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에 따라 에피네프린(보통 농도 1 : 10-20만)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연령, 마취영역, 부위, 조직, 증상, 체질, 전신상태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1) (경막외마취) 중증의 출혈 또는 쇽 상태의 환자 2) (경막외마취) 주사부위 또는 그 주위에 염증 환자 3) (경막외마취) 패혈증 환자 4) 메트헤모글로빈혈증 환자 5) 이 약 또는 기타의 안식향산에스테르(코카인 제외)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 환자 2. (경막외마취)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중추신경계 질환(수막염, 회백척수염 등) 환자 2) 임산부 3) 고령자 4) 혈액 질환 또는 항응고제 투여 환자 5) 중증의 고혈압 환자 6) 척주에 현저한 변형 환자 3. 부작용 1) 쇽 : 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혈압저하, 안면창백, 맥박 이상, 호흡억제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중지하고 인공호흡, 산소흡입, 수액, 탄산나트륨, 혈압상승제 투여, 적절한 체위 유지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중추신경계 3) 혈액 : 드물게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4) 과민증 : 두드러기 등의 피부증상, 부종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중지한다. 4. 일반적 주의 1) 드물게 쇽 또는 중독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국소마취제 사용시에는 즉시 구급처치를 할 수 있는 준비를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부작용을 완전히 방지하는 방법은 없으므로 쇽 또는 중독한 증상을 가능한 피하고 다음에 유의한다. 1) 다음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혈관수축제(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을 첨가하지 않는다. 2) 다음 환자에 혈관수축제(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를 첨가하여 투여하는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