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 분량 : 30.76,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USP, 성분정보 : , 비고 :
1일 1 회 아침에 투여하도록 한다. 아침식사 직후 투여가 좋다. 이 약은 씹거나 분쇄하지 말고 적당량의 물과 함께 그대로 삼켜서 복용한다.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도록 한다. 초기용량 : 처음 4주 동안 1일 1회 8mg 투여가 권장된다. 유지용량 : (소아) 소아에 대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신·간장애 환자) 중등도- 중증의 신ㆍ간장애 환자에서 갈란타민의 혈중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중등도의 간장애 환자들에게는 약동학적 모델링에 근거하여 최소 1주일 동안 8mg을 이틀에 한번 투여하며, 아침에 투여하는 것이 좋다. 그 후 최소 4주일 동안은 8mg을 1일 1회 투여한다. 1일 16mg을 초과하여 투여하지 않도록 한다. 중증의 간장애 (Child-Pugh score >9) 환자에게는 이 약 투여를 금한다. 경증의 간장애 환자에서는 용량조절이 필요없다.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9mL/분 이상인 환자에서는 용량조절이 필요없다. 중증의 신장애 환자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 9mL/분)에게는 이 약 투여를 금한다. (병용요법) CYP 2D6 또는 CYP 3A4저해제(예, 케토코나졸) 투여중인 환자에게는 이 약의 감량을 고려한다.
1) 이 약의 성분에 과민성이 있는 환자 2) 중증의 간장애 환자(Child-Pugh score가 9 초과) 및 중증의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이 9mL/분 미만)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이 약은 황색5호(선셋옐로우 FCF, Sunset Yellow FCF)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3. 이상반응 1) 이중맹검 데이터 - 1% 이상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 이 약 및 이 약과 성분은 같으나 다른 제형(이하 갈란타민 단일제)의 안전성을 8건의 위약대조군, 이중맹검 임상시험에 참여한 경증에서 중등도 중증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 6,502명에서 평가하였다. 본 항에서 제공한 정보는 통합데이터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이들 임상시험에 참여한 이 약 유사제제 투여 피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전신/기관계 이상반응 이 약 (n=3,956) % 위 약 (n=2,546) % 대사 및 영양 장애 식욕감소 정신 장애 우울증 신경계 장애 어지러움 두통 떨림 실신 기면 졸음 심 장애 서맥 위장관 장애 구역 구토 설사 복통 상복부통(증) 소화불량 복부 불쾌감 근골격 및 결합조직 장애 근육연축 일반적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피로 무력증 권태 조사 체중감소 사고, 중독 및 수술합병증 낙상 열상 7.4 3.6 6.8 7.1 1.6 1.4 1.3 1.5 1.0 20.7 10.5 7.4 2.0 1.9 1.5 2.1 1.2 3.5 2.0 1.1 4.7 3.9 1.1 2.1 2.3 2.9 5.5 0.7 0.6 0.4 0.8 0.3 5.5 2.3 4.9 0.6 1.4 1.0 0.7 0.5 1.8 1.5 0.5 1.5 3.0 0.5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1일 1회 투여한 안전성 프로파일의 빈도와 양상은 갈란타민 속방정의 안전성 프로파일과 유사하였다. 가장 빈번한 이상반응은 구역과 구토였고 이들은 주로 용량조절 과정에 발생하였으며 대부분의 경우 일주일 미만으로 지속되었고 대부분의 환자는 한번의 에피소드를 겪었다. 항구토제의 처방 및 적절한 수분의 섭취가 이러한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 이중 맹검 및 공개시험 데이터 - 1% 미만의 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 이중맹검 임상시험에 더하여, 이 약의 안전성을 5건의 공개 임상시험에 참여한 경증에서 중등도 중증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의 1,454명에서 평가하였다. 8건의 이중맹검 및 5건의 공개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받은 피험자(n=5,410)의 1% 미만에서 발생하였고, 표 1에 보고되지 않은 추가적인 이상반응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전신/기관계 이상반응 이 약 (n=5,410) % 대사 및 영양 장애 탈수 0.96 신경계 장애 미각이상 0.31 과다수면 0.55 감각이상 0.33 눈 장애 시야흐림 0.31 심 장애 I도 방실차단, 0.30 두근거림 0.41 동서맥 0.55 심실위주기외수축 0.46 혈관 장애 홍조 0.24 저혈압 0.52 위장관 장애 구역질 0.22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다한증 0.85 근골격 및 결합조직 장애 근쇠약 0.61 3) 시판후 조사 임상시험 중 보고된 이상반응 외에 다음은 시판후 조사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이다(표 3에서 이상반응의 빈도는 다음의 기준에 따른다: 매우 흔하게 ≥ 1/10 흔하게 ≥ 1/100 및 <1/10 흔하지 않게 ≥1/1000 및 <1/100 드물게 ≥1/10000 및 <1/1000 매우 드물게 < 1/10000 , 단발적인 보고서 포함 빈도불명 현재의 자료로는 구체적인 빈도를 추정할 수 없음 면역계 