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프린주사15밀리그램(포르피머나트륨)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포토프린주사15밀리그램(포르피머나트륨)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포토프린주사15밀리그램(포르피머나트륨)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포토프린주사15밀리그램(포르피머나트륨) Photofrin Injection 15 mg (Porfimer sodium)
이미지
Photofrin Injection 15 mg (Porfimer sodium)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porfimer sodium 15 mg

포르피머나트륨, 분량 : 15,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염산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0801611
표준코드
8806903000107, 8806903000114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진한 적색을 띠는 갈색의 동결건조한 주사용 분말이 든 바이알
허가일자
2008년 02월 11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90300010
원 /
ATC코드
L01XD01 porfimer sodium 포르피머 나트륨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4210]항악성종양제
주성분코드
565901BIJ
포장단위
제조원 포장단위
저장방법
밀봉용기, 20-25℃ 이하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이 약물을 이용한 광역학요법(Photodynamic Therapy:PDT)은 2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제 1 단계 : 2mg/kg의 용량으로 3-5분에 걸쳐 천천히 정맥 주사한다.

제 2 단계 : 주사 후 40-50 시간 후에 레이저 빛을 조사한다. 남아있는 종양이 있을 경우 부드럽게 괴사된 조직을 제거하고, 96-120 시간이 지난 후에는 두번째 레이저를 조사 할 수 있다. 임상시험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괴사 조직제거술은 초기 레이저 조사 후 2일 후에 시행하였다. 빛 조사와 괴사 조직제거술에는 표준 내시경술이 이용된다.

환자는 초기치료 후 적어도 30일 지난 후에야 두 번째 광역학요법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세번까지 이 광역학요법 치료를 받을 수 있다(각 시술간에는 적어도 30일 간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약물 조제 : 5%포도당 주사액 또는 0.9% 생리식염주사액에 녹여 2.5mg/ml농도의 용액으로 만들어 정맥주사한다.

바이알 크기

희석액 부피

이용가능한 용량

농도

75mg

31.8ml

30.0ml

2.5mg/ml

15mg

6.6ml

6.0ml

2.5mg/ml

레이저 빛의 조사 : 광역학요법은 종양성장 형태와 크기를 고려해서 행해 져야 한다. 레이저 시스템은 종양의 크기 및 위치를 고려해서 광선전도관 의 형태 및 크기를 선택하며 630±3nm 파장의 광량을 일정하게 제공하 여야 한다.

광량은 암의 위치와 적응증에 따라 조절된다.

폐쇄성 기관지내암 : 종양의 길이에 따라 200 joules/cm

식도암 : 종양의 길이에 따라 300 joules/cm

광량은 전체 광선전도관 조사량(방사량)(W), 조사시간(초), 광선전도관의 길이(cm)을 기초매개변수로 계산하여 적용한다.

광량(J/cm)= 전체 광선전도관 조사량(방사량)(W) x 조사시간(초)/광선전도 관 길이(cm)


♦ 용법.용량


포토프린을 이용한 광역학요법을 다음에 적용할 수 있다.

- 완전 폐쇄성 식도암 또는 Nd:YAG 레이저술로 충분히 치료할 수 없 는 부분 폐쇄성 식도암 환자의 완화

- 완전 또는 부분 폐쇄성 기관지내의 비소세포폐암(NSCLC)환자의 폐쇄 감소와 증상의 완화


♦주의사항(일반)


1. 경고

1) 이 약은 광역학 요법에 대한 충분한 경험이 있는 의사에 의해 투여되 어야 한다. 또한 이 요법은 대상부위에 레이저를 정확히 조사할 필요가 있으므로 내시경 기술에 숙달한 의사가 실시한다.

2) 광역학요법은 진단기구와 광원장치가 설비된 특별한 진료실에서 실시 한다.

3) 다른 치료법보다 광선역학적 요법이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4) 이 약을 투여받은 화자는 직접적인 햇빛이나 밝은 실내불빛에 피부와 눈을 노출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5) 다음의 환자의 경우 매우 주의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① 식도정맥류가 있는 환자(출혈의 위험이 높으므로 정맥류 주위에 빛을 직접 조사하지 않아야 한다.)

