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문, 직장 하부의 점막하 이외의 부위에는 투여하지 말 것 2. 신중 투여 1) 치 정맥내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 드물게 간장에 지방색전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사관내에 혈액이 역류하 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등 주의할 것. 2) 치상선 하부에 주입하거나 약제가 침윤하면 항문부위에 통풍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점막내 주입되면 점막에 주사된 부위에 미란이 형성되거나 괴사될 수 있으므로 치상선보다 상부(직장하부)의 점막하에 주입할 것. 3) 항문 전방에 깊게 주입하면 드물게 배뇨장애, 전립선염, 요도부 동풍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4) 주사후 20분간 의사의 감독하에 환자의 전신상태를 관찰할 것. 3. 부작용 1) 드물게 동등, 미란, 항문부 불쾌감, 주사부 출혈, 오심, 냉한 등이 일어날 수 있다. 2) 때때로 항문부 협착감, 서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치핵감돈, 혈종, 혈압저하, 구토, 오한, 열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5.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주의할 것. 6. 적용상의 주의 1) 앰플 자를 때 앰플을 자를 때에는 유리 미소편의 혼입을 방지하기위하여 알코올솜 드으올 앰플의 절단 부위를 잘 닦은 후 자 를 것. 2) 투여시 (1) 주사시 혈액의 역류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투여할 것 (2) 5-20M의 2단침 또는 22-23게이지의 70-80m의 침을 사용하여 점막조직에 소량의 약액을 주입하고, 통증이 없고 부종상의 팽윤이 생성되며 정막 소혈관의 흐름이 명료하게 되는지를 확인할 것(깊게 주입하면 통증이 있 으면 얇게 주입하면 백색 빈혈상의 팽진이 나타나므로 이런 경우 주입방법을 변경할 것)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