장애 매우 드물게 - 과민증 정신 장애 매우 드물게 - 환각, 환시, 환청 신경계 장애 매우 드물게 - 경련 귀 및 미로 장애 매우 드물게 - 귀울림 심장 장애 매우 드물게 - 완전방실차단 혈관 장애 매우 드물게 - 고혈압 간담도계 장애 매우 드물게 - 간염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매우 드물게 - 스티븐스-존슨증후군, 급성 전신 발진성 농포증, 다형홍반 조사 매우 드물게 - 간 효소 증가 4)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동안 14,0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증례율 및 발현빈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4.14%(549명/13,266명) 및 5.68%(754례/13,266명)로 보고되었고,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75.33%(568례/754례)이다. 구역이 1.48%(197례/13,266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구토 0.65%(86례/13,266명), 현기증 0.58%(77례/13,266명), 설사 0.23%(30례/13,266명), 식욕부진0.23%(30례/13,266명), 두통 0.19%(25례/13,266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이상반응으로 발진, 가려움증, 추체외로증후군, 파킨슨증후군, 파킨슨증후군 악화, 손마비, 운동완만(Bradykinesia), 피사증후군(PISA syndrome), 섬망, 발한, 부종, 변비, 구갈, 위염, 트림, 황달, γ-GT상승, ALT/AST상승, 만성신부전악화, 요실금이 보고되었다(0.1% 미만). 4.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뇌혈관 질환을 동반한 알쯔하이머형 치매를 포함하여 경등도에서 중등도의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 사용한다. 다른 형태의 치매 혹은 다른 형태의 기억 장애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유익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2)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중대한 피부반응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및 급성 전신 발진성 농포증)이 보고되었다 (2. 이상반응 참조). 환자에게 중대한 피부반응의 징후에 대하여 알리고, 피부 발진의 최초 발현 시, 이 약의 복용을 중단하는 것을 권장한다. 3) 알쯔하이머 질환자들은 체중감소가 나타나는데, 갈란타민 등과 같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투약이 이러한 환자들의 체중감소와 관련이 있다. 이 약을 투약하는 동안에 환자의 체중을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4) 다른 콜린 작용성 약물들과 마찬가지로, 다음의 경우 이 약 투여시 주의하여야 한다. 5) 유전적으로 유당 불내성 환자들(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에게는 이 약을 투약하지 않도록 한다(유당 함유제제에 한함). 6) 최소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안전성 이 약은 연령 및 교육정도에서 예상되는 것보다 심한 기억장애(isolated memory impairment)를 보이지만 알쯔하이머 진단기준에는 속하지 않는 최소인지장애에 대한 적응증은 없다. 최소인지장애가 있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두 건의 2년간의 임상시험은 두 가지의 주요 유효성 결과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비록 양쪽 모두에서 사망률은 낮았지만, 위약군에 비해서 갈란타민 군에서 초기사망이 더 높았고 중대한 이상반응의 발생율은 양쪽 군에서 동일하였다. 사망은 고령집단에서 예측되는 여러 원인 때문이었다. 이중맹검 기간이 완료되기 전에 투약을 중단한 많은 수의 환자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포함시킬 때, 갈란타민군에 있어 시간에 따른 사망위험 증가의 증거는 없었다. 사망이전에 갈란타민군에 비해 위약군에서 더 많은 환자가 투약을 중단하였는데, 이것이 초기에 기록된 사망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최소인지장애 연구결과는 알쯔하이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알쯔하이머 질환의 연구들을 통합한 연구에서(4,614명) 사망률은 갈란타민군 보다 위약군에서 숫자상 더 높았다. 7) 이 약의 치료 용량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QTc 연장이 보고되었으며, 과량투여와 관련하여 염전성 심실 빈맥이 보고되었다. QTc 간격이 연장된 환자, QTc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치료 환자, 심장질환과 전해질 이상을 가진 환자에 투여 시 주의하도록 한다. 1) 약력학적 상호작용 갈란타민의 작용기전으로 인해 이 약은 다른 콜린작용성 약물과 병용투여해서는 안된다. 갈란타민은 항콜린성 약물의 효과를 저해한다. 갈란타민은 콜린작용성 약물에서 예상되는 바와 같이 심박율을 유의하게 저하시키는 약물(예, 디곡신, 베타-차단제)과의 약력학적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콜린 작용성 약물인 갈란타민은 마취중에 석시닐콜린(succinylcholine) 계열의 근이완제의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2) 약동학적 상호작용 : 갈란타민의 소실은 다양한 대사 경로와 신장 배설을 통해 이루어진다. In vitro시험 결과, CYP2D6와 CYP3A4가 갈란타민의 대사에 관여하는 주된 효소였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임신한 여성에게 이 약을 투여하는 임상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임신 중에는 이 약의 유익성이 태아에 대한 위험성을 상회할 경우에만 투여한다. 