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보주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수출용)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이니보주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수출용)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이니보주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수출용)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이니보주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수출용) INIBO Inj. 100UNITS(Clostridium Botulinum Toxin Type A)
이미지
INIBO Inj. 100UNITS(Clostridium Botulinum Toxin Type A)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 분량 : 100, 단위 : 유니트,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염화나트륨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2006506
표준코드
8800689000108, 8800689000115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무색 투명한 바이알에 든 흰색 또는 미황색의 감압건조물로서, 생리식염수에 녹였을 때 맑고 투명한 용액
허가일자
2020년 09월 21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068900010
원 /
ATC코드
M03AX01 botulinum toxin 보툴리눔 독소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6320]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주성분코드
포장단위
1바이알/상자[바이알(100유니트)]
저장방법
밀봉용기, 냉장(2~8℃) 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0.9% 무보존제 멸균생리식염주사액으로 아래 희석표에 따라 100U / 2.5 mL (4U/0.1 mL)가 되도록 희석한다. 30 – 33 게이지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각 눈썹주름근 (corrugator muscle)의 두곳과 눈살근(procerus muscle) 1곳 총 5개 부위에 0.1 mL씩 주사하여 총 20U을 주사한다. 눈꺼풀처짐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특히 큰 눈썹 억제근을 가진 환자에서는 위눈꺼풀올림근(levator palpebrae superioris) 근처의 주사는 피한다. 안쪽 눈썹주름근과 눈썹 중앙에 주사할 때는 안와상연으로부터 최소 1cm 떨어진 곳에 주사하여야 한다. 투여 시 혈관에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안와 가장자리 밑의 삼출을 막기 위해서 주사 전 엄지 또는 검지를 안와 가장자리 아래에 단단하게 놓는다. 주사하는 동안 바늘은 위쪽 중간을 향해야 하며, 주입 용량을 정확하게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제 첫 투여는 1, 2일 후에 주사된 근육의 화학적 탈신경(chemucal denervation)을 유도하고, 첫 주 동안 그 강도가 증가한다.

<희석표>

100 Unit 바이알에 첨가된 희석액

(0.9% 멸균생리식염주사액)

용해상태의 농도(U / 0.1 mL)

2.5 mL

4 Units


♦ 용법.용량


만 19세 이상 만 65세 이하의 성인에 있어서 눈썹주름근(Corrugator muscle) 그리고/또는 눈살근(procerus muscle) 활동과 관련된 중등증 내지 중증의 심한 미간주름의 일시적 개선


♦주의사항(일반)


1. 경고

이니보주의 유효성분은 보툴리눔균에 의해 생산되는 보툴리눔 독소 A형이므로 사용상의 주의를 숙지하고 용법·용량을 엄수하여야 한다. 약을 투여하는 의사는 관련된 신경근과 안와의 해부학적 구조, 이전 수술에 의한 해부학적 변화, 표준근전도기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권장되는 투여량과 투여횟수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1) 독소 효과의 원거리 확산

보툴리눔 독소가 주사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퍼져 보툴리눔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급격한 근력 쇠약, 원기 상실, 목쉼, 언어장애, 말더듬증, 방광통제상실, 호흡곤란, 삼킴곤란, 복시, 눈꺼풀 처짐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호흡곤란이나 삼킴곤란 등의 증상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실제로 독소가 퍼져 사망한 사례보고가 있다. 경련성 뇌성마비 치료 어린이가 특히 고위험군에 속한다. 하지만 경련성 뇌성마비나 다른 증상을 치료한 어른의 경우도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다. 경부근긴장이상 치료를 위한 투여량과 더 낮은 용량을 투약했을 때 위와 같은 증상이 일어난 사례가 있다.

2) 상호대체 불가능

보툴리눔 독소 제제마다 독소 함유량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한 제품의 단위(unit)는 다른 제품의 단위로 변환될 수 없다.