② 기관 또는 기관지 중앙에 위치한 큰 암세포가 있거나, 공동성(空洞性) 종양이 있거나, 종양이 기관지에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있어 치명적인 객혈을 할 위험성이 높은 환자

③ 광역학요법으로 유발된 염증이 주기도를 폐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위 치한 기관지염을 가진 환자(예: 기도에 길게 또는 주위에 위치한 종양, 주기관지 주위에 있거나 또는 이전에 폐절제술을 한 환자의 주기관지 주위에 종양이 있는 환자의 기관분기부 종양)

2. 다음 환자는 투여하지 말 것

1) 포르피린증 환자

2) 이 약 성분에 대해 과민증이 있는 환자

3) 기관식도 누공 또는 기관지식도 누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거나 있는 환자

4) 암세포가 주혈관까지 침식된 환자

3. 부작용

포토프린 광역학요법으로 인한 전신반응은 광과민성과 경미한 변비이다. 이 약을 투여받은 모든 환자는 광과민성을 나타내므로 햇빛과 밝은 실내 등을 피하여야 한다. 광과민반응은 임상시험 참가자 중 약 20%의 환자에 서 관찰되었다. 주로,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발적 반응이었고, 부종, 가려 움, 작열감, 뜨겁게 느끼거나 수포가 생기는 반응도 관찰되었다. 24명의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단일시험에서, 모든 대상자가 광과민성을 나 타내었다. 기타 머리카락 성장이 증가하거나, 피부착색, 피부소절, 주름증 가, 피부 취약성 증가와 같은 피부의 반응이 관찰되었으나, 흔한 것은 아 니었다. 이 현상은 아마도 Pseudoporphyria state(temporary drug- induced cutaneous porphyria)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치료와 관련된 대부분의 독성반응은 빛이 조사된 부위의 국소반응이 고, 가끔씩 그 주변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국소 부작용은 광역학 치료로 유발된 염증반응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1) 식도암

다음은 포토프린 광역학요법으로 치료한 완전 또는 부분 폐색 식도암 환자의 적어도 5%를 대상으로 전 추적기간 동안 보고된 부작용이다. 이들 부작용과 이 약과의 연관성은 확실하지 않다.

폐쇄성 식도암 환자의 5% 이상에서 보고된 부작용

(전 추적조사 기간 동안 보고된 부작용)

각 장기 별 부작용

환자 수

(n=88)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나타낸 환자

84

95

자율 신경계

   

고혈압

5

6

저혈압

6

7

전신

   

무력

5

6

요통

10

11

가슴통증

19

22

가슴통증(substernal)

4

5

일반적 부종

4

5

국소 부종

6

7

27

31

통증

19

22

수술 합병증

4

5

심혈관계

   

심부전

6

7

위장관계

   

이상 통증

18

20

변비

21

24

설사

4

5

소화불량

5

6

연하곤란

9

10

트림

4

5

식도 부종

7

8

식도 종양 출혈

7

8

식도 협착

5

6

식도염

4

5

토혈

7

8

혈변

4

5

오심

21

24

구토

15

17

심박동

   

심방세동

9

10

빈맥

5

6

대사 & 영양

   

탈수

6

7

체중감소

8

9

정신과

   

식욕부진

7

8

불안

6

7

혼동

7

8

불면증

12

14

적혈구

   

빈혈

28

32

면역계

   

모닐리아증

8

9

호흡기계

   

기침

6

7

호흡곤란

18

20

인두염

10

11

흉막유출

28

32

폐렴

16

18

호흡기능부전

9

10

기관식도누공

5

6

피부 & 부속기

   

광과민반응

17

19

비뇨기

   

요로감염증

6

7

종양의 위치가 다음 세가지 부작용의 예후인자가 되었다: 식도의 위쪽 1/3(식도부종), 가운데 1/3(심방세동), 가장 혈액이 많은 아래쪽 1/3(빈 혈). 또한 커다란 크기의 종양(>10cm)을 가진 환자가 보다 더 빈혈을 나타내었다. 종양으로 완전히 식도가 폐쇄된 17명의 환자 중 2명은 치 료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각막 천공을 경험하였다; 이들 천공은 치료 후에 시행하는 내시경 검사중에 일어났다.

