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오글리타존염산염, 분량 : 16.53,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다파글리플로진프로판디올수화물, 분량 : 12.3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메트포르민과 다파글리플로진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 이 약의 권장 용량은 1일 1회 다파글리플로진 10mg/피오글리타존 15mg 이다.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 피오글리타존 투여에서 관찰된 체액 저류와 관련된 체중 증가, 부종, 울혈성 심부전 증상 및 징후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특수 집단 이 약 투여 전 및 투여 후 주기적으로 신장 기능의 평가가 권장된다. 사구체 여과율[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eGFR)]이 45mL/min/1.73m2이상인 경우 신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사구체 여과율(eGFR)이 45mL/min/1.73m2미만인 경우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1) 피오글리타존 (1) 피오글리타존을 포함한 티아졸리딘디온계 약물은 일부 환자에서 울혈성심부전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피오글리타존으로의 치료를 시작하거나 투여용량을 증가시킨 후에 심부전의 증상 및 징후(과도하고 급속한 체중변화, 호흡곤란, 부종 포함)에 대하여 환자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이러한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난다면 심부전은 현재의 표준치료 요법에 따라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피오글리타존의 투여중지 또는 감량이 고려되어야 한다. (2) 심부전 환자는 피오글리타존으로의 치료를 시작해서는 안된다. 증후성 심부전 환자에서 피오글리타존의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3) 심부전증 및 심장에 대한 다른 작용 피오글리타존은 다른 티아졸리딘디온계 약물(thiazolidinediones)과 마찬가지로, 단독 또는 인슐린 등의 다른 항 당뇨병약물과 병용 투여할 때 체액 저류를 일으킬 수 있다. 체액 저류는 심부전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환자들은 심부전증의 징후나 증상에 대하여 관찰 받아야 한다. 이러한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날 경우, 심부전은 현행 표준 치료법에 따라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피오글리타존의 투여 중단이나 용량 감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제 2형 당뇨병 환자 566명을 대상으로 한, 미국에서의 16주,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 시험에서, 인슐린과 피오글리타존 15 mg 및 30 mg을 투여한 병용요법과 인슐린 단독요법을 비교하였다. 이 임상시험은, 오래 계속된 당뇨병과 다음과 같이 유병률이 높은 기존의 의학적 증상을 갖는 환자들을 포함하였다. : 동맥성 고혈압(57.2 %), 말초 신경병증(22.6 %), 관상 동맥질환(19.6 %), 망막증(13.1 %), 심근경색(8.8 %), 혈관질환(6.4 %), 협심증(4.4 %), 뇌졸중 및/또는 일과성허혈성발작(4.1 %), 및 울혈심부전(2.3 %). 이 연구에서, 인슐린 단독요법에 대한 187명의 환자 중 아무도 울혈심부전으로 전개되지 않았던 것과 비교할 때, 피오글리타존 15 mg와 인슐린을 투여 받은 191명의 환자 중 2명(1.0 %)과 피오글리타존 30 mg와 인슐린을 투여 받은 188명의 환자 중 2명(1.1 %)이 울혈심부전으로 전개되었다. 이 네 명의 환자들 모두가 관상 동맥 질환, 관상동맥우회술 이전(previous CABG procedures),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 이상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피오글리타존과 인슐린을 병용투여한 24주의 용량조절 시험에서, 30mg 투여군의 0.3 %(1/345) 및 45 mg 투여군의 0.9 %(3/345)가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울혈심부전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 데이터로부터, 인슐린과의 병용 요법 시 울혈심부전의 증가 위험을 예보할 수 있는 특이한 인자가 확인되지 않았다. 