3) 허가 외 사용에서의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치명적인 결과와 관련된 몇 가지의 약물이상반응과 과도한 약화, 삼킴곤란, 흡인성 폐렴을 포함한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허가 외 사용에서의 보툴리눔 독소 주사제 사용에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약물이상반응들은 독소효과의 원거리 확산과 반드시 관련되어 있지 않지만 주사부위 및/또는 인접구조에서의 보툴리눔 독소 주사제 투여에 기인될 수 있다. 허가 외 사용에서의 이니보주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4) 과민반응

즉각적인 과민반응들이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심각하거나 즉각적인 과민반응들이 보고될 수 있다. 이니보주 투여 후 과민반응이 일어날 경우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5) 보툴리눔 독소 주사제로 인한 부정맥과 심근경색을 포함한 심혈관계의 이상반응이 보고된 사례가 있으며, 몇몇은 치명적이었다. 이들 중 몇몇은 기존에 심혈관계질환을 포함한 위험요인을 갖고 있었다.

6) 신경근질환이 있는 경우

말초운동신경질환(예,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운동신경병) 또는 신경근접합질환(예, 중증근무력증, Lambert-Eaton 증후군)의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주사제의 통상적인 용량으로 심한 삼킴곤란과 호흡저하를 포함한 현저한 전신반응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임상문헌에 의하면 알고 있거나 인지하지 못한 신경근질환자에게 보툴리눔 독소를 투여 시 통상적인 용량의 전신 효과에 심한 과민반응을 보였다는 보고가 드물게 제기되었다. 이들 경우에서 몇몇은 삼킴곤란이 수개월간 지속되어 위영양관을 필요로 하였다.

7) 삼킴곤란과 호흡곤란

보툴리눔 독소 제제는 삼킴곤란이나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기존에 삼킴곤란이나 호흡곤란을 겪고 있던 환자들은 이러한 합병증에 민감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호흡이나 삼킴을 조절하는 호흡에 관련된 근육 또는 입인두 근육과 관련된 주사부위 근육의 약화로 인해 일어난다.

보툴리눔 독소로 치료 후 중증의 삼킴곤란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사례가 보고되었다. 삼킴곤란은 수개월간 지속될 수 있고 영양과 수분 공급을 위해 위영양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중증의 삼킴곤란은 흡인을 초래할 수 있고, 삼킴 또는 호흡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치료 시 특별히 더 위험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 치료는 환기를 보조하는 근육인 목근육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호흡기 장애가 있는 환자들에서 호흡량이 치명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호흡부전을 포함한 중증의 호흡곤란이 시판 후 사례로 보고되었다.

보툴리눔 독소로 치료받는 환자들은 삼킴, 발성, 호흡장애 등의 문제가 없는지 즉각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반응들은 보툴리눔 독소 치료 후 수일 또는 수주 내에 나타난다.

8) 주사부위에 염증성 피부 문제가 있거나, 현저한 안면 불균형, 눈꺼풀처짐, 과도한 피부이완증, 깊은 피부 흉터, 물리적으로 미간 주름을 폈을 때 주름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 등에는 이러한 환자들은 안전성 유효성 임상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주의를 주어야 한다.

9) 이니보주는 사람혈액에서 유래한 알부민을 함유하고 있다. 사람 혈액 또는 혈장에서 제조된 의약품을 투여할 때 전염성 물질의 전이로 인한 감염질환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이 사항은 역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병원물질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감염물질의 전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조공정 중에서 적절한 측정법을 사용하여 공여자나 공여부의의 선별이 시행됨과 더불어 감염물질의 제거 및/또는 불활성화 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가. 본제의 성분에 과민증을 가진 환자

나. 전신성 신경근접합부 장애를 가진 환자(중증근무력증, Lambert-Eaton 증후군, 근위축성측색경화증 등) - 근이완작용이 있어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다. 임신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라. 주사예정부위에 감염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근이완제를 투여 중인 환자 - 근이완작용이 증강되거나 삼킴곤란의 발현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