임신한 랫트에 갈란타민 16mg/kg(인체 치료용량의 약 25배), 임신한 토끼에 갈란타민 40mg/kg (인체 치료용량의 약 63배)까지 투여하여 실시한 생식 독성 시험에서 기형을 유발한다는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16mg/kg을 투여한 랫트에서 경미한 골격 이상 빈도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2) 수유부 이 약의 모유로의 이행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고, 수유부를 대상으로 실시된 임상시험이 없으므로, 수유부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7. 운전 및 기계 조작능력에 대한 영향 알쯔하이머 질환은 운전 수행 능력을 점차적으로 해칠 수 있고, 기계 조작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콜린작용성 약물과 같이 이 약은 운전 및 기계 조작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기증과 졸음 등을 유발(특히 치료 시작 후 1주 동안)시킬 수 있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갈란타민의 과량투여시 증상이나 증후는 다른 콜린작용성 약물의 과량투여시 나타나는 증상 및 증후와 유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부교감신경계, 신경근육 접합부에서의 콜린성 작용에 의한다. 근육 약화 또는 근다발수축 뿐 아니라 콜린성 발증의 증상 전체 또는 일부가 나타날 수도 있다. : 중증의 구역, 구토, 위장경련, 침흘림, 눈물흘림, 배변, 배뇨, 발한, 서맥, 저혈압, 허탈, 경련 기관 과다분비증과 기관지 경련과 함께 근육 약화로 vital airway compromise가 일어날 수 있다. 갈란타민을 부주의하게 과량투여한 것과 관련하여 토르사드 드 포인트, QT 연장, 서맥, 심심실성 빈맥과 짧은 의식 소실이 시판 후에 보고된 바 있다. 용량이 알려진 한 사례에는 단 하루동안 4mg 정제 8정(총 32mg)이 복용되었다. 우발적으로 32mg을 복용한 다른 두 사례(구역, 구토 및 구갈; 구역, 구토 및 흉골하통증) 및 40mg을 복용한 사례(구토)는 관찰을 위해 단기간 입원 후 완전히 회복되었다. 이전 2년에 걸쳐 환각의 병력이 있었던 한 환자는 1일 24mg을 처방받았으나 잘못하여 34일간 24mg 1일 2회 투여 받은 후 입원을 필요로 하는 환각이 발생하였다. 다른 환자는 경구 액제 1일 16mg을 처방받았으나, 부주의로 160mg(40mL)을 복용하고 발한, 구토, 서맥을 경험하였으며, 1시간 후 거의 실신 상태가 되어 입원치료를 필요로 하였다. 그 환자의 증상은 24시간 내에 회복되었다. 2) 처치 과량투여시 일반적인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심각한 경우에는 콜린작용성 약물에 대한 일반적인 해독제인 아트로핀과 같은 항콜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초회용량으로 0.5~1.0mg 정맥투여를 권장하며, 임상 반응에 따라 반복 투여용량을 결정한다. 과량투여에 대한 처치 방법은 계속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과량투여시 처치에 대한 최신의 권장처치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문기관과 연락하도록 한다. 9.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할 것. 10. 의약품동등성시험 정보 <전문가를 위한 정보 참조> 11. 기타 1) 동물을 사용한 수태능 및 초기배발생시험과 배·태자 발생시험에서 10mg/kg/day 이상을 경구 투여시 태자의 흉골분절 이상이 증가하였고, 20mg/kg/day 투여시 태자 골격변이와 14번째 늑골흔적(vestigial 14th rib)의 증가 및 교미전 투약기간 동안 발정주기(oestrous cycle) 수의 감소가 나타났다. 랫드를 사용한 출생전·후 발생 및 모체기능시험에서 10mg/kg/day 이상을 경구 투여시 차산자의 체중이 감소하였다. 2) 뇌혈관 질환을 동반한 알쯔하이머 알쯔하이머 및 현저한 뇌혈관 질환(AD+CVD)을 가진 피험자에 있어 갈란타민의 유효성과 안전성이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으로 조사되었다. AD+CVD 범주에 맞는 환자는 총 피험자(592명)의 48%인 282명이었다. 비록 임상시험은 subgroup 분석에서 검정력이 없었지만, 갈란타민 투여 피험자는 위약 대조군에 비해 주요 유효성 결과(인지기능 : ADAS-cog/11 [p<0.001] ; 전체적인 인지 평가 : CIBIC-plus [p<0.001]) 및 일상생활 활동측정(DAD[p=0.003])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경험하였다. 전반적으로 AD+CVD 질환을 가진 피험자에서 갈란타민의 안전성과 내약성은 이전의 알쯔하이머 치매대상의 갈란타민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구역이었다(갈란타민 군의 19% 및 위약군의 11%). 위약군에 비해 갈란타민 군에서 더 빈번하게 보고되었고 AD+CVD 피험자의 5%를 초과하여 발생한 기타 이상반응은 어지러움, 구토, 복통, 설사 및 피로였다. 뇌혈관 장애(예. 뇌졸중)의 발생율은 위약군에서 더 높았다(위약군 5/96[5%] ; 갈란타민군 2/186[1%]). 전반적으로, AD+CVD에서의 안전성 양상은 알쯔하이머 질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갈란타민의 연구에서 관찰된 것과 일치했다.
