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캄틴주4밀리그램(토포테칸염산염)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하이캄틴주4밀리그램(토포테칸염산염)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하이캄틴주4밀리그램(토포테칸염산염)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하이캄틴주4밀리그램(토포테칸염산염) Hycamtin injetion 4mg
이미지
Hycamtin injetion 4mg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topotecan hydrochloride (as topotecan) 4 mg

토포테칸염산염, 분량 : 4.49,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토포테칸으로서 4밀리그램, 비고 :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만니톨, 수산화나트륨, 염산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0108697
표준코드
8806500015504, 8806536027908, 8806500015511, 8806536027915, 8806500015528, 8806536027922, 8806439041803, 8806439041827, 8806439041810
위탁제조업체
GlaxoSmithKline Manufacturing S.p.A.
제형 / 투여경로
주사제 / 주사
성상
연황색 내지 녹색의 동결건조분말
허가일자
2001년 09월 06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53602791
193,018원 / 1병
ATC코드
L01CE01 topotecan 토포테칸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421 [04210]항악성종양제
주성분코드
241901BIJ
포장단위
5바이알
저장방법
차광밀봉용기, 실온(1~30℃) 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1. 난소암 및 소세포폐암 : 이 약을 투여하는 첫 번째 코스 전에 환자들의 호중구수는 1,500 cells/mm3 그리고 혈소판수는 100,000 cells/mm3 초과이어야 한다. 이 약은 1일 1.5 mg/m2씩 30분에 걸쳐 5일간 3주 간격으로 정맥내 투여한다. 종양진전이 없을 경우, 종양반응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 4코스 이상의 투여가 권장된다. 난소암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반응이 나타난 중간값 시간이 9 ∼ 12주였으며 소세포폐암에 대한 중간값 반응시간은 5 ∼ 7주였다. 이 약 투여 중 중증 호중구감소증(500 cells/mm3 미만으로 정의)이 나타날 경우 그 다음 코스에서는 용량을 1.25 mg/m2로 감량하여 투여한다. 혈소판수가 25,000 cells/mm3 이하로 떨어질 경우, 그 다음 코스에서는 용량을 1.25 mg/m2로 감량하여 투여한다.

이 약 투여 중 중증 호중구감소증이 나타날 경우, 다른 방법으로는 다음 코스에서 투여량을 조정하지 않고 6일째 되는 날(이 약의 투여 종료후 24시간)부터 G-CSF를 투여할 수 있다.

2. 자궁경부암 : 이 약을 투여하는 첫 번째 코스 전에 환자들의 호중구수는 1,500 cells/mm3 그리고 혈소판수는 100,000 cells/mm3 초과이어야 한다. 이 약은 1일 0.75 mg/m2씩 30분에 걸쳐 3일간 3주 간격으로 정맥투여하되, 매 투여 1일째에는 이 약 투여 후 시스플라틴 50 mg/m2를 정맥투여한다(3주 코스). 계속되는 투여 코스에서 이 약과 시스플라틴의 용량조절이 필요한 경우는 각각 아래와 같다.

-중증 열성 호중구감소증(체온 38 oC이상이며 호중구수 1,000 cells/mm3 미만)이 나타날 경우, 그 다음 코스에서 이 약의 용량을 0.60 mg/m2로 20 % 감량 투여해야 한다. 혈소판수가 25,000 cells/mm3로 떨어질 경우, 마찬가지로 이 약을 0.60 mg/m2로 20 % 감량한다. 중증 열성 호중구감소증이 나타날 경우, 다른 방법으로는 다음 코스에서 투여량을 조정하지 않고 4일째 되는 날(이 약의 투여 종료후 24시간)부터 G-CSF를 투여할 수 있다. G-CSF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열성 호중구감소증이 나타날 경우, 다음 코스에서 0.45 mg/m2로 다시 20 % 감량 투여한다.

- 시스플라틴의 경우, 시스플라틴의 투여 및 수액공급 지침, 혈액 독성 발생시의 시스플라틴 용량 조절에 대한 허가사항을 참고한다.

3. 간 손상시 : 간기능손상 환자(혈장 빌리루빈이 1.5 ∼ 10 mg/dL이내인 자)에 있어 용량의 조정은 필요하지 않다.

