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윤마취
- 치관 및 가공의치의 절단 및 설치
- 잇몸근처 및 잇몸하 스케일링
1) 이 약 또는 기타의 아미드계 국소마취에 과민증 환자 2) 세트리미드에 과민증 환자 3) 4세 이하의 소아 2. 부작용 1) 국소적으로 사용되는 본제와 같은 제형에서는 보고된 바 없지만, 독성반응은 다음과 같은 두 상태에 서 일어날 수 있다. 부주의한 혈관 내 주사 후 즉시, 또는 과량의 국소마취제 사용 후 2) 과량투여의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① 중추신경계: 신경과민, 흥분, 하품, 진전, 불안, 안구진탕증, 어루증, 두통, 오심, 이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발작 후 중추신경계의 저하와 같은 유발 가능한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② 호흡기계: 빈호흡 후 호흡곤란 ③ 심혈관계: 빈맥, 고혈압 후 우울, 저혈압, 심박동정지를 선행한 서맥 3.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신 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이 약이 유즙으로 이행되는지 여부는 알려 져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수유부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만 투여한다. 4. 운동선수에 대한 투여 리도카인을 함유한 약물은 도핑체크에서 양성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5. 적용상의 주의 1) 점막에 마취제를 적용한 후에 이 약의 잔여량은 삼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마취시 위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양한 상처 (입술, 뺨, 점막, 혀) 3) 상처를 입은 점막의 경우에는 리도카인이 빨리 흡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