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약 및 기타의 플루르비프로펜제제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아스피린 천식(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등에 의한 천식발작의 유발)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천식발작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기관지 천식 환자(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3. 부작용 1) 때때로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발진, 약진(약물발진), 가려움 및 작열감(화끈함), 접촉피부염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2) 천식발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건성수포음(거품소리), 천명(숨을 쌕쌕거림), 호흡곤란 등의 초기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십시오. 천식발작은 이 약의 부착 후 수시간 내에 나타난다. 4. 일반적 주의 1) 소염(항염)진통제에 의한 치료는 원인요법이 아닌 대증요법(증상별로 치료하는 방법)임에 유의한다. 2) 피부감염증을 불현성화(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시킬 수 있으므로 감염을 수반하는 염증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항균제 또는 항진균제를 병용(함께 사용)하고 충분히 관찰하여 신중히 투여한다. 3) 만성질환(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등에 이 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물요법 이외의 요법도 고려한다. 또한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여 부작용 발현(드러냄)에 유의한다. 5. 임부에 대한 투여 임신 제 1,2 삼분기에는 명백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플루르비프로펜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웃돎]한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투여한다. 사용하는 경우 복용량을 낮게 유지하고 치료 기간을 최대한 짧게 유지한다. 임신 제 3 삼분기 동안 플루르비프로펜을 포함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효소 억제제를 전신적으로 사용하면 태아에게 심폐 및 신장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신 말기에는 산모와 아이 모두 출혈 시간이 길어지고 진통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플루르비프로펜은 임신 후기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적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자에는 이 약의 부착 부위의 피부상태에 주의하며 신중히 투여한다. 8. 적용상의 주의 1) 손상피부 및 점막에 사용하지 않는다. 2) 습진 또는 발진 부위에 사용하지 않는다. 3) 적용부위의 땀을 닦아낸 후 사용한다.
이 약은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 어깨관절주위염, 건염(힘줄염)ㆍ건초염(힘줄윤활막염), 건(힘줄)주위염, 상완골(위팔뼈)상과염, 근육통, 외상(상처)후의 종창(부기)ㆍ동통(통증)의 진통, 소염에 사용합니다.
1일 2회 약면의 박리지를 떼어내 환부에 붙입니다.적용부위의 땀을 닦아낸 후 사용하십시오.
이 약에 과민증 환자,?아스피린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사용 시 천식 경험자는?이 약을 사용하지 마십시오.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기관지 천식 환자,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소아, 고령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십시오.손상된 피부 및?점막, 습진, 발진 부위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적용부위의 땀을 닦아낸 후 사용하십시오.
때때로 발적, 발진, 약진,?가려움, 작열감, 접촉피부염, 건성 수포음, 천명, 호흡곤란?등이 나타나는 경우 사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십시오.
빛을 피해 실온에서 보관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