4. 신기능 손상시 : 경증 신기능손상 환자(크레아티닌청소율이 40 ∼ 60 mL/min 이내)에 있어서 용량의 조정은 필요하지 않다. 중등도 신기능손상 환자(크레아티닌청소율이 20 ∼ 39 mL/min 이내)는 0.75 mg/m2으로의 용량의 조정이 권장된다. 중증 신기능손상 환자에 있어 권장 용량에 대한 충분한 자료는 없다. 자궁경부암 치료를 위한 시스플라틴과의 병용투여는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dL 이하인 환자에서만 시작해야 한다. 임상시험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이 > 1.5 mg/dL인 경우 시스플라틴의 투여가 중단되었다.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시스플라틴의 투여 중단 후 이 약으로만의 계속적인 단독치료에 대한 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5. 고령자 : 신기능과 관련한 용량 조절 이외의 고령자에 대한 용량의 조정은 필요하지 않다.

6. 정맥주입액 조제 정맥주입액의 조제는 먼저 바이알에 4 mL의 주사용수를 가하여 녹이고, 투여 전에 적량을 취하여 생리식염 주사액 또는 5 % 포도당 주사액에 희석한다. 동결건조 분말에는 방부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조제된 액은 즉시 사용하여야 한다.


♦ 용법.용량


1. 표준화학요법에 실패한 전이성 난소암

2. 1차 화학요법에 실패한 재발성 소세포폐암

3. 수술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되지 않는 Ⅳ-B기, 재발성, 지속성 자궁경부암


♦주의사항(일반)


1. 경고

1) 이 약은 암화학요법제 사용경험이 있는 의사의 감독 하에 투여하여야 한다. 합병증의 적절한 관리는 알맞은 진단과 치료 시설이 갖추어져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2) 이 약은 기본 호중구수가 1,500 cells/mm3미만인 환자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중증이고 감염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골수억제(주로 호중구감소증)의 발생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이 약을 복용하는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말초 혈액 혈구수를 자주 측정하여야 한다.

3) 다른 세포독성이 있는 약물과 마찬가지로 이 약은 중증의 골수억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5 %에서 패혈증을 유도하는 골수억제가 보고되었고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이 보고된 바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을 보인 병력이 있는 환자

2)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

3) 첫 번째 코스를 시작하기 전에 이미 심각한 골수 억제(호중구 기저치가 1,500 cells/mm3 미만이거나 혈소판 수치가 100,000/mm3 이하)가 있는 환자

3. 다음의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종양 출혈의 위험이 증가된 환자

2) 간기능장애 환자

3) 신기능장애 환자

4.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기관계 및 발현빈도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발현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매우 자주(≥1/10), 자주(≥1/100, <1/10), 때때로(≥1/1,000, <1/100), 드물게(≥1/10,000, <1/1,000), 매우 드물게(<1/10,000, 개별적인 보고 및 빈도가 알려지지 않은 이상반응 포함))

난소암 및 소세포폐암 : 다음은 이 약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전이성 난소암 환자 453명과 소세포폐암 환자 426명에서 유발된 이상반응으로 주된 혈액학적 이상반응(표 1)과 15 % 이상의 환자에서 나타난 비혈액학적 이상반응(표 2)을 나타내었다. 이들 임상시험에서 전처치제들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표 1. 혈액학적 이상반응

혈액학적 이상반응

환자 879명 중

발현율%

코스(4,124명) 중

발현율%

호중구감소증

< 1,500 cells/mm3

< 500 cells/mm3

 

97

78

 

81

39

백혈구감소증

< 3,000 cells/mm3

< 1,000 cells/mm3

 

97

32

 

80

11

혈소판감소증

< 75,000/mm3

< 25,000/mm3

 

69

27

 

42

9

빈혈

< 10 g/dL

< 8 g/dL

 

89

37

 

71

14

혈소판 수혈

15

4

적혈구 수혈

52

22

표 2. 비혈액학적 이상반응

비혈액학적

이상반응

발현율(%)

- 모든 등급

발현율(%)

- 3등급

발현율(%)

- 4등급

환자(879)

코스(4124)

환자(879)

코스(4124)

환자(879)

코스(4124)

감염

패혈증 또는 발열/호중구감소증을 동반한 감염*

43

15

NR

NR

23

7

대사 및 영양

식욕부진

 

19

 

9

 

2

 

1

 

<1

 

<1

신경계

두통

 

18

 

7

 

1

 