제2형 당뇨병이 있고, 기존에 주요한 대혈관 질환이 있는 75세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피오글리타존의 심혈관계 결과 변수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오글리타존 또는 위약을 기존의 항당뇨 및 심혈관계 요법에 추가하여 최대 3.5년간 투여하였다. 이 시험은 심부전의 보고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으나 이로 인해 이 시험에서 사망률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환자군에 대한 경험이 제한적이므로, 75세 이상의 환자에 대해서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4) 대혈관 합병증 사례에 대한 전향적 피오글리타존 임상시험(PROactive) PROactive에서, 제2형 당뇨병과 함께 이전에 대혈관 질환의 병력이 있는 5,238명의 환자들에서 피오글리타존(2,605명)을 1일 1회 45 mg까지의 강제 적정(force-titration)하여 투여하거나 또는 위약(2,633명)을 투여하였다(이상반응 항 참고). 중대한 심부전을 나타낸 환자의 비율은 피오글리타존을 투여한 환자군(5.7 %, 149명)에서 위약 투여군 환자(4.1 %, 108명)에 비해 더 높았다. 중대한 심부전의 보고에 이어 사망의 발생율은 피오글리타존투여군 환자에서 1.5 %(40명), 위약 투여군 환자에서 1.4 %(37명)였다. 베이스라인에서 피오글리타존과 인슐린을 투약한 환자에 있어서 중대한 심부전의 발생률은 6.3 %(54명/864명)이고, 위약에서는 5.2 % (47명/896명)였다. 피오글리타존과 설포닐우레아를 투약한 환자에 있어서 중대한 심부전의 발생률은 5.8 %(94명/1,624명)였고, 위약에서는 4.4 % (71명/1,626명)이었다. (5) 치료 중 육안적 혈뇨 또는 배뇨장애나 절박뇨와 같은 기타 증상의 징후가 발현되거나 증가되는 경우, 이러한 증상들은 방광암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므로, 의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환자에게 지시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대하여 과민반응이 알려진 환자 2) 심부전 환자 또는 심부전 병력 환자 3) 활동성 방광암 환자 또는 방광암 병력 환자 4) 간장애 환자 5) 중증 이상의 신장애 환자 (투석 중인 환자 포함) 6)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 당뇨병성 혼수 및 전 혼수, 제1형 당뇨병 환자 7) 수술 전후, 중증 감염증 환자, 중증 외상 환자(인슐린 주사에 의한 혈당관리가 바람직하므로 이 약의 투여는 적합하지 않다.) 8) 조사되지 않은 육안적 혈뇨 환자 9)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체액량 감소 및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의 투여 다파글리플로진은 증상성 저혈압이나 크레아티닌의 급격하고 일시적인 변화로 나타날 수 있는 혈관 내 혈량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외국의 시판후 조사에서 다파글리플로진을 포함한 SGLT2 저해제를 투여한 환자에서 급성 신장손상이 보고되었으며, 일부는 입원과 투석을 필요로 하였다. 신기능 장애(eGFR 60mL/min/1.73m2 미만), 고령자, 루프계 이뇨제 등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혈량 저하 또는 저혈압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가진 환자에 대해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체액량 상태 및 신장 기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투여를 시작한 후 저혈압 증상 및 징후와 신기능에 대해 모니터링 한다. 혈당 조절에 대한 다파글리플로진의 유효성은 신장 기능에 따라 다르다. 