째부터 1년까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정한 평균 최저혈중농도는 9.8~19.4 ng/mL이었다. 11. 과량투여시의 처치 용량과다에 대한 경험은 적다. 부주의로 인하여 이 약을 과다하게 복용했을 경우, 치료용량을 복용한 후 나타났던 이상반응과 차이점이 없다. 모든 과량투여 발생 시에는 일반적인 처치법과 전신적인 치료가 행해져야 한다. 타크로리무스는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고 적혈구와 혈장단백질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아무리 심각한 경우라 할지라도 타크로리무스는 투석을 시행할 수 없다. 혈액관류에 대한 자료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것도 적당하지 않다. 경구 중독인 경우, 위세척이나 흡착제의 사용(예, 약용탄)이 유용하다. 급성 경구독성과 급성 정맥독성 시험에서, 사망은 다음과 같은 용량 이상에서 나타났다: 성인 랫드에서, 52× 사람의 경구 추천용량; 미성숙 랫드에서, 16× 경구 추천용량; 성인 랫드에서, 16× 사람의 정맥 추천용량(모두 체표면적에 근거한 것임.) 급성, 아급성, 만성시험과 약리학적인 동물 독성시험에 의하면 이 약의 과량투여 시 영향을 받는 주된 장기는 신장계와 췌장계(랫드와 Baboon), 눈(랫드), 위장관계와 신장계(개와 토끼)였다. 초기 임상시험(영국)에서(초기의 유도 용량이 현재 사용되는 것보다 2~4배 가량 높았을 때), 용량과다의 증상은 내당능 이상, 신장애, 신경이상, 심장질환, 고칼륨혈증, 고혈압 등이었다. 12. 적용상의 주의 1) 조제시 : 이 약은 알칼리성으로 분해되기 쉬우므로 특히 용해시 강알칼리성을 나타내는 약물(아시클로버, 간시클로버)과는 배합하지 않아야 한다. 2) 앰플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봉 전 알코올 면봉으로 앰플을 닦을 것을 권장한다. 3) 안정성 : 이 약 주사제는 차광상태인 25℃ 이하에서 보관하고 일단 앰플을 개봉한 후에는 내용물을 즉시 사용해야 한다. 희석할 때에는 생리식염 주사액 혹은 5% 포도당 주사액에 희석시켜 사용해야 한다. 냉장보관(10℃이하)으로 ‘폴리옥시에칠렌경화미파자유60’이 응고되면 용해 후 사용한다. 희석된 용액은 유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용기에 보관해야 하며, 24시간이 지나면 이 용액은 사용할 수 없다. 희석된 용액은 안정성을 감소시키고 탈산염이 용해되어 나올 수 있으므로 PVC 용기를 사용해서는 안되며 이 약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된 튜브, 주사기 그리고 어떠한 장비에도 PVC를 함유하고 있는 것과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폴리우레탄(PU) 재질의 수액세트 사용시 흡착될 수 있으므로, PU 재질의 수액세트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비경구제제는 투여 전에 미립자와 변색 여부를 눈으로 검사해야 한다. 투명하고 무색의 용액만을 사용해야 한다. 4) 정맥주입펌프를 사용할 경우의 주의사항 : 이 약의 투여를 위해서는 주사기펌프(syringe pump) 또는 흐름조절주입펌프(flow-controlled infusion pump)의 사용이 권장된다. 점적조절주입펌프(drip-controlled infusion pump) 사용시 실 주입액의 볼륨이 설정량 보다 낮았음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투여를 위해서는 유속이 적절히 수정되어야 한다(이 약의 첨가제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60의 표면활성효과에 의해 점적 실린더의 방울 크기가 감소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5) 타크로리무스의 면역억제 효과로 인해, 타크로리무스를 함유한 주사액을 조제할 때에는 피부 또는 점막에 직접 닿거나 흡입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눈이나 피부를 즉시 씻어야 한다. 13. 기타 1) 환자를 위한 정보 2)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장애 3) 랫드에 5 mg/kg을 2주간 경구투여한 약리시험에서 내당능의 저하 및 췌장 인슐린 함량의 저하가 나타났다.
6.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