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나민정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포나민정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포나민정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포나민정 Ponamin Tab.
이미지
Ponamin Tab.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일반
성분/함량
· acetaminophen 0.5 g
· hyoscine butylbromide 10 mg

아세트아미노펜, 분량 : 5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USP, 성분정보 : , 비고 :

부틸스코폴라민브롬화물, 분량 : 1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KP, 성분정보 : , 비고 :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미결정셀룰로오스,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포비돈,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결정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흰색(03B28796)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0101555
표준코드
8806478025307, 8806478025314, 8806478025321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흰색의 장방형 필름코팅정
허가일자
2001년 07월 06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47802530
원 /
ATC코드
A03DB04 butylscopolamine and analgesics 부틸스코폴라민 및 진통제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1240]진경제
주성분코드
257100ATB
포장단위
내수용 - 10정/피티피,수출용 - 100정/상자[10정/PTP*10]
저장방법
밀폐용기, 실온보관(1-30도씨)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성인 1회 1-2정 1일 3회 경구투여한다(복용한다). 1일 최대용량은 6정을 초과하지 않는다.


♦ 용법.용량


위장관계 질환의 발작성 동통(통증) 또는 담도(쓸개길)계, 비뇨기계, 월경곤란증 등 여성 생식기계의 기능장애 및 경련성 동통(통증)


♦주의사항(일반)


1. 경고

매일 세잔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간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2.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하지 말 것.

이 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되어 있다. 다른 아세트아미노펜 제품과 함께 복용하여 일일 최대용량(4,000mg)을 초과할 경우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과 함께 복용해서는 안 된다.

3.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중증(심한 증상)의 신장애(신장장애) 환자

2) 글루코스-6-인산 탈수소효소(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결핍증 환자

3) 녹내장 환자

4) 전립선(전립샘) 비대증 환자

5) 유문협착 환자

6) 마비성 장폐색(창자막힘) 환자

7) 이 약에 의한 과민증(발진,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가려움, 후두ㆍ눈꺼풀ㆍ입술 등의 부종(부기))의 병력이 있는 환자

8) 이 약 또는 다른 감기약, 해열진통제에 의한 천식의 병력이 있는 환자

9) 근무력증(근육무력증) 환자

10) 거대결장증 환자

11) 부정빈맥(빠른맥) 환자

4.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기능장애 환자

2) 길버트증후군(모일렌그라하트증) 환자

3) 중증(심한 증상)의 심질환, 관상동맥(심장동맥)부전, 심부전 환자

5. 부작용

1) 혈액 : 혈소판감소증, 과립구감소증, 청색증, 백혈구감소증, 범혈구(전체혈구)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증 : 퀸케부종, 호흡곤란, 발한(땀이 남), 구역, 혈압저하, 쇽(쇼크),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발진 등의 피부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소화기계 :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변비가 나타날 수 있다.

4) 기타 : 구갈(목마름), 배뇨장애, 산동(동공확대), 모양근마비, 홍조, 어지러움, 불안, 흥분, 환각, 기립성 저혈압, 발진, 빈맥(빠른맥), 이상고열, 발한(땀이 남)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일반적 주의

1) 무통성 천식 증후군은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에 의해서 일어나지는 않으나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2) 기관지 천식이나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등 기관지 경련이 일어날 소인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기관지 경련이 나타날 수 있다.

3) 자동차 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이 약의 투여에 의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드물게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한다.

