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능.효과
보통 성인에게는 설박탐나트륨-암피실린나트륨으로써, 1일 6g(역가)를 2회에 나누어 정맥내주사 또는 점적정주한다. 또한, 중증감염증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적정증량할 수 있으나, 1회 3g(역가) 1일 4회(1일량으로써 12g(역가))를 상한으로 한다.">보통 성인에게는 설박탐나트륨-암피실린나트륨으로써, 1일 3g(역가)를 2회에 나누어 정맥내주사 또는 점적정주한다.보통 소아에게는 설박탐나트륨-암피실린나트륨으로써, 1일 60~150mg(역가)/kg을 3~4회에 나누어 정맥내주사 또는 점적정주한다.
정맥내주사 시에는, 일국주사용수, 일국생리식염수 또는 일국포도당주사액에 용해하여, 느리게 투여한다.
또한, 점적에 따른 정맥내 투여 시에는, 보액에 용해하여 사용한다.1. 본제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막기 위해, β-락타마아제생산균, 동시에 암피실린내성균을 확인하고, 질병의 치료상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에 투여하도록 할 것.
2. 고도의 신장장애가 있는 성인환자에게 본제를 투여할 경우에는, 본제의 투여량 및 투여간격을 조절하는 등, 신중히 투여할 것. [“신중투여” 및 “약물동태”의 항 참조]
♦ 용법.용량
(적응균종)본제에 감성의 포도구균속(球菌屬), 폐렴구균,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라리스, 대장균, 프로테우스속, 인플루엔자균
(적응증)
폐렴, 폐농증(폐화농증), 방광염, 복막염
♦주의사항(일반)
신중투여(다음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1. 세펨계 항생물질에 대해 과민증의 기 왕력(旣 往歷)이 있는 환자2. 본인 또는 양친, 형제에 기관지천식, 발진, 두드러기 등의 알레르기반응을 쉽게 일으키는 체질을 가진 환자3. 고도의 신장장애가 있는 환자. [“용법·용량에 관련한 사용상의 주의” 및 “약물동태”의 항 참조]4. 경구섭취 불량한 환자 또는 비경구 영양 환자, 전신상태가 나쁜 환자. [비타민K결핍에 의한 출혈경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할 것]5. 고령자. [“고령자에게 투여”의 항 참조]6. 1세 이하의 소아. [“소아 등에게 투여”의 항 참조]중요한 기본적 주의
1. 본제에 의한 쇼크, 아나필락시의 발생을 확실히 예지 가능한 방법이 없으므로, 다음의 조치를 취할 것.(1) 사전에 기 왕력 등에 대해 충분히 문진할 것. 또한, 항생물질 등에 의한 알레르기력은 반드시 확인할 것.(2) 투여 시에는, 반드시 쇼크 등에 대한 구급처치를 할 수 있는 준비를 해둘 것.(3) 투여 개시부터 투여 종료 후까지, 환자를 안정 상태에 두고, 충분히 관찰할 것. 특히, 투여 개시 직후는 주의 깊게 관찰할 것.2. 본제의 투여 시에는, 정기적으로 간 기능, 신장 기능, 혈액 등의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1세 이하의 소아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설사·변비 발생에 주의하고, 신중히 투여할 것. [“소아 등에게 투여”의 항 참조]
상호작용
설박탐, 암피실린 모두 거의 대사되지 않고, 미변화체로써 주로 소변으로 배설된다. [“약물동태”의 항 참조]겸용주의
(겸용에 주의할 것)1. 약제명 등: 알로푸리놀(1) 임상증상·조치방법암피실린과의 겸용에 의해, 발진 발현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음.1)(2) 기서(機序,구조(構造))·위험인자구조 불명이지만 약제성의 발진이 알로푸리놀과 암피실린을 겸용하고 있던 예67건의 입원환자 중 22.4%에서 발견되었고, 암피실린 단독복용예의 1,257건에서는 7.5%로 발견되었다. 또한 암피실린을 겸용하지 않는 알로푸리놀 복용환자 예283건 중 2.1%가 약제성발진을 경험했다는 보고가 있음.2. 약제명 등: 항응혈약(1) 임상증상·조치방법페니실린주사액이 혈소판의 응집·응고에 영향을 주어, 출혈경향을 증강시킬 우려가 있음.(2) 기서(機序,구조(構造))·위험인자항응혈작용과 페니실린주사액의 혈소판응집억제작용에 의해 상가적으로 출혈경향이 증강될 가능성이 있음.3. 약제명 등: 경구피임약(1) 임상증상·조치방법암피실린과의 겸용에 의해 피임효과가 감약되었다는 보고가 있음.(2)기서(機序,구조(構造))·위험인자본제는 장내세균총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경구피임약의 장간순환에 의한 재흡수를 억제시킨다고 생각되고 있음.4. 약제명 등:메토트렉세이트(1) 임상증상·조치방법페니실린과의 겸용에 의해, 메토트렉세이트의 클리어런스가 감소될 우려가 있음.(2) 기서(機序,구조(構造))·위험인자메토트렉세이트의 세뇨관분비가 방해받아, 체내로부터의 소실이 지연되어, 메토트렉세이트의 독성이 증강할 가능성이 있음.5. 약제명 등: 프로베네시드(1) 임상증상·조치방법겸용에 의해, 본제의 혈중농도 상승, 혈중농도 반감기의 연장, 본제가 가지는 독성리스크의 상승의 우려가 있음.(2) 기서(機序,구조(構造))·위험인자프로베네시드의 세뇨관분비억제작용에 의해 본제의 배설이 지연될 우려가 있음.부작용