중등도의 신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혈당 조절 유효성이 감소하며 eGFR 45mL/min/1.73m2미만인 제2형 당뇨환자에서 혈당조절 목적만으로 이 약을 투여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용법‧용량 항 참조). 중등도의 신장애 환자에서 다파글리플로진을 투여한 피험자들은 위약을 투여한 피험자들에 비해 크레아티닌, 인, 부갑상샘 호르몬(PTH) 상승 및 저혈압의 이상반응을 나타내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이 약의 성분 중 피오글리타존은 중증 이상의 신장애 환자에게 금기이다(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5) 항 참조) 2) 폐경전 여성 3) 부종이 있는 환자 4) 심부전 발병 우려가 있는 심근경색, 협심증, 심근증, 고혈압성 심질환 등의 심질환이 있는 환자(순환혈장량의 증가에 의해 심부전을 발병시킬 우려가 있다.) 5) 뇌하수체기능부전 또는 부신기능부전 환자 6) 영양불량상태, 기아상태, 불규칙적인 식사섭취, 식사섭취량의 부족 또는 쇠약상태 (저혈당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7) 격렬한 근육운동(저혈당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8) 과도한 알코올 섭취자(저혈당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9) 고령자 4. 이상반응 1) 메트포르민/다파글리플로진/피오글리타존 병용요법 메트포르민과 다파글리플로진의 병용투여로 혈당 조절이 불충분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피오글리타존 15mg 또는 그 위약을 1일 1회 24주간 추가 병용 투여한 임상시험에서 임상시험용의약품을 1회 이상 투여한 249명에서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은 표1과 같다. 표1. 메트포르민과 다파글리플로진으로 혈당조절이 불충분한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피오글리타존 15mg을 추가 병용 투여한 24주간 위약 대조 시험에서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약물이상반응 메트포르민 + 다파글리플로진 피오글리타존 15mg (124명), 명(%) 위약 (125명), 명(%) 위장관 장애 복부 불편감 1(0.81) 복통 1(0.80) 설사 1(0.81) 소화불량 1(0.80) 신경계 장애 두통 2(1.61) 어지러움 1(0.81) 말초 신경 병증 1(0.80)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상태 안면 부종 2(1.61) 눈 장애 시각 장애 1(0.81) 감염 및 기생충 감염 방광염 1(0.80) 임상 검사 혈액 크레아틴 인산 활성 효소 증가 1(0.80) 신장 및 요로 장애 소변 정체 1(0.81) 이 연구의 연장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임상시험용의약품을 1회 이상 투여한 221명에 대해 연장연구기간[24주~48주]중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은 표2와 같다. 표2. 메트포르민과 다파글리플로진 병용투여에 피오글리타존을 추가 병용투여한 임상시험의 연장연구기간[24주~48주] 동안 보고된 약물이상반응a 약물이상반응 메트포르민 + 다파글리플로진 피오글리타존 15mg (109명), 명(%) 위약 → 피오글리타존 15mg전환 (112명), 명(%) 위장관 장애 복통 1(0.92) 상복부 통증 1(0.92) 소화불량 1(0.92) 직장 용종 1(0.92)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상태 부종 1(0.92) 말초 부종 1(0.89) 감염 및 기생충 감염 자궁 경부염 1(0.92) 후두염 1(0.92) 신장 및 요로 장애 혈뇨 1(0.92) 배뇨 장애 1(0.92) 임상 검사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 증가 1(0.92) 생식계 및 유방 장애 외음질 소양증 1(0.89)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두드러기 1(0.92) 2) 다파글리플로진 기관계 매우 흔하게 흔하게* 흔하지 않게** 드물게 매우 드물게 감염 외음부질염, 귀두염 및 관련 생식기 감염*,b,c 요로 감염b 진균감염** 회음부 괴저(푸르니에 괴저)b 대사 및 영양 저혈당 (설포닐우레아 또는 인슐린과 함께 사용할 때)b 체액량 감소b,e, 구갈** 당뇨병성 케톤산증 (제2형 당뇨병 환자인 경우)b,f 