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오드화이소프로파마이드, 분량 : 6.795,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USP, 성분정보 : 이소프로과미드로서 5밀리그램, 비고 :
염산트리플루오페라진, 분량 : 1.18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USP, 성분정보 : 트리플루오페라진으로서 1밀리그램, 비고 :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1회 2정 1일 2회 복용할 수 있다.
위ㆍ십이지장 궤양, 급ㆍ만성 위염, 과산증, 유문 경축, 경련성 결장, 기능성 설사
1) 녹내장 환자 2) 전립선 비대 환자 3) 기질적 유문폐쇄 환자 4) 부정맥 및 심부전 환자 5) 노인 또는 쇠약한 장이완증 환자 6) 중증 궤양성대장염 환자 7) 유아 8) 중추억제약물 및 알코올 급성중독환자 2. 부작용 1) 과민증 : 피부반응 또는 매우 드물게 쇽이 나타날 수 있다. 2) 피부 : 한선분비감소, 피부발적, 광과민증이 나타날 수 있다. 3) 눈 : 시야몽롱등 시력조절방해, 녹내장, 고용량 투여시 각막 또는 수정체막 확대가 나 타날 수 있다. 4) 소화기계 : 구갈, 타액분비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5) 혈액 : 무과립구증, 호산구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6) 순환기계 : 빈맥이 나타날 수 있다. 7) 비뇨기계 : 배뇨장애, 변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8) 추체외로계 : 파킨슨증후군(수지진전, 근강직, 유연등),운동장애(경련성사경, 안면 및 경부의 경축, 후궁반장, 안구회전발작), 정좌불능이 나타날 수 있다. 9) 간장 : 담즙분비정지가 나타날 수 있다. 10) 내분비계 : 내분비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11) 기타 : 불안증, 불면이 나타날 수 있다. 3. 일반적 주의 1) 트리플루오페라진은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고용량에서도 혈액 또는 간독성을 거의 나 타내지 않지만 그 가능성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2) 이 약중 이소프로파미드요오드 중의 요오드는 131I의 흡수를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PBI실험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방사성요오드흡수 및 PBI실험 1주일전에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한다. 4.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5. 과량투여시의 처치 1) 과량투여시 즉시 위세척을 실시한다. 2) 트리플루오페라진 과량복용시 파킨슨양증후군, 중추신경계억제, 정신 흥분 또는 불안 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는 환자는 신중히 관찰하고 추체외로증상이 있을 때에는 연하곤란이나, 심한 경우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기도를 유지한 다. 3) 파킨슨양증후군이 나타날 경우에는 적절한 항파킨슨제를 투여할 수 있다. (디펜히드라 민 25㎎을 정맥주사할 수 있다.) 4) 저혈압이 나타날 경우에는 순환계의 쇽 방지를 위해 수액을 정맥주사하거나 혈관수축 제투여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만일 혈관수축제투여가 필요한 경우는 노르아드레날린 또는 페닐에프린을 사용하고 아드레날린과 같은 기타 혈관 수축제는 페노치아진유도체 약물의 효과를 역전시킬수도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5) 피크로톡신 또는 렙타졸등 경련을 유발할 수 있는 흥분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6) 이소프로파미드 과량투여시 구각,연하곤란,갈증,시야몽롱,동공산대,수명(羞明),열,맥박 및 호흡증가, 부위감각 상실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초과량투여시는 우울증 및 순환성쇽 이 일어날 수 있다. 7) 호흡억제가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산소와 이산화탄소 그리고 흥분제를 사용하여 처치 한다. 8) 과다한 체온상승이 나타날 경우에는 얼음이나 알코올스폰지로 처치하거나 또는 환자를 젖은 종이로 감싸고 공기를 씌어 열을 내린다. 또한 수액을 경구투여하거나 10% 포도 당용액을 정맥주사 할 수 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