<1

 

<1

 

0

호흡기계, 흉부, 종격

호흡곤란

기침

 

22

15

 

11

7

 

5

1

 

2

<1

 

3

0

 

1

0

위장관계

구역(중증일수 있음)

구토(중증일수 있음)

설사(중증일수 있음)

변비

복통

구내염

 

64

45

32

29

22

18

 

42

22

14

15

10

8

 

7

4

3

2

2

1

 

2

1

1

1

1

<1

 

1

1

1

1

2

<1

 

< 1

< 1

< 1

< 1

< 1

< 1

피부 및 피하조직

탈모

발진**

 

49

16

 

54

6

 

NA

1

 

NA

<1

 

NA

0

 

NA

0

전신 및 투여부위

피로

발열

통증***

무력증

 

29

28

23

25

 

22

11

11

13

 

5

1

2

4

 

2

<1

1

1

 

0

<1

1

2

 

0

<1

<1

<1

NA=해당되지 않음

NR=별도 보고되지 않음

* 등급 1의 패혈증 또는 감염을 포함하지 않음.

** 발진은 가려움, 홍반성 발진, 두드러기, 피부염, 수포성 발진, 반구진성 발진 등을 포함한다.

*** 통증은 체통, 등통, 골격통 등을 포함한다.

표 3은 난소암 대상으로 한 이 약과 Paclitaxel 비교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3/4등급의 혈액학적 이상반응과 주요 비혈액학적 이상반응을 나타낸다. Paclitaxel을 복용한 환자에게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디펜하이드라민 및 히스타민 type 2 수용체 차단제와 같은 전처치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이 약을 복용한 환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전처치 약물을 필수적으로 투여하지 않았다.

표 3.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 약과 Paclitaxel 비교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

이 약

Paclitaxel

환자

(n=112)

코스

(n=597)

환자

(n=114)

코스

(n=589)

혈액학적 등급3/4

%

%

%

%

호중구감소증(등급 4)

(<500 cells/mm3)

빈혈(등급 3/4)

(Hgb<8 g/dL)

혈소판 감소증(등급 4)

(<25,000 plts/mm3)

발열/호중구감소증(등급 4)

80

 

41

 

27

 

23

36

 

16

 

10

 

6

21

 

6

 

3

 

4

9

 

2

 

<1

 

1

비혈액학적 등급 3/4

%

%

%

%

감염

입증된 패혈증

패혈증과 관련된 사망

 

5

2

 

1

NA

 

2

0

 

<1

NA

대사 및 영양

식욕부진

 

4

 

1

 

0

 

0

신경계

두통

 

1

 

<1

 

2

 

1

호흡기계, 흉부, 종격

호흡곤란

6

2

5

1

위장관계

복통

변비

설사

장폐색

구역

구내염

구토

 

5

5

6

5

10

1

10

 

1

1

2

1

3

<1

2

 

4

0

1

4

2

1

3

 

1

0

<1

1

<1

<1

<1

간/담도계

간효소치 증가^

 

1

 

<1

 

1

 

<1

피부 및 피하 조직

발진*

 

0

 

0

 

1

 

<1

근골격계, 결합조직, 뼈

관절통

 

1

 

<1

 

3

 

<1

전신 및 투여부위

피로

권태

무력증

가슴통증

근육통

통증**

 

7

2

5

2

0

5

 

2

<1

2

<1

0

1

 

6

2

3

1

3

7

 

2

<1

1

<1

2

2

^ 간효소치 증가는 AST, ALT 및 간 효소의 증가 등을 포함한다.

* 발진은 가려움, 홍반성 발진, 두드러기, 피부염, 수포성 발진, 반구진성 발진 등을 포함한다.

** 통증은 체통, 등통, 골격통 등을 포함한다.

다음 표 4는 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 약과 CAV(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비교임상시험에서 나타난 3/4등급의 혈액학적 이상반응과 주요 비혈액학적 이상반응을 나타낸다. CAV(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를 복용한 환자에게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디펜하이드라민 및 히스타민 type2 수용체 차단제와 같은 전처치를 필수적으로 실시하였으나, 이 약을 복용한 환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전처치 약물을 필수적으로 투여하지 않았다.