신경계 현기증 위장관 이상 변비** 구강건조**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요통 신장 및 비뇨기계 배뇨통 다뇨*,g 야간뇨** 간질성 신세뇨관염 생식기계 및 유방 외음부 가려움증** 생식기 가려움증** 실험실적 수치 헤마토크릿 상승h 치료 초기 신장 크레아티닌 청소율 감소b 이상지질혈증 i 치료 초기 혈중 크레아티닌 상승**,b 혈중 요소 상승** 체중 감소**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중대한 이상사례 1.59%(48/3,027명, 52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0.17%(5/3,027명, 5건) 드물게 (0.01~0.1%미만) 위장관계 장애 위식도역류성질환, 상복부통, 장게실, 장천공, 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 대사 및 영양 질환 고혈당증 고혈당증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감각이상, 뇌경색, 신경압박 - 감염 및 침습 요로감염, 부비동염, 게실염, 골반염, 폐렴, 폐결핵 요로감염, 급성신우신염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무력증, 통증 -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인대염좌, 도로교통사고, 약물중독, 발목골절, 손 골절, 장골골절, 반월판손상, 흉추골절, 정강뼈골절 - 눈장애 각막염 - 호흡기계 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객혈 - 혈관 질환 뇌출혈, 말초 동맥 폐색 - 심장 장애 협심증, 심근경색증 - 간 및 담도계 질환 담관결석, 담관염, 알코올성간경화 - 정신질환 우울증, 자살시도 - 신생물 위선암 - 방어기전 장애 아나필락시스반응 - 흔하지 않게 (0.1~1%미만) 감염 및 침습 급성신우신염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가슴통증 -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15.73%(476/3,027명, 624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3.67%(111/3,027명, 129건) 드물게 (0.01~0.1%미만) 위장관계 장애 만성위염, 장게실, 위창자내공기참, 잦은장운동, 위장염, 대장용종, 장천공, 명치불편, 기능성위장장애, 미란성위염, 잇몸장애, 잇몸통증, 치질, 열공탈장, 과민성대장증후군, 흑색변, 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위염, 위장장애, 복부불편함, 복통, 식도염, 하복부통, 잦은장운동 비뇨기계 질환 긴박뇨, 당뇨병성신증, 과민성방광, 미세알부민뇨, 복압성요실금, 배뇨주저, 요로결석 소변이상, 긴박뇨 임상 검사 혈중젖산증가, 림프구감소증 체중증가, 혈중젖산증가 대사 및 영양 질환 비타민D결핍 고혈당증, 식욕증가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미각이상, 졸림, 긴장성두통, 수근관증후군, 뇌경색, 당뇨병성신경병증, 의식불명, 신경압박, 신경통, 말초신경병증, 수면장애, 실신, 진전 미각이상 감염 및 침습 기관지염, 대상포진, 부비동염, 편도선염, 게실염, 단순포진, 다래끼, 관절농양, 후두염, 중이염, 골반염, 치관주위염, 폐렴, 폐결핵, 비염, 발톱무좀 단순포진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부종, 발열, 이물감, 얼굴부종, 얼굴통증, 온감, 독감유사증후 가슴통증, 피로, 통증, 부종, 이물감 생식기능 장애 유방종괴, 발기기능장애, 양성전립선비대증, 유방통증, 생식기발진, 월경과다, 생식기부종, 자궁출혈, 질출혈, 외음부질불편감 월경불순, 생식기부종, 외음부질불편감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탈모, 피부염, 피부건조증, 알레르기피부염, 접촉성피부염, 당뇨병성족부궤양, 발한 이상 습진, 동전습진, 습진, 과각화증, 손발톱색소침착, 피부병변 두드러기, 식은땀, 피부염, 피부건조증, 과각화증, 피부병변 근육-골격계 장애 옆구리통증, 근섬유통, 사지불편감, 근경련, 근골격불편, 골감소증 근위약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타박상, 도로교통사고, 약물중독, 발목골절, 안와골절, 족부골절, 위장관내이물, 손 골절, 장골골절, 열상, 인대파열, 사지손상, 반월판손상, 피부찰과상, 힘줄파열, 흉추골절, 정강뼈골절, 치아손상 - 눈장애 건성안, 안통, 망막장애, 시력저하, 안검염, 