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제 1도 무월경, 무배란성 월경, 희발월경의 배란 유발
2. 제 1도 무월경, 무배란성 월경, 희발월경의 배란 유발
1) 난소종양 및 다낭포성 난소증후군에 의하지 않은 난소종대 환자 2)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3) 급ㆍ만성 간질환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투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다음 환자에는 특히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신중히 투여한다. 2) 다낭포성 난소가 있는 환자(난소과자극이 나타날 수 있다) 3. 부작용 1) 난소과자극 : 하복부통 등 난소종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투여를 중지한다. 2) 자궁 : 비정상적인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3) 과민증 : 발진 등 과민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 투여를 중지한다. 4) 간장 : 드물게 황달 등 간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에 투여를 중지한다. 5) 소화기계 :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변비, 복부팽만감, 위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6) 정신신경계 : 두통, 정신불안, 어지러움,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7) 기타 : 안면홍조, 전신권태감, 빈뇨, 요량증가, 비출혈, 구중 이화감, 체중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주의(이 약을 배란유도 목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1) 임신초기 부주의한 투여를 피하기 위해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2) 이 약 치료의 대상은 간뇌 또는 뇌하수체 전엽의 기능장애에 기인하여 성선자극호르몬이 적게 분비되는 무배란 환자이므로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3) 무월경 환자에 있어서는 프로게스테론 테스트(Progesterone test)를 하여 소퇴성 출혈의 출현을 확인한 후 제 2도 무월경 환자는 투여대상에서 제외한다. 4) 이 약 투여로 나타날 수 있는 난소과자극에 의한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투여 전 및 치료기간 중에는 매일 내진을 한다. 특히 다음 사항에 주의하고 이상이 인정된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한다. 5) 환자에게 난소과자극이 나타날 가능성과 그 결과로서 다태임신의 가능성에 대해 미리 환자에게 설명해 주며,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즉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도록 한다. 6) 치료를 3-4주기 반복하여도 배란성 월경이 완전히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투여를 중지한다. 7) 산부인과ㆍ내분비 전문의사의 관리 하에 사용한다. 5. 임부에 대한 투여 유사화합물의 동물실험에서 태자독성 및 기형유발이 보고되었으며, 이 약의 경우에도 사람의 태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