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유리앰플주사제에 한함).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신기능장애 환자 2) 혼수 환자 3) 고마그네슘혈증 환자 4) 방실차단(Ⅰ ∼ Ⅲ단계) 환자 또는 다른 심장전도장애 환자 5) 근무력증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장내기생충질환의 소아 2) 심질환 환자 4. 이상반응 1) 소화기계 : 구토, 구강건조 2) 순환기계 : 매우 드물게 전도장애, 서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혈액계 : 조홍(빠른 주입시), 매우 드물게 말초혈관확장 4) 자율신경계 : 두통, 두중감, 떨림, 따끔거림 5) 대량투여에 의해 마그네슘중독을 일으켜 열감, 갈증, 혈압저하, 중추신경억제, 심박동수억제, 호흡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해독에는 칼슘제를 정맥주사한다. 6) 기타 : 투여부위의 열감 1) 상호금기 2) 상호주의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부 자간증은 임부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자간증인 임부에 황산마그네슘을 투여한다. 마그네슘은 태반을 통과해 태아의 근육긴장저하증, 반사저하,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분만 중에 투여하면 신생아의 호흡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임부에게 사용할 때는 태아의 심박수를 모니터링해야하며 분만 후 2시간 이내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후향적 역학 연구 및 사례보고에서 황산마그네슘을 5~7일 이상 임부에 투여했을 때 태아의 저칼슘혈증, 골격탈회, 뼈감소증 및 기타 골격 부작용을 포함하는 태아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관찰된 부작용의 임상적 중요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임신 중 황산마그네슘을 장기간 또는 반복적으로 투여한 경우 신생아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칼슘 또는 마그네슘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골격 부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수유부 수유 중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황산마그네슘이 필수적이지 않는 한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투여속도를 천천히 하고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2) 치료 9. 적용상의 주의사항 1) 정맥주사 단독투여시에는 10 % 이하의 농도로 천천히 주사한다. 2) 이 약의 수용액과 설파제, 알칼리탄산염·탄산수소염, 주석산염, 가용성 인산염, 브롬화칼륨, 브롬화암모늄 등을 함유하는 제제와 혼합시 침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혼합을 피한다. 3) 전해질 보정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희석하여 사용하고 인산염을 함유하는 제제와 배합시 침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또한 감염을 고려하여 환자의 피부 및 기구를 소독하고 개봉후 즉시 사용하며 남은 액은 재사용하지 않는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