백내장, 결막부종, 알레르기결막염, 결막염, 복시, 눈꺼풀부종, 각막염, 고안압증, 시각장애, 유리체부유물 - 호흡기계 질환 입인두통, 알레르기비염, 천식, 만성폐쇄성질환, 발성장애, 비출혈, 객혈, 객담, 수면무호흡증후군, 천명 - 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뇌출혈, 홍조, 말초 동맥 폐색, 말초한랭, 정맥류, 혈관성두통 기립성저혈압 심장 장애 협심증, 심방세동, 이완기장애, 심근경색증 - 정신질환 불안장애, 유뇨증, 우울증, 환청, 수면장애, 자살시도 불안장애, 유뇨증 간 및 담도계 질환 담관결석, 담관염, 알코올성간경화, 간낭종 - 청력 및 전정기관 장애 현훈 - 신생물 위선암, 항문생식기사마귀, 위선종, 신경종, 상세불명의뇌하수체신생물 상세불명의뇌하수체신생물 내분비 질환 남성생식선저하증, 갑상선낭종, 갑상선종괴 - 방어기전 장애 아나필락시스 반응, 음식알레르기 음식알레르기 혈액 및 림프계 장애 적혈구증다증 - 흔하지 않게 (0.1~1%미만) 위장관계 장애 소화불량, 오심, 설사, 위염, 구토, 위장장애, 복부불편함, 복통, 위식도역류성질환, 식도염, 하복부통, 상복부통, 장염, 위궤양 소화불량, 오심, 설사, 구토 비뇨기계 질환 요저류, 소변이상 요저류 임상 검사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증가,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증가, 체중증가 - 대사 및 영양 질환 식욕감소, 다음증, 고혈당증, 식욕증가 식욕감소, 다음증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두통, 감각저하, 감각이상 두통 감염 및 침습 비인두염, 상기도감염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무력증, 가슴통증, 피로, 가슴불편함, 통증, 말초부종, 전신부종, 허기 무력증, 허기 생식기능 장애 질분비물, 월경불순 질분비물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가려움증, 두드러기, 식은땀 가려움증 근육-골격계 장애 관절통, 근골격통증, 사지통증, 근위약, 근육통, 골관절염 -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인대염좌 - 눈장애 당뇨병성망막병증 - 호흡기계 질환 기침, 호흡곤란 - 혈관 질환 기립성저혈압 심장 장애 두근거림 두근거림 정신질환 불면증 - 간 및 담도계 질환 지방간, 담낭용종 - 청력 및 전정기관 장애 이명 - 3) 피오글리타존 표 4. 피오글리타존에 대한 16 ~ 26주 위약대조 단독요법 임상시험 3건 통합 자료: 5 %를 초과하여 발생한 이상반응 및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 비해 피오글리타존을 투여 받은 환자들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환자 비율(%) 위약 (259명) 피오글리타존 (606명) 상기도 감염 8.5 13.2 두통 6.9 9.1 부비동염 4.6 6.3 근육통 2.7 5.4 인두염 0.8 5.1 표 5. 설포닐우레아에 피오글리타존을 병용 투여한 16 ~ 24주 임상시험들 16주 위약대조 임상시험 5 %를 초과하여 발생한 이상반응 및 위약 + 설포닐우레아를 투여 받은 환자에 비해 피오글리타존 30 mg + 설포닐우레아를 투여 받은 환자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환자 비율(%) 위약 + 설포닐우레아 (187명) 피오글리타존 15mg + 설포닐우레아 (184명) 피오글리타존 30mg + 설포닐우레아 (189명) 부종 2.1 1.6 12.7 두통 3.7 4.3 5.3 복부팽만 0.5 2.7 6.3 체중 증가 0 2.7 5.3 24주 비-대조,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 5 %를 초과하여 발생한 이상반응 및 피오글리타존 30 mg + 설포닐우레아를 투여 받은 환자에 비해 피오글리타존 45 mg + 설포닐우레아를 투여 받은 환자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환자 비율(%) 피오글리타존 30 mg + 설포닐우레아 (351명) 피오글리타존 45 mg + 설포닐우레아 (351명) 저혈당 13.4 15.7 부종 10.5 23.1 상기도 감염 12.3 14.8 체중 증가 9.1 13.4 요로 감염 5.7 6.8 표 6. 