임상시험에서 폐쇄성 식도암을 가진 환자를 광역학요법 치료하여 5% 이하의 환자에서 관찰된 심각하고 기타 주의할 만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이 치료와의 관련성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위장관계에서 식 도천공, 위궤양, 장폐색, 황달, 복막염이 관찰되었다. 가끔 패혈증이 보 고되었다. 심혈관계 부작용으로는 협심증, 서맥, 심근경색, 동기능 부전 증후군(sick sinus syndrome), 상심실성 빈맥 등이 있었다. 호흡기계 부작용으로는 기관지염, 기관지경련, 후두기관지 부종, 폐렴, 폐출혈, 폐부종, 호흡부전, 천명음 등이 있었다. 몇몇 환자의 광조사와 시기적으 로 일치하는 위장관, 심혈관계, 호흡기계 부작용은 종격동 염증이 있음 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시력과 관련된 부작용은 시력이상, 복시, 안구통 증, 눈부심 등이 있었다. 식도암 환자에서 이 약을 이용한 광역학요법 이후에 빈혈이 생겼는데 종양출혈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2) 폐쇄성 기관지내 암

다음은 포토프린 광역학요법 또는 Nd:YAG 레이저로 치료받은 폐쇄성 기관지내 암 환자의 적어도 5% 이상에서 추적관찰 기간동안 나타난 부작용을 보여준다. 이들 자료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제를 투여받은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대부분의 부작용은 치료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다음의 표에서는 전체 추적관찰 기 간 동안 생긴 부작용 뿐만 아니라 치료 후 30일 이내에 발생한 부작용 도 제시하였다.

Nd:YAG 치료군에 비해 광역학요법 치료군의 추적관찰기간이 33% 더 길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전체 추적관찰기간 동안 의 부작용 발생율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편견(bias)이 내제된 것이 된 다. 두 치료군 간의 비교를 위해서는 치료 후 30일 동안의 추적관찰기 간 동안의 부작용 발생율을 비교하는 것이 적당하며 이때 광역학요법 은 9% 정도만 부작용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성 기관지내 암 환자의 5% 이상에서 보고된 부작용

각 장기 별

부작용

치료 후 30일 이내

전 추적기간 동안

PDT(N=86)

Nd:YAG(N=86)

PDT(N=86)

Nd:YAG(N=86)

환자수

%

환자수

%

환자수

%

환자수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나타낸 환자

43

50

33

38

62

72

48

56

전신

               

요통

3

3

1

1

3

3

5

6

가슴통증

6

7

6

7

7

8

8

9

국소 부종

3

3

3

3

4

5

3

3

7

8

7

8

14

16

8

9

통증

1

1

4

5

4

5

8

9

중추 신경계

               

발성장애

3

3

2

2

4

5

2

2

위장관계

               

변비

4

5

1

1

4

5

2

2

소화불량

1

1

4

5

2

2

5

6

정신과

               

불안

3

3

0

0

5

6

0

0

불면증

4

5

2

2

4

5

3

4

호흡기계

               

기관지염

9

10

2

2

9

10

2

2

기침

5

6

8

9

13

15

11

13

호흡곤란

15

17

7

8

26

30

13

15

객혈

6

7

5

6

14

16

7

8

(광역학요법치료군의 추적조사기간은 Nd:YAG 군에 비하여 33% 더 길었고, 그 결과 부작용을 전 추적조사기간동안 보고된 부작용은 광역학요법치료군에 대하여 bias를 만들었다.)

광역학요법치료와 관련된 일과성 염증 반응은 10% 정도의 환자에서 관찰되었으며 발열, 기관지염, 흉통, 호흡곤란 등으로 나타났다. 기관지 염과 호흡곤란의 발병율은 Nd:YAG에 비해 광역학요법치료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기관지염은 치료 후 1주 정도에 생겼고 한명을 제외하면 경증 또는 중등도의 병세를 보였다. 이러한 부작용은 항생제 치료를 하면 10일 이내에 대부분 치유되었다. 치료와 관련되어 호흡곤 란이 악화되는 경우는 대체로 일시적이며 저절로 좋아졌다. 치료부위의 괴사조직제거술(debridement)는 삼출액과 괴사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였다.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의 호흡곤란은 광역학요법 치 료환자의 3%, Nd:YAG 치료환자의 2%에서 생겼다.

치명적인 객혈의 발생율은 광역학요법 치료환자의 10%, Nd:YAG 치료 환자의 5%에서 생겼는데 치료후 30일 이내에 생긴 것은 두 치료군이 같았다(전체 부작용의 4%, 치료관련 부작용의 3%). 이전에 방사선 치 료를 받았던 경우에 광역학요법이나 다른 방법의 국지적 치료법 후 치 명적인 객혈이 더 많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치명적 객혈의 발생율은 광역학요법 치료군 21%(6/29), Nd:YAG 치료군 10% 이었다. 이전에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치명적 객혈 발생율이 1% 미만이었다. 그 밖의 심각한 부작용은 5% 미만의 광역학요법 치료군에서 발생하였으며 치료와의 연관성은 확실 하지 않다. 호흡기계에서는 폐동맥 혈전, 폐색적증, 폐농양 등이 있었고 심부전, 패혈증, 뇌혈관질환 등이 각각 1명씩 있었다.