부작용 등 발현상황의 개요1. 개발시일반임상시험 및 비교임상시험 합계 예 1,593건 중 265건(16.64%)에 부작용 또는 임상검사수치이상이 발견되었음. 이 중, 부작용은 66건(4.14%)으로, 주로 설사(1.51%), 발진(1.38%), 발열(0.50%) 등이었음. 임상검사수치이상은 217건(13.62%)로, 주로 ALT(GPT) 상승(6.48%), AST(GOT) 상승(6.02%), AI-P 상승(1.62%) 등이었음.2,3)2. 시판 후의 사용성적 조사(재심사 종료시)3,566건 중 269건(7.54%)에 부작용 또는 임상검사수치이상이 발견되었고, 주로 간 기능 이상(2.89%), ALT(GPT) 상승(0.84%), AST(GOT) 상승(0.81%), 발진(0.67%), 설사(0.59%) 등이었음.3. 1일 용량 12g(역가)를 투여한 일반임상시험(승인사항 일부변경 승인시)중등(中等)도에서 중(重)동의 시중폐렴환자를 대상으로, 1일 용량 12g(역가)을 투여한 일반임상시험에서는 47건 중 10건(21.3%)에 부작용 또는 임상검사수치이상이 발견되었고, 주로 ALT(GPT) 상승(10.6%), AST(GOT) 상승(10.6%), AI-P 상승(8.5%), γ-GTP 상승(6.4%), 설사(4.3%) 등이었음.4)중대한 부작용
1. 쇼크, 아나필락시쇼크, 아나필락시를 일으키는 일이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자발적 보고이므로 빈도 불명)2. **중독성표피괴사융해증(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피부점막안증후군(Stevens-Johnson증후군), 급성범발성발진성농포증중독성표피괴사융해증, 피부점막안증후군, 급성범발성발진성농포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견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자발적 보고이므로 빈도 불명)3. 혈액장애무과립구증, 빈혈(용혈성빈혈을 포함)(0.38%), 혈소판감소(0.19%) 등의 위독한 혈액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등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무과립구증은 자발적 보고이므로 빈도 불명)4. 급성신부전, 간질성신염급성신부전(0.1%미만), 간질성신염 등의 위독한 간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등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간질성신염은 자발적 보고이므로 빈도 불명)5. 위막성대장염위막성대장염 등의 혈편을 동반하는 위독한 대장염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복통, 잦은 설사가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자발적 보고이므로 빈도 불명)6. 간 기능 장애간 기능 장애(0.10%)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등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7. 간질성폐렴, 호산구성폐렴발열, 기침, 호흡곤란, 흉부X선이상, 호산구증다(增多)등을 동반하는 간질성폐렴(0.1%미만), 호산구성폐렴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부신피질호르몬제의 투여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 (호산구성폐렴은 자발적 보고이므로 빈도 불명)그 외의 부작용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감량, 투여 중지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1. 피부주2)(0.1~1%미만): 발진, 가려움증2. 피부주2)(0.1%미만): 두드러기3. 피부주2)(빈도 불명주1)): 다형홍반4. 