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유지용량 : 홍반이 전개된 후에 방광 점적주사, 초기 6주 동안은 1주일에 1회, 그 후 1년간 1달에 1회씩 20mg을 투여한다.
1) 면역저하환자 2) 체내 이종단백질에 대한 과민성이 있는 환자 2. 부작용 1) 미열이 가끔이 발생하지만 3일 후에는 회복된다. 드물게 γ-glutamyl transferase와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가 상승한다. 2) 압박감,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알러지 반응으로서 무균성 leukocyturia와 같은 방광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3) 치료개시시 주사부위의 피부 발적, 부종(약2cm)은 기알려진 현상이다.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환자 중 드물게 알러지성 부종이 발생한다. 필요시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함유한 연고를 도포한다. 전신 알러지 반응시에는 코티코스테로이드를 전신투여한다. 4) 본제를 방광에 점적한 후 나타날 수 있는 경증의 방광염은 일반적인 약물 반응이다. 방광의 경련은 국소적 혹은 전신적 진통제의 투여로 치료된다. 5) 이뇨작용이 증가한다. 6) 방광점적투여 후 나타나는 전신적 알러지 반응은 항히스타민제나 코티코스테로이드로 치료한다. 1) 타약물과의 특별한 약물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본 제의 면역증강작용은 면역을 억제하는 방사선 요법, 화학요법의 병행 및 코티코스테로이드의 병용투여에 의하여 손상받을 수 있다. 2) 본제의 최적의 치료효과를 위해 면역억제요법(방사선치료, 세포증식억제제, 코티코스테로이드제)과의 병행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본제의 임신 및 수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은 충분히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동물실험에서도 그 가능한 위험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의사가 신중히 고려하여 투여하여야 한다. 5.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알러지성 과민반응이 나타날 시에는 용량을 줄여야 한다. 2) 필요하면 인공호흡, 산소흡입, 칼슘이나 향히스타민제의 투여로 치료한다.
3. 약물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