메트포르민에 피오글리타존을 병용 투여한 16 ~ 24주 임상시험들 16주 위약대조 임상시험 5 %를 초과하여 발생한 이상반응 및 위약 +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에 비해 피오글리타존 +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환자 비율(%) 위약 + 메트포르민 (160명) 피오글리타존 30 mg + 메트포르민 (168명) 부종 2.5 6.0 두통 1.9 6.0 24주 비-대조,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 5 %를 초과하여 발생한 이상반응 및 피오글리타존 30 mg +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에 비해 피오글리타존 45 mg+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환자 비율(%) 피오글리타존 30 mg + 메트포르민 (411명) 피오글리타존 45 mg + 메트포르민 (416명) 상기도 감염 12.4 13.5 부종 5.8 13.9 두통 5.4 5.8 체중 증가 2.9 6.7 표 7. 인슐린에 피오글리타존을 병용 투여한 16 ~ 24주 임상시험들 16주 위약대조 임상시험 5 %를 초과하여 발생한 이상반응 및 위약+인슐린을 투여 받은 환자에 비해 피오글리타존 30 mg + 인슐린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환자 비율(%) 위약 + 인슐린 (187명) 피오글리타존 15 mg + 인슐린 (191명) 피오글리타존 30 mg + 인슐린 (188명) 저혈당 4.8 7.9 15.4 부종 7.0 12.6 17.6 상기도 감염 9.6 8.4 14.9 두통 3.2 3.1 6.9 체중 증가 0.5 5.2 6.4 요통 4.3 2.1 5.3 어지럼증 3.7 2.6 5.3 복부팽만 1.6 3.7 5.3 24주 비-대조,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 5 %를 초과하여 발생한 이상반응 및 피오글리타존 30 mg + 인슐린을 투여 받은 환자에 비해 피오글리타존 45 mg + 인슐린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환자 비율(%) 피오글리타존 30 mg + 인슐린 (345명) 피오글리타존 45 mg + 인슐린 (345명) 저혈당 43.5 47.8 부종 22.0 26.1 체중 증가 7.2 13.9 요로 감염 4.9 8.7 설사 5.5 5.8 요통 3.8 6.4 혈중 크레아티닌키나아제(CK) 상승 4.6 5.5 부비동염 4.6 5.5 고혈압 4.1 5.5 표 8. PROactive 임상시험: 피오글리타존을 투여 받은 환자의 >5%에서 보고된 이상 반응 및 위약에 비해 더 흔하게 보고된 이상 반응의 발생률 및 종류 환자 비율(%) 위약(2633명) 피오글리타존(2605명) 저혈당 18.8 27.3 부종 15.3 26.7 심부전 6.1 8.1 사지 통증 5.7 6.4 요통 5.1 5.5 흉통 5.0 5.1 표 9. 기타 이상 반응(울혈심부전) 설포닐우레아에 병용하여 피오글리타존 또는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 환자수(%) 위약대조 임상시험 (16주) 비-대조,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 (24주) 위약 + 설포닐우레아 (187명) 피오글리타존 15 mg + 설포닐우레아 (184명) 피오글리타존 30mg + 설포닐우레아 (189명) 피오글리타존 30 mg + 설포닐우레아 (351명) 피오글리타존 45 mg + 설포닐우레아 (351명) 최소 1건 이상의 울혈심부전 사례 2(1.1 %) 0 0 1(0.3 %) 6(1.7 %) 입원 2(1.1 %) 0 0 0 2(0.6 %) 인슐린에 병용하여 피오글리타존 또는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 환자수(%) 위약대조 임상시험 (16주) 비-대조,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 (24주) 위약 + 인슐린 (187명) 피오글리타존 15 mg + 인슐린 (191명) 피오글리타존 30 mg + 인슐린 (184명) 피오글리타존 30 mg + 인슐린 (345명) 피오글리타존 45 mg + 인슐린 (345명) 최소 1건 이상의 울혈심부전 사례 0 2(1.0 %) 2(1.1 %) 3(0.9 %) 5(1.4 %) 입원 0 2(1.0 %) 1(0.5 %) 1(0.3 %) 3(0.9 %) 메트포르민에 병용하여 피오글리타존 또는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 환자수(%) 위약대조 임상시험 (16주) 비-대조,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 (24주) 위약 + 메트포르민 (160명) 피오글리타존 30 mg + 메트포르민 (168명) 피오글리타존 30 mg + 메트포르민 (411명) 피오글리타존 45 mg + 메트포르민 (416명) 최소 1건 이상의 울혈심부전 사례 0 1(0.6 %) 0 1(0.2 %) 입원 0 1(0.6 %) 0 1(0.2 %) 표 10. 