표 4. 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 약과 CAV(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비교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 약

CAV

 

환자

(n=107)

코스

(n=446)

환자

(n=104)

코스

(n=359)

혈액학적 등급3/4

호중구감소증(등급4)

(<500 cells/mm3)

빈혈(등급3/4)(Hgb < 8 g/dL)

혈소판감소증(등급4)

(<25,000 plts/mm3)

발열/호중구감소증(등급 4)

%

70

42

29

28

%

38

18

10

9

%

72

20

5

26

%

51

7

1

13

비혈액학적 등급 3/4

%

%

%

%

감염

입증된 패혈증

패혈증과 관련된 사망

5

3

1

NA

5

1

1

NA

대사 및 영양

식욕부진

3

1

4

2

신경계

두통

0

0

2

<1

호흡기계, 흉부, 종격

호흡곤란

기침

폐렴

9

2

8

5

1

2

14

0

6

7

0

2

위장관계

복통

변비

설사

구역

구내염

구토

6

1

1

8

2

3

1

<1

<1

2

<1

<1

4

0

0

6

1

3

2

0

0

2

<1

1

간/담도계

간효소치 증가^

1

<1

0

0

피부/피하조직

발진*

1

<1

1

<1

전신 및 투여부위

피로

무력증

통증**

6

9

5

4

4

2

10

7

7

3

2

4

^간효소치 증가는 AST, ALT 및 간 효소의 증가 등을 포함한다.

*발진은 가려움, 홍반성 발진, 두드러기, 피부염, 수포성 발진, 반구진성 발진 등을 포함한다.

**통증은 체통, 등통, 골격통 등을 포함한다.

자궁경부암 :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 약·시스플라틴의 병용투여(3주마다 이 약 0.75 mg/m2/day로 1, 2, 3일째 투여 받고, 1일째 시스플라틴 50 mg/m2을 병용투여)와 시스플라틴(3주마다 1일째에 시스플라틴 50 mg/m2투여)과의 비교임상시험에서, 가장 일반적인 용량 제한 독성은 골수억제였다.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나타난 혈액학적 이상반응(표 5)과 비혈액학적 이상반응(표 6)을 나타내었다.

표 5. 혈액학적 이상반응

혈액학적 이상반응

이 약과 시스플라틴의 병용투여

(n=140)

시스플라틴

(n=144)

빈혈

모든 등급(Hgb < 12 g/dL)

등급 3(Hgb < 8-6.5 g/dL)

등급 4(Hgb < 6.5 g/dL)

 

131(94 %)

47(34 %)

9(6 %)

 

130(90 %)

28(19 %)

5(3 %)

백혈구감소증

모든 등급(<3,800 cells/mm3)

등급 3(<2,000~1,000 cells/mm3)

등급 4(<1,000 cells/mm3)

 

128(91 %)

58(41 %)

35(25 %)

 

48(30 %)

1(1 %)

0(0 %)

호중구감소증

모든 등급(<2,000 cells/mm3)

등급 3(<1,000~500 cells/mm3)

등급 4(<500 cells/mm3)

 

125(89 %)

36(26 %)

67(48 %)

 

28(19 %)

1(1 %)

1(1 %)

혈소판감소증

모든 등급(<130,000 cells/mm3)

등급 3(<50,000~10,000 cells/mm3)

등급 4(<10,000 cells/mm3)

 

104(74 %)

36(26 %)

10(7 %)

 

21(15 %)

5(3 %)

0(0 %)

표6. 환자 중 5 % 이상에서 경험한 비혈액학적 이상반응*

이상반응

이 약과 시스플라틴의 병용투여

(n=140)

시스플라틴

(n=144)

모든 등급†

등급3

등급4

모든 등급

등급3

등급4

전신 및 투여부위

체질병

통증§

 

96(69%)

82(59%)

 

11(8%)

28(20%)

 

0

3(2%)

 

89(62%)

72(50%)

 

17(12%)

18(13%)

 

0

5(3%)

위장관계

구토

구역

구내염-인두염

기타

 

56(40%)

77(55%)

8(6%)

88(63%)

 

20(14%)

18(13%)

1(<1%)

16(11%)

 

2(1%)

2(1%)

0

4(3%)

 

53(37%)

79(55%)

0

80(56%)

 

13(9%)

13(9%)

0

12(8%)

 

0

0

0

3(2%)

피부

67(48%)

1(<1%)

0

29(20%)

0

0

대사-실험실적

55(39%)

13(9%)