① 이 약의 투여 후 즉시 두드러기, 부종(부기)(후두, 눈꺼풀, 입술 등), 가슴답답함 등과 함께 안색이 창백해지고, 수족이 차가와지고 식은땀, 숨가쁨 등이 나타나는 경우

② 고열을 수반하며 발진,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화상모양 수포 등의 격렬한 증상이 전신피부, 입 눈의 점막에 나타난 경우

③ 천식이 나타난 경우

5) 바르비탈계 약물, 삼환계 항우울약 및 알코올을 투여한 환자는 다량의 아세트아미펜을 대사시키는 능력이 감소되어 아세트아미노펜의 혈장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알코올은 아세트아미노펜 과량투여의 간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7. 상호작용

1) 알코올 남용 및 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의 분해를 증가시키는 약물(바르비탈계 약물을 함유하는 수면유도제, 항전간(간질)제, 리팜피신 등)의 동시 병용(함께 복용)투여는 아세트아미노펜의 무해용량에서도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2) 삼환계 항우울약, 항히스타민제, 퀴니딘, 아만타딘, 디소피라미드의 항콜린작용은 이 약에 의해 증강될 수 있다.

3) 메토클로프라미드와 같은 항도파민약과 병용(함께 복용)투여시 두 약물의 위장관에서의 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4) 이 약에 의해 β-효능약의 심박증가 작용이 증강될 수 있다.

5) 프로판텔린과의 병용(함께 복용)투여로 인해 위장관 배출시간이 늦어져 아세트아미노펜의 흡수율이 낮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아세트아미노펜의 효과발현(드러냄)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메토클로프라미드의 투여 후와 같이 위장관 배출시간이 빨라진 경우에는 흡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6) 클로람페니콜과 병용(함께 복용)투여시 클로람페니콜의 반감기를 연장시키므로 독성을 발현(드러냄)시킬 수 있다.

7) 임상적으로 경구용 항응고약과 이 약과의 관련성은 밝혀진 바 없다. 그러므로 두 약물을 병용(함께 복용) 투여할 경우에는 특히 주의한다.

8) 아세트아미노펜과 지도부딘의 병용(함께 복용)투여시 백혈구감소증을 악화시킨다. 그러므로 두 약물을 병용(함께 복용)투여할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야 한다.

8.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다른 약물들과 마찬가지로 임신중(특히 임신초기 3개월 이내)에는 약물사용에 관한 일반적 주의를 지킨다.

2) 수유부에 고용량을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영아(갓난아기)의 이유(젖떼기)를 고려한다.

9.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투여는 바람직하지 않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후

- 브롬화부틸스코폴라민

사람에서 이 성분의 과량투여에 의한 급성독성 증후는 나타난 바 없으나 과량투여에 의해 배뇨장애, 구강(입안)건조,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빈맥(빠른맥), 위장관 운동저하, 시조절장애(시각조절장애) 등의 항콜린성 증후가 나타날 수 있다.

-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량투여에 의한 독성은 24-48시간의 잠복기 후에 나타날 수 있다. 간세포괴사에 의한 간기능 저하나 치명적인 간성 혼수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과 상관없이 신세뇨관(신장세뇨관)의 괴사에 의한 신장(콩팥)병변도 발현(드러냄)될 수 있다.

중독의 증후는 몇 단계로 나누어진다. 첫단계(1일)에서는 구역, 구토, 발한(땀이 남), 수면장애, 불편함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두번째 단계(2일)에서는 일시적으로 주관적인 증상의 개선을 느끼며 세번째 단계(3, 4일)에서는 트랜스아미나제치가 현저히 높아지고, 황달, 응고이상, 저혈당이 일어나면서 간성 혼수로 빠지게 된다.

2) 치료

6시간 이내에 약용탄으로 위세척을 한다. 중독후 8-12시간 안에 아세틸시스테인같은 SH기 수여체를 정맥주사하면 아세트아미노펜의 세포독성 대사물을 흡착시킬수 있다. 원칙적으로 아세틸시스테인은 지체없이 투여되어야 한다. 이것은 아세트아미노펜의 혈중농도를 결정하는 좋은 방법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의 혈중농도는 투석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브롬화부틸스코폴라민 과량투여 증상은 부교감신경 효능약으로 치료한다. 녹내장 환자에게는 필로카르핀을 국소적으로 투여한다. 필요하다면 부교감신경 효능약인 네오스티그민 0.5-2.5㎎을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심혈관계 합병증은 일반적인 치료원칙에 따라 치료한다. 호흡마비의 경우에는 삽관법, 인공호흡을 하며 배뇨장애에는 카테타를 삽입한다.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 약의 효능은 무엇입니까?