4. 일반적 주의사항

1) 각 치료전 모든 환자는 종양이 주 혈관을 침습하고 있을 가능성에 대 하여 반드시 검사 받아야 하며 기관식도누공 또는 기관지식도누공이 있는 지를 검사받아야 한다.

2) 광과민성

① 이 약을 투여한 환자는 투여 후 광과민성을 나타내므로, 투여 후 적어 도 30일까지는 피부와 눈을 햇빛에 직접 노출하거나 실내의 밝은 불빛 (수술실이나 치과에서와 같은 검사용 램프, 차단되지 않은 밝은 불빛) 에 가까이 노출하여서는 안된다. 환자에 따라서 90일간 또는 그 이상 광과민성을 나타낼 수 도 있다.

② 광과민성은 피부의 모든 부위에 존재할 수 있는 남은 약물 때문에 일 어난다. 그러나 실내의 정상적인 불빛에 대한 노출은 광표백 과정을 통 해 이 약물을 서서히 안전하게 불활성화시키므로 도움이 된다. 그러므 로, 환자는 어두운 곳에 있어서는 안되며, 정상적인 일반 실내빛에 있 는 것이 좋다.

③ 광과민성의 정도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빛에 대한 이전 의 노출정도에 따라서도 달리 나타난다. 환자는 직접적인 햇빛이나 밝은 실내 빛에 나서기 전에, 반드시 미리 광과민성 시험을 해야 한다. (눈 주위의 피부는 보다 민감하므로, 얼굴을 시험대상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먼저, 10분간 피부의 약간 주위를 햇빛에 노출해 본다. 만약, 광과민성 반응(발적, 부종, 수포)이 24시간 내에 일어나지 않으면, 환자는 점차적으로 정상적인 바깥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데, 초기에는 주의를 계속하여야 한다. 만약 제한적인 피부 시험으로 어떠한 광과민 반응이 일어나면, 환자는 2주간 더 주의사항을 따른 후에야 재시험을 할 수 있다.

④ 만약, 환자가 햇빛이 더욱 강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할 경우에는 광과민성의 정도를 재시험해야 한다.

⑤ 광과민작용은 가시광선에 의해 일어나므로, UV 차단 선크림등은 광과 민작용을 예방하는 효과가 없다.

3) 눈의 과민반응

햇빛, 밝은 빛, 자동차 불빛에 대한 과민성으로 표현되는 눈의 불쾌감 이 보고된바 있다. 30일 동안은, 실외로 나갈 경우에 반드시 강한 정도 로 빛을 차단하는 선글라스 (평균 흰색광선 투과도 4%이하)를 착용하 여 눈을 보호해야 한다.

4) 방사선 요법 전 또는 후의 사용

① 만약 방사선 요법을 시행하기 전이나 후에 광역학요법을 행할 때는, 이 두 치료 사이에 충분한 정도의 시간을 두어서, 먼저 시행한 치료로 인한 염증반응이 진정된 후에 다음 치료를 시작하도록 해야 한다.

② 광역학요법으로 인한 염증반응은 종양의 크기와 빛을 조사받은 주변 의 정상조직의 크기정도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광역학요법을 시행하고 2~4 주후에 방사선 요법을 시작할 것을 권한다.

③ 방사선 치료를 한 후에 광역학요법을 해야 할 경우에는, 보통, 방사선 치료로 인한 급성 염증이 치료완료 후 4주안에 진정되므로, 그 이후에 할 수 있다.

5) 광역학요법치료 후에, 환자는 치료부위의 염증으로 인하여 흉골하 동 통을 호소할 수 있으며, 단기간 동안 아편성 진통제를 처방하여 이러한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6) 기관지내에 병변을 가진 환자는 레이저 빛을 조사한 후, 의무적인 기 관지경검사 이전기간 동안에 호흡곤란의 증세가 있는 지를 밀접히 관 찰하여야 한다. 염증, 점막염, 괴사성 부스러기등은 기도폐색을 유발 할 수 있다. 만약, 호흡곤란이 일어나면, 즉각적으로 기관기경을 수행하여 분비물과 부스러기를 제거하여 기도를 열어주어야 한다.

7) 남성 환자 및 임신가능성이 있는 여성 환자에게 이 약 치료기간 동안 및 마지막 투여 이후 5개월까지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사용하도록 조언한다.


