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성인 : L-카르니틴으로서 1일 2~3 g을 2~3회 분할하여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2.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결핍증 치료 초기에는 10~20 mg/kg을 매회 혈액투석 종료시 2~3분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단, 혈액투석전 혈장 L-카르니틴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2.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3.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결핍증 치료
앰플 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이상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에 과민증 환자 3. 이상반응 위약 (n=63) L-카르니틴 10 mg(n=34) L-카르니틴 20 mg(n=62) L-카르니틴 40 mg(n=34) L-카르니틴 10,20,40 mg(n=130) <전신> 복통 17 21 5 6 9 우발적상해 (accidental injury) 10 12 8 12 10 알러지 반응 5 6 2 천식 8 9 8 12 9 요통 10 9 8 6 8 흉통 14 6 15 12 12 열 5 6 5 12 7 독감증후군 (Flu syndrome) 40 15 27 29 25 두통 16 12 37 3 22 감염 17 15 10 24 15 주사부위 반응 (injection site reaction) 59 38 27 38 33 통증 49 21 32 35 30 <심혈관계> 부정맥 5 3 3 2 심실세동 2 6 2 심혈관계 질환 6 3 5 6 5 비정상적심전도 3 6 2 출혈 6 9 2 3 4 고혈압 14 18 21 21 20 저혈압 19 15 19 3 14 심계항진 3 8 빈맥 5 6 5 9 6 혈액질환 2 2 6 2 <소화기계> 식욕부진 3 3 5 6 5 변비 6 3 3 3 3 설사 19 9 10 35 16 소화불량 10 9 6 5 위장관 질환 2 3 6 2 혈변 3 6 2 구역 10 9 2 위장 무기력 5 구토 16 9 16 21 15 <내분비계> 부갑상선 질환 2 6 2 6 4 <혈액 및 림프계> 빈혈 3 3 5 12 6 <대사성/영양성> 고칼슐혈증 3 15 8 6 9 고칼륨혈증 6 6 6 6 6 과혈량증 17 3 3 12 5 말초부종 3 6 5 3 5 체중감소 3 3 8 3 5 체중증가 2 3 6 2 <근육-골격계> 다리경련 13 8 4 근육통 6 <신경계> 불안 5 2 1 우울 3 6 5 6 5 어지러움 11 18 10 15 13 약물의존 2 6 2 긴장항진 5 3 1 불면 6 3 6 4 감각이상 3 3 3 12 5 현훈 6 2 <호흡계> 기관기염 5 3 3 기침 증가 16 10 18 9 호흡곤란 19 3 11 3 7 인두염 33 24 27 15 23 호흡계 질환 5 비염 10 6 11 6 9 부비강염 5 2 3 2 <피부계> 소양증 13 8 3 5 발진 3 5 3 3 <특별감각계> 약시 2 6 3 안질환 3 6 3 3 미각이상 2 9 3 <비뇨기계> 비뇨기 감염 6 3 3 2 신부전 5 6 6 6 6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환자에게서 발진, 두드러기, 안면부종이 보고되었다.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요독증 환자에게서 경증의 근무력증이 보고되었다. 4.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모유의 이행은 알려진 바 없으나 많은 약들이 모유로 이행되므로 수유중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