이 약은 위장관계 질환의 발작성 동통(통증) 또는 담도계(쓸개길), 비뇨기계, 월경곤란증 등 여성 생식기계의 기능장애 및 경련성 동통(통증)에 사용합니다.


이 약은 어떻게 사용합니까?

성인은 1회 1~2정 1일 3회 복용합니다.1일 최대용량은 6정을 초과하지 마십시오.


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은 무엇입니까?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 음주자가 이 약 또는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할 때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십시오.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아세트아미노펜으로 일일 최대 용량(4,000mg)을 초과하여 복용하지 마십시오.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과 함께 복용하지 마십시오.


이 약의 사용상 주의사항은 무엇입니까?

이 약에 의한 과민증(발진, 붉은 반점, 가려움, 후두, 눈꺼풀, 입술 등의 부종)의 경험자, 다른 감기약 또는 해열진통제에 의한 천식 경험자, 심한 증상 신장애, 글루코스-6-인산탈수소효소 결핍증 환자, 녹내장, 전립선비대증, 유문협착(유문 좁아짐), 마비성장폐색(창자막힘증) 환자, 근육무력증, 거대결장 환자, 빠른 부정맥 환자,?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는 이 약을 복용하지 마십시오.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간기능장애, 길버트증후군(모일렌그라하트증), 심한증상의 심질환, 심장동맥부전, 심부전 환자, 임신중(특히 임신초기 3개월 이내) 또는 수유부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십시오.운전 및 기계조작 시 주의하십시오.


이 약을 사용하는 동안 주의해야 할 약 또는 음식은 무엇입니까?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 바르비탈계 약물, 삼환계 항우울약 및 알코올을 투여한 환자, 항전간제, 리팜피신과 함께?이 약을 복용하지 마십시오.항히스타민제, 퀴니딘, 아만타딘, 디소피라미드, 메토클로프라미드와 같은 항도파민약, β-효능약, 프로판텔린, 클로람페니콜, 경구용 항응고약, 지도부딘과 함께 복용 시?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십시오.


이 약은 어떤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까?

혈소판감소증, 과립구감소증, 청색증, 백혈구감소증, 전체혈구감소증,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변비, 목마름, 배뇨(소변을 눔)장애, 동공확대, 모양근마비, 홍조, 어지러움, 불안, 흥분, 환각, 기립성 저혈압, 발진, 빠른맥, 이상고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퀸케부종, 호흡곤란, 발한, 구역, 혈압저하, 쇽,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발진 등의 피부증상, 두드러기, 부기(후두, 눈꺼풀, 입술 등), 가슴답답함 등과 함께 안색이 창백해지고, 수족이 차가워지고 식은땀, 숨가쁨, 고열동반한 발진, 화상모양 수포, 천식이 나타나는 경우 복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십시오.


이 약은 어떻게 보관해야 합니까?

실온에서 보관하십시오.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효능군중복주의

1. acetaminophen
Group 2
부스코판플러스정_(1정)  / 비급여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주)
해열진통소염제
스카이정_(1정)  / 비급여
(주)한국파비스제약
해열진통소염제
샤이닝정_(1정)  / 비급여
동화약품(주)
해열진통소염제
카이로정_(1정)  / 비급여
한솔신약(주)
해열진통소염제
포나민정_(1정)  / 비급여
삼진제약(주)
해열진통소염제
무스판정_(1정)  / 비급여
지엘파마(주)
해열진통소염제


용량주의

1일최대 투여량
1일최대 투여기준량 / 점검기준 성분함량 (총함량)

·이약은 1일 최대 아세트아미노펜으로써 4,000mg 이내로 복용해야 하는 용량주의 의약품입니다.
400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