피오글리타존 또는 글리부리드를 투여 받은 NYHA 분류 2 또는 3의 울혈심부전 환자에서의 기타 이상반응(울혈심부전) 피험자 수(%) 피오글리타존 (262명) 글리부리드 (256명) 심혈관계 소인으로 인한 사망(판결됨) 5(1.9 %) 6(2.3 %) 울혈심부전 악화로 인한 1박 입원(판결됨) 26(9.9 %) 12(4.7 %) 울혈심부전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판결됨) 4(1.5 %) 3(1.2 %) 시험 기간 동안 울혈심부전 진행을 경험한 환자 35(13.4 %) 21(8.2 %) 표 11. PROactive 임상시험에서의 기타 이상 반응(울혈심부전) 피험자 수(%) 위약 (2,633명) 피오글리타존 (2,605명) 울혈성 심부전 사례로 인한 최소 1회 이상 입원 108(4.1%) 149(5.7%) 치명적 22(0.8 %) 25(1.0 %) 비-치명적 입원 86(3.3 %) 124(4.7 %) 표 12. PROactive: 심혈관계 복합 평가 변수 중 각 변수에 대한 최초 발생 횟수 및 총 사례 수 심혈관계 사례 위약 2,633명 피오글리타존 2,605명 최초 사례 n (%) 총 사례 수 n 최초 사례 n (%) 총 사례 수 n 모든 사례 572(21.7) 900 514(19.7) 803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122(4.6) 186 110(4.2) 177 비치명적 심근 경색 118(4.5) 157 105(4.0) 131 뇌졸중 96(3.6) 119 76(2.9) 92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63(2.4) 78 42(1.6) 65 심혈관 중재술(CABG/PCI) 101(3.8) 240 101(3.9) 195 다리 대절단 15(0.6) 28 9(0.3) 28 다리 혈관 재건술 57(2.2) 92 71(2.7) 115 표 13.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임상시험 기간 동안 기저치로부터의 체중 변화(kg) 대조군(위약) 피오글리타존 15 mg 피오글리타존 30 mg 피오글리타존 45 mg 중앙값 (25th/75th%) 중앙값 (25th/75th%) 중앙값 (25th/75th%) 중앙값 (25th/75th%) 단독요법 (16 ~ 26주) -1.4(-2.7/0.0) n = 256 0.9(-0.5/3.4) n = 79 1.0(-0.9/3.4) n = 188 2.6(0.2/5.4) n = 79 병용요법 (16-24주) 설포닐우레아 -0.5(-1.8/0.7) n = 187 2.0(0.2/3.2) n = 183 3.1(1.1/5.4) n = 528 4.1(1.8/7.3) n = 333 메트포르민 -1.4(-3.2/0.3) n = 160 N/A 0.9(-1.3/3.2) n = 567 1.8(-0.9/5.0) n = 407 인슐린 0.2(-1.4/1.4) n = 182 2.3(0.5/4.3) n = 190 3.3(0.9/6.3) n = 522 4.1(1.4/6.8) n = 338 표 14. PROactive 임상시험에서 이중 눈가림 치료 기간 동안 피오글리타존을 투여 받은 피험자 vs 위약을 투여 받은 피험자에서의 체중 변화 중앙값 위약 피오글리타존 중앙값 (25th/75th%) 중앙값 (25th/75th%) 최종 방문 시 기저치로부터의 체중 변화(kg) -0.5 (-3.3, 2.0) n = 2,581 +3.6 (0.0, 7.5) n = 2,560 표 15. 피오글리타존을 투여 받은 피험자에서의 부종 관련 이상 반응 피험자 수(%) 위약 피오글리타존 15 mg 피오글리타존 30 mg 피오글리타존 45 mg 단독요법 (16 ~ 26주) 3 (1.2 %) n = 259 2(2.5 %) n = 81 13 (4.7 %) n = 275 11 (6.5 %) n = 169 병용요법 (16 ~ 24주) 설포닐우레아 4 (2.1 %) n = 187 3(1.6 %) n = 184 61 (11.3 %) n = 540 81 (23.1 %) n = 351 메트포르민 4 (2.5 %) n = 160 N/A 34 (5.9 %) n = 579 58 (13.9 %) n = 416 인슐린 13 (7.0 %) n = 187 24(12.6 %) n = 191 109(20.5 %) n = 533 90 (26.1 %) n = 345 표 16. PROactive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에서의 부종 관련 이상반응 피험자 수(%) 위약 2,633명 피오글리타존 2,605명 419(15.9 %) 712(2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