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조카틴주(L-카르니틴)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메조카틴주(L-카르니틴)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메조카틴주(L-카르니틴)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메조카틴주(L-카르니틴) Mesocartin Inj.
이미지
Mesocartin Inj.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carnitine(ℓ) 1000 mg

L-카르니틴, 분량 : 2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USP, 성분정보 : , 비고 :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염산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0403913
표준코드
8806699014203, 8806699059020, 8806699059013, 8806699059037, 8806699059044, 8806699014210, 8806699014227, 8806699059006, 8806699014234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무색-담황색의 맑은 액이 든 갈색 투명한 앰플
허가일자
2004년 07월 29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69901420
원 /
ATC코드
A16AA01 levocarnitine 레보카르니틴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2190]기타의 순환계용약
주성분코드
124501BIJ
포장단위
10앰플/상자[(10밀리리터/앰플 × 10)]
저장방법
차광밀봉용기, 실온(1~30℃)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성인 : 엘-카르니틴으로서 1일 2~3그람을 2~3회 분할하여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2.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초기에는 10~20밀리그람/킬로그람을 매회 혈액투석 종료시 2~3분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단, 혈액투석전 혈장 엘-카르니틴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 용법.용량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2.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3.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주의사항(일반)


1. 경고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이상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 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에 과민증환자

3. 이상반응

일시적인 구역‧구토, 체취, 구역, 위염이 보고되었다. 기저 질환의 병리 효과로 인하여 상기 이상반응의 빈도를 평가하기가 어렵다.

발작 병력 유무와 관계없이 L-카르니틴을 경구 또는 정맥 투여한 환자에서 발작이 보고 되었다. 기존의 발작 병력이 있던 환자에서는 발작의 빈도 및/또는 강도가 증가되었다. 만성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2건의 이중맹검, 위약 대조 시험에서 인과성에 관계 없이 5%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 표와 같다.

<인체에서 인과성에 관계없이 5%이상 빈도를 보이는 이상반응>

수치는 %를 의미

 

위약 (n=63)

L-카르니틴

10mg (n=34)

L-카르니틴

20mg (n=62)

L-카르니틴

40mg (n=34)

L-카르니틴

10,20,40 mg (n=130)

전신

 

 

 

 

 

복통

17

21

5

6

9

우발적 상해

(accidental injury)

10

12

8

12

10

알러지 반응

5

6

-

-

2

무력증

8

9

8

12

9

요통

10

9

8

6

8

흉통

14

6

15

12

12

5

6

5

12

7

독감 증후군

(Flu Syndrome)

40

15

27

29

25

두통

16

12

37

3

22

감염

17

15

10

24

15

주사 부위 반응

(Injection site reaction)

59

38

27

38

33

통증

49

21

32

35

30

심혈관계

 

 

 

 

 

부정맥

5

3

-

3

2

심실 세동

-

-

2

6

2

심혈관계 질환

6

3

5

6

5

비정상적 심전도

-

3

-

6

2

출혈

6

9

2

3

4

고혈압

14

18

21

21

20

저혈압

19

15

19

3

14

심계항진

-

3

8

-

5

빈맥

5

6

5

9

6

혈관장애

2

-

2

6

2

소화기계

 

 

 

 

 

식욕부진

3

3

5

6

5

변비

6

3

3

3

3

설사

19

9

10

35

16

소화불량

10

9

6

-

5

위장관질환

2

3

-

6

2

흑색변

3

6

-

-

2

구역

10

9

5

12

8

위장 무기력

5

-

-

-

-

구토

16

9

16

21

15

내분비계

 

 

 

 

 

부갑상선 질환

2

6

2

6

4

혈액 및 림프계

 

 

 

 

 

빈혈

3

3

5

12

6

대사성/영양성

 

 

 

 

 

고칼슘혈증

3

15

8

6

9

고칼륨혈증

6

6

6

6

6

과혈량증

17

3

3

12

5

말초부종

3

6

5

3

5

체중감소

3

3

8

3

5

체중증가

2

3

-

6

2

근육-골격계

 

 

 

 

 

다리경련

13

-

8

-

4

근육통

6

-

-

-

-

신경계

 

 

 

 

 

불안

5

-

2

-

1

우울

3

6

5

6

5

어지러움

11

18

10

15

13

약물의존

2

6

-

-

2

긴장항진

5

3

-

-

1

불면

6

3

6

-

4

감각이상

3

3

3

12

5

현훈

-

6

-

-

2

호흡계

 

 

 

 

 

기관지염

-

-

5

3

3

기침증가

16

-

10

18

9

호흡곤란

19

3

11

3

7

인두염

33

24

27

15

23

호흡계질환

5

-

-

-

-

비염

10

6

11

6

9

부비강염

5

-

2

3

2

피부계

 

 

 

 

 

소양증

13

-

8

3

5

발진

3

-

5

3

3

특별감각계

 

 

 

 

 

약시

2

-

6

-

3

안질환

3

6

3

-

3

미각이상

-

-

2

9

3

비뇨기계

 

 

 

 

 

비뇨기감염

6

3

3

-

2

신부전

5

6

6

6

6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환자에게서 발진, 두드러기, 안면부종이 보고되었다.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요독증 환자에게서 경증의 근무력증이 보고되었다.

4. 일반적 주의

신부전 환자에서 경구 투여용 L-카르니틴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중증 신장 기능 부전 환자나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ESRD 환자에게 경구 투여용 L-카르니틴을 고용량으로 만성 투여 시 잠재적인 독성 물질인 트리메틸아민(TMA) 및 트리메틸아민-N-옥사이드(TMAO)의 축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대사산물은 요로 배설되기 때문이다.


5. 상호작용

와파린 사용 환자에서 INR 증가가 보고되었다. 와파린을 투여 받는 환자에게 L-카르니틴의 치료를 시작하였거나 용량 적정을 실시한 후에는 INR 수치를 모니터링 할 것이 권장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를 대상으로 L-카르니틴을 투여한 적절한 자료가 없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랫드와 토끼에서 수행된 생식독성시험에서 체표면적 기준으로 사람에게 투여하는 용량의 3.8배까지 생식능이나 태자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인체에서의 잠재적 위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2) 수유부에 대한 투여

수유부에서 L-카르니틴이 모유를 통해 배출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유익성‧위해성을 고려하여 수유 또는 L-카르니틴의 투여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카르니틴 과량 투여로 인한 독성은 보고된 바 없다. 과량투여시 투석을 통하여 혈장 중 L-카르니틴을 제거할 수 있다.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