혈액주3)(1%이상): 호산구증다5. 혈액주3)(0.1~1%미만): 백혈구감소6. 간장(1%이상): AST(GOT)상승, ALT(GPT)상승7. 간장(0.1~1%미만): AI-P상승, LAP상승, 빌리루빈수치상승, γ-GTP상승8. 간장(0.1%미만): 황달9. 소화기(0.1~1%미만): 설사·변비, 체기·구토10. 소화기(0.1%미만): 복부불쾌감11. 중추신경(빈도 불명주1)): 경련 등의 신경증상12. 균교대(빈도 불명주1)): 구내염, 칸디다증13. 기타(0.1~1%미만): 발열14. 기타(0.1%미만): 비타민K결핌증상(저프로트롬빈혈증, 출혈경향 등)15. 기타(빈도 불명주1)): 비타민B군결핍증상(설염, 구내염, 식욕부진, 신경염 등)주1) : 자발적 보고이므로 빈도 불명.주2) : 발현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할 것.주3) :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등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고령자에게 투여
고령자에게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고, 용량 및 투여 간격에 유의하는 등 환자 상태를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할 것.(1) 고령자에서는 일반적으로 생리기능이 저하하는 일이 많고 부작용이 발현되기 쉬움.(2) 고령자에서는 비타민K결핍에 의한 출혈경향이 나타나는 일이 있음.임산부, 산모, 모유수유부 등에게 투여
1. 암피실린의 대량(3,000mg/kg/일)투여로 쥐에 최기형성이 보고되었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할 것.2. 모유 중에 이행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므로5), 수유중인 부인에게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어쩔 수 없이 투여할 경우에는 수유를 중지시킬 것.소아 등에게 투여
1. 저출생체중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았음. (사용경험이 적음)2. 신생아에 대한 안정성은 확인되지 않았음. (사용경험이 적음)3. 1세 이하 소아에서는 설사·변비의 발현빈도가 높으므로, 신중히 투여할 것.임상검사결과에 미치는 영향
1. 본제의 투여에 의해, 크리니테스트, 베네딕트시약, 또는 페링시약에 의한 당뇨검사에서는 위양성을 나타내는 일이 있으므로 주의할 것6).2. 임부에게의 암피실린 투여에 의해, 총결합형에스트리올, 에스트리올글루크로니드, 결합형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의 일시적인 혈청중 농도 감소를 나타내는 일이 있으므로 주의할 것.과량투여
β-락탐계 항생물질제제의 뇌척수액중 농도가 높아지면, 경련 등을 포함하는 신경계의 부작용을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므로, 신장장애환자에게 과량투여되었을 경우에는 혈액투석을 이용하여 체내로부터 제거할 것.용법상의 주의
1. 조제시용해 후에는 신속히 사용할 것. (특히 글루코스, 플룩토스, 키실리톨, 말토스 등의 당질 함유 용해액에 용해했을 경우에는 암피실린의 역가가 저하되므로, 신속히 사용하고 보존하지 않을 것)2. 투여시정맥내 투여에 의해, 혈관통증, 혈전 또는 정맥염을 일으키는 일이 있으므로, 주사부위, 주사방법 등에 충분히 주의하고, 주사속도를 가능한 한 느리게 할 것.3. 배합변화로써 암피실린과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물질제제(류산디베카신, 류산알베카신 등)를 혼합하면 역가가 저하되었다는 보고가 있음. 겸용 시에는 투여부위 변경 및 1시간 이상 투여간격을 두는 등 투여방법에 주의할 것.약물효능
1. 혈청중 농도(1) 성인 7)건강한 보통 성인 6명에게 본제 0.75g(역가) 또는 1.5g(역가)을 크로스오버법에 따라 정주했을 때의 설박탐 및 암피실린의 혈청중 농도의 추이(평균치)는 아래 그림과 같았으며, 정주후 5분에서, 0.75g(역가)투여시 설박탐 18.7μg/mL, 암피실린 39.2μg/mL, 1.5g(역가)투여시 설박탐 40.0μg/mL, 암피실린 78.8μg/mL였음.설박탐과 암피실린의 농도반감기(t1/2)는 모두 약 1시간이며, 두 약물의 혈중동태는 매우 유사함.(2) 소아 2)소아환자 16건에 본제 30mg(역가)/kg을 정주했을 때의 혈청중 농도 추이는 아래 그림과 같았으며, 설박탐 및 암피실린의 t1/2는 약 1시간으로, 소아의 경우의 혈중동태도 성인의 경우와 거의 동일했음.
