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의학원요오드123 에프피씨아이티주사액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한국원자력의학원요오드123 에프피씨아이티주사액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한국원자력의학원요오드123 에프피씨아이티주사액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한국원자력의학원요오드123 에프피씨아이티주사액 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Iodine 123 FPCIT injection
이미지
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Iodine 123 FPCIT injection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N-(3-Fluoropropyl)-2β-Carbomethoxy-3β-(4-[123I]iodophenyl)tropane 148 MBq

N-(3-플루오르프로필)-2베타-카르복시-메톡시-3베타-(4-[123I]아이오도페닐)-트로판, 분량 : 148-522148-522, 단위 : 메가베크렐,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제조 시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아세트산, 생리식염수,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나트륨수화물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1310529
표준코드
8806929001607, 8806929001638, 8806929001621, 8806929001614, 8806929001645, 8806929001652, 8806929001669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무색투명한 액이 무색투명한 바이알에 든 주사제
허가일자
2013년 12월 04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92900160
원 /
ATC코드
V09AB Iodine (123I) compounds 요오드(123I) 화합물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4310]방사성 의약품
주성분코드
614402BIJ
포장단위
2.5mL, 5.0mL, 7.5mL, 10.0mL
저장방법
밀봉용기, 15~25℃ 보관, 방사성을 안전하게 차폐할 수 있는 저장 상자에 보관, 차폐용기:원자력법령에 의함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24 시간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성인 환자 1인당 111-185MBq(3-5 mCi)에 해당하는 양을 정맥주사하며 투여량이 185 MBq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 약을 주사하는 동안 주사 부위의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위 팔의 정맥을 통하여 15-20초에 걸쳐 천천히 주사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 약의 투여로 인하여 방사성옥소의 갑상샘 섭취가 일어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적절한 갑상샘차단 치료를 하여야 한다.

이 약 투여 후 3-6시간에 두부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SPECT) 영상을 얻는다.


♦ 용법.용량


이 약은 도파민성 신경퇴행을 의심하게 하는 증상과 징후를 보이는 환자(파킨슨 병을 포함한 파킨슨증, 본태성 진전)에서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SPECT) 영상을 이용하여 흑질선조체 도파민 신경세포 소실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주의사항(일반)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것

1) 이 약, 요오드화물(Iodide) 및 첨가제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임부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이 약은 5%(W/V)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간부전 환자 및 간질환자 투여시 주의해야 한다.

3.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방사핵종의 안전한 사용 및 취급에 관한 특수 훈련에 의해 자격을 갖춘 의사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2) 성인에서 이 약을 185 MBq 투여하였을 때 유효선량은 약 4.35 mSv 이며 이 수준의 유효선량으로부터 유발되는 일반적인 방사선 부작용 및 혈액학적 변화 등은 없으나, 과민반응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이 약의 투여로 인하여 방사성옥소의 갑상샘 섭취가 일어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적절한 갑상샘차단치료를 하여야 한다. 갑상샘차단치료가 실패하는 경우 갑상샘암에 대한 장기적인 위험도가 증가한다.

4) 방광에 대한 방사선 흡수선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약을 정맥 투여하기 전후 수 시간 동안은 자주 방광을 비울 수 있도록 물을 마시도록 한다. 또는 이 약을 투여 받기 전에 200 mL 정도의 물을 마시게 할 수도 있다.

5) 환자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 대한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는 이 약을 투여 후 48시간 동안 수세식 화장실의 변기를 이용하여 배뇨하며 배뇨한 후에는 여러 번 물을 내리도록 하고, 소변이나 대변을 본 후에는 철저히 손을 씻어 방사성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만약에 혈액, 소변 또는 대변으로 옷이 오염되는 경우에는 분리하여 세척하도록 한다.

4. 이상반응

이 약의 투여와 관련된 중대한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흔하게(1%이상-10%미만) 발생하는 이상반응으로 두통, 어지럼, 식욕 증가, 의주감이 나타날 수 있다. 때때로(0.1%이상-1%미만) 작은 정맥에 주사하였을 때 주사 부위의 심한 통증이 유발된 사례가 있었다.


5. 약물상호작용

이 약에 대한 약물 상호작용은 평가된 바 없다.

이 약의 선조체 도파민운반체 결합은 도파민운반체에 결합하는 다른 약품 (cocaine, amphetamine, mazindol, methylphenidate, benztropine, buproprion, phentermine, sertraline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Amantadine, trihexyphenidyl, budipine, L-DOPA, metoprolol, primidone, propranolol, selegiline은 이 약의 선조체 도파민운반체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냅스후 도파민수용체에 작용하는 도파민 작용물질 (Bromocriptine, pergolide, ropinirole)과 길항물질은 이 약의 선조체 도파민운반체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6.임부 및 수유부

1)임부 : 동물을 이용한 생식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이 약이 임부에 투여되었을 때 태아에게 유해할 것인지 혹은 생식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모든 방사성의약품은 태자 위해의 잠재성이 있다. 방사성 요오드 의약품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 갑상선 기능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임부에게 이 약을 투여하는 것은 금기이며, 가임여성에서는 투여 전에 반드시 임신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수유부 : 이 약이 모유로 분비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수유부에게 이 약을 투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투여 후 3일 동안 모유 수유를 중단하고 분유 수유로 대체하여야 한다.

7. 소아

소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투여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8. 신기능 또는 간기능 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또는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9. 과량 투여시의 처치

신장으로의 배설 및 배변을 촉진시킨다.

10. 기타

요오드의 반감기 ; 13.2 시간

시(hrs)

잔존분율

0

1

0.5

0.974

1.0

0.949

5.0

0.769

10.0

0.591

13.2

0.500

24.0

0.284

52.8

0.063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임부금기

성분코드 / 성분명
614402BIJ / N-(3-Fluoropropyl)-2β-Carbomethoxy-3β-(4-[123I]iodophenyl)tropane
금기등급 / 급여구분
1 등급  / 비급여
고시번호 / 고시일자
20190041 / 2019-05-22한국원자력의학원요오드123 에프피씨아이티주사액
비고
.방사성 요오드 의약품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 갑상선 기능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