7(5%)

44(31%)

14(10%)

1(<1%)

비뇨생식계

51(36%)

9(6%)

9(6%)

49(34%)

7(5%)

7(5%)

신경계

신경병증

기타

 

4(3%)

49(35%)

 

1(<1%)

3(2%)

 

0

1(<1%)

 

3(2%)

43(30%)

 

1(<1%)

7(5%)

 

0

2(1%)

감염-열성호중구감소증

39(28%)

21(15%)

5(4%)

26(18%)

11(8%)

0

심혈관계

35(25%)

7(5%)

6(4%)

22(15%)

8(6%)

3(2%)

34(24%)

5(4%)

2(1%)

23(16%)

2(1%)

0

24(17%)

4(3%)

0

23(16%)

5(3%)

3(2%)

혈관계

출혈

혈액응고

 

21(15%)

8(6%)

 

8(6%)

4(3%)

 

1(<1%)

3(2%)

 

20(14%)

10(7%)

 

3(2%)

7(5%)

 

(<1%)

0

근골격계

19(14%)

3(2%)

0

7(5%)

1(<1%)

1(<1%)

알레르기-면역

8(6%)

2(1%)

1(<1%)

4(3%)

0

1(<1%)

내분비계

8(6%)

0

0

4(3%)

2(1%)

0

유성생식기능

7(5%)

0

0

10(7%)

1(<1%)

0

안구-시력

7(5%)

0

0

7(5%)

1(<1%)

0

자료는 NCI 일반독성기준 v.2.0을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 시험에 적합하여 치료 받은 환자들을 포함

†등급 1 ~ 4. 연구자가 5등급이라고 지정한 사망이 3명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첫번째 환자는 약물관련 혈소판감소증이 악화된 5등급의 출혈이었다. 두번째 환자는 치료와는 관련이 없으나 치료에 의해 증상이 악화되었을 수 있는 장폐색, 심장정지, 흉막삼출, 호흡부전을 경험하였다. 세번째 환자는 폐색전증과 성인호흡곤란증후군을 경험하였고, 후자는 간접적으로 치료와 관련이 있었다.

‡체질병은 피로(졸음증, 권태, 무력증), 발열(호중구감소증의 부재시), 경직, 오한 및 발한, 체중증가 또는 감소를 포함한다.

§통증은 복통이나 경련, 관절통, 뼈통증, 가슴통증(비심장 및 비흉막), 월경통, 성교통증, 귀앓이, 두통, 간 통증, 근육통, 신경병증성 통증, 방사선에 기인한 통증, 골반통, 흉막통, 직장 또는 직장 주위 통증, 암성 통증을 포함한다.

1) 혈액학 : 골수 억제(주로 호중구감소증)는 이 약의 용량을 제한시키는 주요 독성이다. 호중구감소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지 않는다. 이 약의 골수 억제에 대한 자료는 다음을 근거로 한 것이다.

- 이 약을 1.5 mg/m2/day로 5일간 단독 투여 받은 전이성 난소암 또는 소세포폐암 환자 879명

- 이 약을 0.75 mg/m2/day로 1, 2, 3일째 투여 받고, 1일째 시스플라틴 50 mg/m2을 병용투여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 140명

(1) 호중구감소증

① 난소암 및 소세포폐암 : 중증의 호중구감소증(4등급, < 500 cells/mm3)은 제1치료 코스 동안 60 %의 환자와 전체 치료 코스 중 39 %에서 나타났으며 지속기간의 중간 값은 7일이었다. 호중구수의 최저치는 12일째(중간값)에 나타났다. 치료와 관련하여 패혈증 또는 발열을 수반한 호중구감소증은 환자의 23 %에서 나타났으며 1 %에서 패혈증은 치명적이었다.

② 자궁경부암 : 등급 3 및 4의 호중구감소증이 각각 26 %, 48 %에서 나타났다.

(2) 혈소판감소증

① 난소암 및 소세포폐암 : 혈소판감소증(4등급, < 25,000/mm3)은 환자의 27 %에서, 치료코스 중 9 %에서 나타났고 지속기간의 중간 값은 5일이었으며 혈소판 최저치는 15일째(중간값)에 나타났다. 환자의 15 %와 코스 중4 %에 혈소판 수혈이 행해졌다.

② 자궁경부암 : 등급 3 및 4의 혈소판감소증이 각각 26 %, 7 %에서 나타났다.