2. 뇨중배설 및 대사건강한 보통 성인 6명에게 본제 0.75g(역가) 또는 1.5g(역가)을 정주했을 때의 투여 후 0~1시간의 뇨중농도(평균치)는, 0.75g 투여시 설박탐 약 2,000μg/mL 및 암피실린 약 4,000μg/mL, 1.5g 투여시 설박탐 약 4,000μg/mL 및 암피실린 약 10,000μg/mL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음. 투여 후 24시간까지의 설박탐, 암피실린의 누적 뇨중배설치는 0.75g 투여, 1.5g 투여 모두 설박탐, 암피실린 모두 약 80%였음7). 설박탐, 암피실린 모두 거의 대사되지 않고 미변화체로써 주로 소변중에 배설됨8).3. 신장기능 장애환자(1) 해외 보고에 따르면, 중등도 내지 고도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10건)에서는 설박탐 및 암피실린의 t1/2가 연장됨9,10).(2) 일본인 시중 폐렴환자 47건(크레아티닌클리어런스(CLcr): 34.6~176mL/min))에서 얻은 222점의 혈장중 설박탐 및 암피실린 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집단약물동태해석을 실시했음. 그 결과, 신장기능(CLcr)은 설박탐 및 암피실린의 클리어런스의 의미있는 변동인자이며, 신장기능(CLcr)의 저하에 따라 설박탐 및 암피실린의 t1/2는 연장되고, 농도-시간곡선하면적(AUC)이 상승하는 경향이 발견되었음. 신장기능이 다른 환자에 대해 아래 표와 같이 투여간격을 조정했을 때, 모든 신장기능 장애환자에서 동일한 최고농도(Cmax)및 AUC의 추정치를 얻었음11)._(표1 참조)(3) 나트륨 섭취제한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유나신-S정주용1.5g에 나트륨이 115mg(5mEq) 포함되어 있는 점에 유의할 것.4. 조직내 이행(1) 성인환자에게 본제 1.5g(역가)를 정주했을 때의 설박탐 및 암피실린의 담즙중 농도는, 정주 후 1시간에서 각각 평균 3.6μg/mL, 19.8μg/mL 였음12).(2) 성인환자의 객담13), 복강내삼출액14), 자궁·부속기조직15), 골반사강삼출액15), 및 소아환자의 수액16), 고름17)등으로의 이행은 아래표와 같이 설박탐 및 암피실린 모두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2 참조)약물동태 표표1 CLcr (mL/min) | 투여간격 | 설박탐 Cmax (μg/mL) | 설박탐 AUC0-48 (μg·h/mL) | 설박탐 T1/2 (h) | 암피실린 Cmax (μg/mL) | 암피실린 AUC0-48 (μg·h/mL) | 암피실린 T1/2 (h) |
90~60 | 1일 4회, 6시간마다 | 68.6~74.2 | 650~861 | 1.09~1.33 | 139~151 | 1260~1670 | 1.20~1.42 |
59~30 | 1일 4회, 6시간마다 | 74.4~85.1 | 872~1380 | 1.34~1.96 | 151~173 | 1690~2690 | 1.43~2.02 |
59~30 | 1일 3회, 8시간마다 | 73.3~81.5 | 655~1050 | 1.34~1.96 | 149~166 | 1270~2030 | 1.43~2.02 |
29~15 | 1일 2회, 12시간마다 | 79.5~86.4 | 718~1120 | 2.00~3.03 | 162~176 | 1400~2190 | 2.06~3.06 |
14~5 | 1일 1회, 24시간마다 | 83.1~90.7 | 599~1190 | 3.16~6.28 | 170~185 | 1160~2310 | 3.20~6.27 |
주) : 신장기능이 다른 환자에게 본제 3g(역가)을 30분에 걸쳐 점적정주했을 때의 혈장중 설박탐 및 암피실린 농도추이 시뮬레이션에서 얻어진 약물동태 파라미터(PK파라미터의 하한치 및 상한치는, 각각 CLcr의 구분의 상한치 및 하한치에 대응하고 있음)표2 체액·조직으로의 이행 체액·조직 | 투여량(역가) | 약물농도(μg/mL 또는 ug/g) 설박탐 | 약물농도(ug/mL 또는 μg/g) 암피실린 |
객담 | 3g | 2.40 | 1.50 |
복강내삼출액 | 1.5g | 1.82 | 2.71 |
자궁·부속기 | 1.5g | 7.06~15.4 | 6.60~27 |
골반사강삼출액 | 1.5g | 11.6~16.4 | 19.1~21.6 |
수액(소아) | 100mg/kg | 17.2 | 16.0 |
고름(소아) | 66.7mg/kg | 1.34 | 2.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