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스에프정3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조인스에프정3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조인스에프정3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조인스에프정3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 Joins-F Tab.
이미지
Joins-F Tab.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 건조엑스(40→1), 분량 : 3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에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AMB II 초록색 (88A610006), 소수성 경질무수규산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2303397
표준코드
8806447050002, 8806447050033, 8806447050026, 8806447050019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초록색의 달걀형 필름 코팅정
허가일자
2023년 12월 21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44705000
원 /
ATC코드
M01AX Other antiinflammatory and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s 기타 항염제 및 항류마티스제, 비스테로이드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1140]해열.진통.소염제
주성분코드
포장단위
30정/병,500정/병,10정/피티피[10정/PTPx10]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24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성인 : 1회 1정을 1일 2회 경구투여한다.


♦ 용법.용량


골관절증(퇴행관절질환)의 증상 완화


♦주의사항(일반)


1.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감염상태 또는 감염의 원인이 있는 환자(감염에 대한 자체 저항력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해야 하며, 이런 경우에는 감염의 진행을 억제하는 처치를 취해야 한다.)

2)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3) 이 약(위령선·괄루근·하고초)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자

2. 이상반응

이상반응 발현빈도는 매우 흔하게(10%≤), 흔하게(1%≤, <10%), 흔하지 않게(0.1%≤, <1%), 드물게(0.01%≤, <0.1%)로 구분하였다.

1) 이 약 300 밀리그램정(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하루 2회 복용)을 가지고 골관절염 환자에 대한 제3상 임상시험에 참여한 278명을 대상으로 12 주간 투여하였을 때, 이 약 투여군 136명 중 26명 (19.12%)에서 37건의 이상반응이 발생하였으며, 중증도는 경도 23명(16.91%), 32건, 중등도 5명(3.68%), 5건 이었다. 발현부위별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기관계 (SOC)

빈도

이상반응

각종 위장관 장애

흔하게

치통(2.21%)

흔하지 않게

변비(0.74%), 소화 불량(0.74%), 위염(0.74%)

각종 신경계 장애

흔하게

두통(2.21%)

흔하지 않게

어지러움(0.74%)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흔하게

근육통(2.21%)

흔하지 않게

관절통(0.74%), 척추 내 추간판 장애(0.74%)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흔하게

발열(1.47%)

흔하지 않게

병감(권태)(0.74%), 이물감(0.74%), 얼굴 종창(0.74%), 백신 접종 부위 통증(0.74%)

감염 및 기생충 감염

흔하지 않게

COVID-19(0.74%), 비인두염(0.74%), 대상 포진(0.74%), 비염(0.74%)

임상 검사

흔하게

혈액 중성 지방 증가(1.47%)

흔하지 않게

알라닌 아미노 전이 효소 증가(0.74%), 아스파르트산 아미노 전이 효소 증가(0.74%)

대사 및 영양 장애

흔하지 않게

고중성지방 혈증(0.74%), 고혈당증(0.74%)

각종 눈 장애

흔하지 않게

유리체 부유물(0.74%)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흔하지 않게

손 골절(0.74%), 상처(0.74%)

각종 심장 장애

흔하지 않게

램블 증식물(0.74%)

양성, 악성 및 상세 불명의 신생물(낭종 및 용종 포함)

흔하지 않게

혈관종(0.74%)

조사된 이상반응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이상반응(약물이상반응)은 이 약 투여군 136명 중 3명(2.21%)에서 3건 발생하였다. 발현부위별 약물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기관계 (SOC)

빈도

약물이상반응

각종 위장관 장애

흔하지 않게

위염(0.74%)

각종 신경계 장애

흔하지 않게

두통(0.74%)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흔하지 않게

얼굴 종창(0.74%)

2) 이 약과 동일 성분인 조인스정2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하루 3회 복용)을 가지고 골관절증(퇴행관절질환) 환자에 대한 국내 제 3상 임상시험 결과, 이 약 투여군 125명 중 23명(18.4%)에서 시험약물과 관련된 이상반응이 발생하였다. 발현부위별 시험약물 관련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발현부위

빈도

시험약물 관련 이상반응*

심혈관계

흔하지 않게

혈압 상승(0.8%)

피부 및

부속기관 이상

흔하지 않게

가려움(0.8%)

소화기계

흔하지 않게

상복부 통증(0.8%), 설사(0.8%)

흔하게

소화불량(6.4%), 속쓰림(4.0%), 상복부 불편감(1.6%), 위장장애(1.6%)

간/담도계

흔하지 않게

AST상승(0.8%), ALT상승(0.8%)

비뇨/생식기계

흔하지 않게

요량 감소(0.8%)

기타

흔하게

안면/수부 부종(1.6%)

*약물과의 관련성에서 ‘불명’으로 판단된 대상자는 제외하였음.

