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비타민 C의 요구량이 증가하는 소모성 질환 3. 다음 질환 중 비타민 C 결핍으로 추정되는 경우
1) 이 약 및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의 과민반응 환자 2) 고수산뇨증(hyperoxaluria : 요중에 과량의 수산염이 배설되는 상태), 지중해빈혈증 환자 3) 통풍환자 및 시스틴뇨증 환자 4)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결핍환자 : 고용량을 투여할 경우 용혈을 초래할 수 있다. 5) 신장의 수산결석 환자 : 1일 1 g 이상 투여할 경우 2.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의 행위를 하지 말 것. 1) 임신 중, 고용량을 투여할 경우, 신생아의 괴혈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 과도한 음주나 흡연을 삼가한다. 3) 이 약의 정제 또는 캡슐제는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하도록 하며 이 약과 식도점막과의 접촉시간이 길어지면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복용 후, 바로 눕지 않도록 한다. 4) 이 약은 복용 시, 약의 산성도로 인하여 치아의 에나멜층을 손상시킬 수 있다(츄어블정에 한함). 3.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1) 임부ㆍ수유부 2) 신장의 수산결석 환자 3) 경구용 항응고제(쿠마린계 약물)를 복용 중인 환자(경구용 항응고제의 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다) 4) 살리실산염, 아스피린, 철분제, 페니토인 및 일부 항전간제, 에스트로겐이 포함된 경구용 피임약, 테트라싸이클린계 항생제, 플루페나진, 오르리스타트를 복용 중인 환자(바람직하지 않는 상호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5) 바르비탈산 유도체를 복용 중인 환자(이 약의 신장배설을 촉진한다.) 6)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를 복용 중인 환자(이 약의 산화를 증가시킨다.) 7) 흡연자,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하는 사람 4.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을 복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 시 가능한 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 1) 구역, 구토, 설사, 속쓰림 2) 안면홍조, 두통, 불면 3) 과량투여로 인한 신장결석, 요의 산성화, 수산염 결석의 침전 5. 기타 이약의 복용 시 주의할 사항 1) 정해진 용법ㆍ용량을 잘 지킬 것. 2) 어린이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보호자의 지도 감독 하에 투여할 것. 3) 1개월 정도 투여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할 것. 4) 각종 요당검사 시 혈당의 검출을 방해할 수 있다. 6. 저장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직사광선을 피하고 될 수 있으면 습기가 적고 서늘한 곳에 밀전하여 보관할 것. 3) 오ㆍ남용을 피하고, 품질을 보호ㆍ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용기에 넣지 말 것.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