(3) 빈혈

① 난소암 및 소세포폐암 : 중증의 빈혈(3/4등급, < 8 g/dL)은 환자의 37 %와 코스 중 14 %에서 나타났다. 최저치 중간값은 15일째에 나타났다. 52 %의 환자와 코스 중 22 %에서 수혈이 필요했다.

② 자궁경부암 : 등급 3 및 4의 혈소판감소증이 각각 34 %, 6 %에서 나타났다.

(4) 자주 범혈구감소증이 보고되었다. 중증 출혈(혈소판 감소증과 관련됨)이 보고된 적이 있으나 빈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난소암에서의 전체 처치 관련 사망률은 1 %였고 소세포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에서의 처치 관련 사망률은 이 약에서 5 %였고, CAV(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에서 4 %였다.

2) 위장관계 : 매우 자주 설사, 구역, 구토(모두 중증일 수 있음), 복통, 변비 및 구내염이 보고되었다. 구역은 환자 중의 64 %(3/4등급의 경우 8 %)에서 발현되었고, 구토는 45 %의 환자(3/4 등급의 경우 6 %)에서 나타났다. 이 약 투여 환자에게 예방 목적의 항구토제는 일정하게 사용하지 않았다. 환자의 32 %에서 설사(3/4등급 4 %), 29 %에서 변비(3/4등급 2 %), 22 %에서 복통(3/4등급 4 %)이 나타났다. 3/4등급의 복통은 난소암 환자에서 6 %였고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2 %였다.

경구용 토포테칸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약물 관련 설사의 전체 발생률은 22 %였으며 이 중 3등급은 4 %, 4등급은 0.4 %였다. 약물 관련 설사는 65세 미만 환자군(19 %)에 비해 65세 이상 환자군(28 %)에서 더 자주 발생했다. 정맥 주사시 65세 이상인 환자군에서 약물 관련 설사 발생률은 10 %였다.

치명적인 호중구감소성결장염을 포함하는 호중구감소성결장염이 토포테칸으로 인한 호중구감소증의 합병증으로서 발생한 것이 보고되었다.

3) 피부/피하조직 : 환자의 31 %에서 탈모(2등급)가 나타났다.

4) 신경계 : 두통(18 %)은 신경독성 중 가장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7 %의 환자에서 감각이상이 나타났으나 일반적으로 1등급이었다.

5) 간/담도계 : 1등급의 일시적인 간 효소의 상승이 환자의 8 %에서 나타났다. 3/4등급의 현저한 상승은 4 %였다. 3/4등급의 빌리루빈의 상승은 환자의 2 % 이내에서 나타났다.

6) 호흡기계, 흉부, 종격 : 3/4등급의 호흡곤란이 난소암 환자의 4 %에서, 소세포폐암 환자의 12 %에서 발생하였다. 드물게 간질성폐질환(ILD)이 보고되었다.

7) 전신 및 투여 부위 : 매우 자주 무력증, 피로, 발열, 자주 권태감, 매우 드물게 혈관밖 유출(이와 관련한 반응들은 경증이었으며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았다)이 보고되었다.

8) 대사 및 영양 : 매우 자주 식욕 부진(중증일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9) 면역 체계 : 자주 발진을 포함한 과민반응이 보고되었다.

10) 국외 시판 후 이상반응 : 상기에 포함되지 않는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1) 피부/부속기 : 드물게 중증의 피부염과 중증의 가려움증이 나타났다.

(2) 전신 : 때때로 알레르기 반응, 드물게 아나필락시스모양 반응 및 혈관부종이 나타났다.

(3) 자발적 보고 및 문헌 사례로부터 확인된 약물이상반응 : 이 약의 자발적 보고 및 문헌 사례를 통한 시판 후 경험에서 다음과 같은 약물이상반응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약물이상반응은 불분명한 크기의 인구 집단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되었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빈도 추정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빈도 불명으로 분류하였다. 약물이상반응은 MedDRA 기관계 분류에 따라 작성되었다. 각 기관계 분류 내에서는 약물이상반응의 중증도가 감소하는 순으로 나열되었다.