5. 약물상호작용

1) 이 약과 다른 약물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공식적인 시험은 없었다. 그 러나, 다른 광과민 작용이 있는 약물 (tetracyclines, sulfonamides, phenothiazines, sulfonylurea, hypoglycemic agents, thiazide diuretics, griseofulvin)과의 동시투여는 광과민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포토프린 광역학요법은 세포내부의 막과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케 하는 라디칼 연쇄반응을 일으켜서 직접적인 세포내 손상을 일으킨다. 혈관수 축으로 인한 허혈성, 혈소판활성화와 응집반응으로 인하여 조직손상을 야기할 수 도 있다. 동물실험과 세포배양시험결과는 많은 약이 광역학 요법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나, 사람에 대한 효 과는 증명되지 않았다.

3) 활성화산소를 억제하거나 라디칼을 소기하는 성분, 예를 들어 dimethyl sulfoxide, b-carotene, ethanol, formate, mannitol 등은 광 역학요법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임상시험자료는 또한 조직 허혈상태, allopurinol, 칼슘채널 봉쇄제 와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저해제 중 일부가 포토프린 광역학요법과 상호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5) 혈관응고저해제, 혈관수축제, 또는 thromboxane A2 저해제와 같은 혈소판 응고제 등은 광역학요법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를 대상으로 한 시험결과는 없으므로, 유효성이 위험성을 상회하 는 경우에만 이 약을 투여한다.

2) 동물 연구에 따르면 이 약은 임부가 투여하였을 때 배-태아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임신한 랫트와 토끼에서 기관 형성 기간 동안 전체 신체 표면적에 대하여 사람 권장 용량의 약 0.64 배를 정맥 투여 시 태자 흡수 증가, 태자수 감소 및 태자 체중 감소가 초래되었으나, 태자 기형은 유발되지 않았다. 임부에게 태아의 잠재적 위험에 대하여 조언한다.

남성 환자 및 임신가능성이 있는 여성 환자에게 이 약 치료기간 동안 및 마지막 투여 이후 5개월 까지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사용하도록 조언한다.

3) 이 약 치료 시작 전에 임신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임신 상태를 확인한다.

4) 유아에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모유로의 이행여부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이 약의 치료기간 동안 및 마지막 투여 이후 5개월 까지 수유부에 투여해서는 안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를 대상으로 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노인에 대한 투여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의 약 70%가 60세 이상이었다. 보다 젊은 연 령군의 환자와 비교하여 볼 때 효력과 안전성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연령에 따라 용량을 변경 할 필요가 없다.

9. 과량투여

1) 포토프린의 과량투여

이 약의 과량투여로 인한 부작용이 보고된 바 없으나, 이 약을 권장량 보다 많은 두 번의 2mg/kg 해당량을 각2일에 투여하고(10명), 2mg/kg 해당량을 2주일동안에 3번 투여한 결과(1명), 특이할 만한 부 작용이 없었다. 광과민성을 나타내는 기간에 관한 과량투여의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만약 이 약을 과량으로 투여한 경우에, 레이저 조사 를 하지 않아야 한다. 과량이 투여된 경우, 환자는 눈과 피부를 직접 적인 햇빛이나 밝은 실내등에 노출하지 않도록 30일간 주의하여야 한 다. 환자는 점차적으로 광과민성 시험을 거친 후 야외활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이 약은 투석되지 않는다.

2) 레이저빛의 과량조사

빛을 과량 조사한 후에는 주변 정상조직에 대한 증상과 손상이 더 많 이 가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몇 명의 표재성 기관지내 종양 환자에게 권장량보다 2~3배의 량을 조사한 결과, 1명은 생명이 위험할 정도의 호흡곤란을 보였고, 나머지는 아무런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10. 적용상의 주의사항

1) 이 약을 엎지른 경우에 축축히 젖은 수건을 이용하여 닦아내야 한다. 이 약이 피부와 눈에 닿지 않도록 하고, 장갑과 기타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2) 이 약은 눈의 자극제도 아니고, 피부 자극제도 아니지만, 광과민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밝은 빛 아래에서는 자극제가 될 수도 있다. 이 약을 다룰 때에는 눈과 피부의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3) 이 약을 용제에 희석할 때 다른 약물과 혼합하여 사용하지 말며 이 용액을 밝은 빛으로 부터 차단하여 보호하고 즉시 사용하도록 한다.

11. 저장상의 주의사항

이 약을 용제에 희석한 후에는 냉장고(2~8℃)에 보관하여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으나, 희석 후 적어도 3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