10. 의약품동등성시험 정보주1 가. 시험약 명인갈란타민서방캡슐8밀리그램(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명인제약(주)]과 대조약 레미닐피알서방캡슐8밀리그램(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주)한국얀센]을 2×2 교차시험으로 각 1캡슐씩 건강한 성인에게 공복 및 식후 시 단회 경구 투여하여 33명(공복) 및 33명(식후)의 혈중 갈란타민을 측정한 결과, 비교평가항목치(AUCt, Cmax)를 로그변환하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log 0.8에서 log 1.25 이내로서 생물학적으로 동등함을 입증하였다. <공복> 구분 비교평가항목 참고평가항목 AUCt (ng․hr/mL) Cmax (ng/mL) Tmax(hr) t1/2(hr) 대조약 레미닐피알서방캡슐 8밀리그램 (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 [(주)한국얀센] 337.2±88.1 17.86±3.75 4.50 (0.50∼10.00) 10.51±2.91 시험약 명인갈란타민서방캡슐8밀리그램 (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 [명인제약(주)] 329.7±90.3 17.72±3.96 4.50 (0.50∼10.00) 10.28±2.72 90% 신뢰구간* (기준 : log 0.8∼log 1.25) log 0.9321∼ log 1.0246 log 0.9475∼ log 1.0330 - - (AUCt, Cmax, t1/2 ; 평균값±표준편차, Tmax ; 중앙값(범위), n=33) AUCt : 투약시간부터 최종혈중농도 정량시간 t까지의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 Cmax : 최고혈중농도 Tmax :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 t1/2 : 말단 소실 반감기 * 비교평가항목치를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 <식후> 구분 비교평가항목 참고평가항목 AUCt (ng․hr/mL) Cmax (ng/mL) Tmax(hr) t1/2(hr) 대조약 레미닐피알서방캡슐8밀리그램 (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 [(주)한국얀센] 481.0±153.7 32.48±10.55 5.50 (3.00∼10.00) 8.78±1.40 시험약 명인갈란타민서방캡슐8밀리그램 (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 [명인제약(주)] 485.9±155.2 33.08±11.27 5.00 (3.00∼7.00) 8.97±1.84 90% 신뢰구간* (기준 : log 0.8∼log 1.25) log 0.9834∼ log 1.0295 log 0.9554∼ log 1.0539 - - (AUCt, Cmax, t1/2 ; 평균값±표준편차, Tmax ; 중앙값(범위), n=33) AUCt : 투약시간부터 최종혈중농도 정량시간 t까지의 혈중농도-시간곡선하면적 Cmax : 최고혈중농도 Tmax :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 t1/2 : 말단 소실 반감기 * 비교평가항목치를 로그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 나.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 제7조제2항에 따라, 시험약 명인갈란타민서방캡슐16밀리그램(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명인제약(주)] 및 명인갈란타민서방캡슐24밀리그램(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명인제약(주)]은 대조약 명인갈란타민서방캡슐8밀리그램(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명인제약(주)]과의 비교용출시험자료를 제출하였으며, 대조약과 용출양상이 동등하였다. 이에 따라 해당자료로서 생물학적동등성을 입증하였다. 주1 이 약은 명인제약(주)의 명인갈란타민서방캡슐24밀리그램(갈란타민브롬화수소산염)과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전공정을 명인제약(주)에 위탁 제조하였음.
·이약은 1일 최대 갈란타민 24mg 이내로 복용해야 하는 용량주의 의약품입니다.
♦주의사항(일반)
5. 상호작용♦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효능군중복주의
Group 17
임부금기
용량주의
1일최대 투여기준량 / 점검기준 성분함량 (총함량)
24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