3) 이 약과 동일 성분인 조인스정2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하루 3회 복용)을 가지고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 대한 국내 제 3상 임상시험 결과 이 약 투여군 91명 중 27명(29.7%)에서 시험약물과 관련된 이상반응이 보고되었다.

발현부위

빈도

시험약물 관련 이상반응

심혈관계

흔하게

 혈압 상승(2.2%)

소화기계

흔하게

상복부 통증(7.7%), 오심(4.4%), 식욕부진(3.3%), 속쓰림(2.2%), 소화불량(2.2%), 상복부 불편감(2.2%), 위장장애(2.2%)

간/담도계

흔하게

γ-GT의 상승(2.2%), AST상승(1.1%)

근골격계

흔하게

관절염악화(1.1%)

대사 및 영양

흔하게

고콜레스테롤증(1.1%), 당뇨(1.1%)

전신

흔하게

피로감(1.1%)

정신신경계

흔하게

우울증(1.1%), 졸림(1.1%)

중추 및

말초 신경계

흔하게

어지러움(3.3%), 두통(1.1%)

4) 이 약과 동일 성분인 조인스정2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하루 3회 복용)의 국내에서 골관절증(퇴행관절질환)에 대한 재심사를 위하여 4년 동안 5,9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3.02%(180명/5,962명)로 보고되었다.

(1) 조사된 이상반응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이상반응은 2.38%(142명/5,962명)로 보고되었다.

발현부위

빈도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이상반응

소화기계

흔하지 않게

속쓰림(0.82%), 소화불량(0.57%), 상복부 불쾌감(0.32%), 위장장애(0.32%), 상복부 통증(0.20%)

드물게

변비(0.07%), 구토(0.02%)

전신계

흔하지 않게

안면/손주위부종(0.37%)

드물게

두통(0.05%)

피부 및

부속기계

드물게

가려움(0.03%), 발진(0.02%)

혈액계

드물게

백혈구 감소증(0.03%)

정신계

드물게

불면(0.02%)

자율신경계

드물게

두근거림(0.02%)

간/담도계

드물게

AST/ALT 상승(0.02%)

중추/말초

신경계

드물게

어지러움(0.02%)

(2) 시판전 임상시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예상하지 못한 이상반응은 이 약과의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백혈구감소증, 불면, 피부발진 각 2건씩, 구토, 설사, 구역, 상안검 주위 발진, 두근거림, 어지러움, 불쾌감, 무력감 각 1건씩 보고되었다.

3. 임부, 수유부 및 소아에 대한 투여

1)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한다.

3)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없다.).

4.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이 약 300 밀리그램정(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하루 2회 복용)을 가지고 실시한 임상시험에서는 임상검사치에의 영향과 관련된 약물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이 약과 동일 성분인 조인스정200밀리그램(위령선·괄루근·하고초30%에탄올건조엑스(40→1))(하루 3회 복용)을 가지고 실시한 임상시험에서는 임상검사치에의 영향과 관련된 약물이상반응으로 AST 상승, ALT 상승, γ-GT의 상승이 보고되었다.

5.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한다.

3) 직사광선을 피하고 되도록 습기가 적은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사용 후 반드시 밀폐 보관한다.).

♦주의사항(전문가)



6.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임상시험 정보

일차성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에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활성대조군 제 3상 임상시험 (SKCPT_001)을 진행하였다. ACR (American College Rheumatology) 기준에 따라 일차성 무릎 골관절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278명 (이 약 투여군 136명, 세레콕시브 투여군 142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배정을 실시하였으며, 이 약 300mg (1일 2회) 또는 세레콕시브 200mg (1일 1회)을 12주간 복용하였다. 일차 평가변수는 기저치 대비 임상시험용의약품 투여 후 84일 시점의 K-WOMAC (Korean-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pain subscale의 변화량이었다.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1.41세 (표준편차: 8.26)였으며, 대부분 여성 (77.34%)이었다. 평균 골관절염 유병 기간은 약 52.15개월이었다.

주 분석군인 PPS (Per-Protocol set)에서 이 약 투여군의 임상시험용의약품 투여 후 84일(12주) 시점의 K-WOMAC pain subscale의 변화량은 대조약인 세레콕시브 투여군에 비해 비열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발생한 이상반응은 총 278명 중 64명 (23.02%, 89건)에서 발생하였고, 이 약 투여군 136명 중 26명 (19.12%, 37건), 세레콕시브 투여군 142명 중 38명 (26.76%, 52건)으로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세레콕시브 투여군 대비 이 약 투여군에서 낮은 경향성을 보였다.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