① 위장관장애 : 위장관천공

②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상태 : 점막염증

③ 면역계장애: 아나필락시스 반응

④ 혈관림프계장애: 중증 출혈 (혈소판감소증과 관련됨)

11) 국내 시판후 조사결과

(1)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전이성 난소암과 재발성 소세포폐암 환자 6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후 조사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증례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55.24 %(348명, 1,150건/630명)로 보고되었다.

(2) 약과의 인과관계에 상관없이 35명에서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과립구감소증 22건 백혈구감소증 10건, 혈소판감소증, 패혈증, 호흡곤란 각 6건, 폐렴 4건, 두통 3건, 빈혈, 간효소 증가 각 2건, 장폐색증(마비성), 무력, 복수, 가슴통증, 저나트륨혈증, 사고이상, 빈맥, 저혈압, 고혈압, 칸디다혈증이 각 1건씩 보고되었다.

(3) 기 허가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이상반응으로 저칼륨혈증 3건, 저나트륨혈증 각 2건, 자반병, 구갈, 딸꾹질, 복수, 안면홍조, 대상포진, 알부민-글로불린비 이상, BUN 증가, 신부전(급성), 비단백질소 증가, 빈맥, 세동(심방성), 고혈압, 칸디다혈증이 각 1건씩 보고되었다.

5. 일반적 주의

1) 이 약의 수술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되지 않는 Ⅳ-B기, 재발성, 지속성 자궁경부암의 치료에 관한 유효성은 시스플라틴(매 3주마다 1일째에 시스플라틴 50 mg/m2 투여)과의 3상 비교임상시험의 생존율 증가에 근거한다.

2) 이 약은 환자의 기본 호중구가 1,500 cells/mm3, 혈소판이 100,000/mm3 이상일 때 투여한다. 이 약을 사용하여 치료 시에는 말초 혈액 세포 수를 자주 모니터링해야 한다. 환자의 호중구수가 1,000 cells/mm3, 혈소판이 100,000/mm3, 헤모글로빈치가 9.0 g/dL 이상으로 회복된 후 다음 치료코스를 시작한다(필요하면 수혈과 함께). 이 약과 시스플라틴을 병용투여 하였을 때, 중증의 골수독성이 보고되었다.

3) 이 약에 의한 본의 아닌 내출혈은 부종이나 멍과 같은 경증 국소반응과만 관련된다.

4) 다른 화학요법제와 마찬가지로, 이 약은 무력증과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운전이나 기계조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5) 혈액학적 독성은 용량과 관련이 있으므로 혈소판을 포함한 전체 혈구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6) 이 약으로 인해 발생한 호중구감소증은 호중구감소성결장염을 유발할 수 있다. 호중구감소성결장염으로 인한 사망이 이 약으로의 임상 시험에서 보고된 적이 있다. 발열, 호중구감소증 및 이에 합당한 소견을 보이는 복통이 나타나는 환자에서는 호중구감소성결장염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7) 이 약은 간질성폐질환(ILD)의 보고와 연관되어 있었고, 그 중 일부는 치명적이었다. 내재성 위험 요인들은 간질성폐질환, 폐섬유화, 폐암, 흉부의 방사성 노출 및 호흡독성 약물 및/또는 집락자극인자(CSF)의 사용을 포함한다. 환자들은 간질성폐질환을 나타내는 폐 관련 증상들(예, 기침, 발열, 호흡곤란 및/또는 저산소증)에 대해 모니터링 되어야 하고, 만약 간질성폐질환의 새로운 진단이 확인되면 이 약의 사용을 중단하여야 한다.

8) 이 약 단독 치료 및 시스플라틴과의 병용 치료는 주로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는 혈소판감소증과 연관되어 있다. 종양 출혈이 증가한 환자 등에 이 약 처방 시 이러한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9) 이 약을 다른 세포독성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할 경우 용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6. 상호작용

1) 이 약과 G-CSF의 동시 투여로 호중구감소증의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G-CSF를 투여할 경우 G-CSF투여는 코스의 6일째 되는 날(이 약 투여종료 후 24시간 이후)에 투여한다.

2) 1상 임상시험에서, 이 약과 시스플라틴을 병용 투여하였을 때, 골수 억제가 더욱 심각하였다. 시스플라틴 50 mg/m2과 이 약 1.25 mg/m2/day × 5일을 병용 투여한 한 연구에서, 3명중 1명의 환자에서 12일간 중증의 호중구 감소를 나타났으며 다른 한 환자는 호중구감소성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3) 다른 골수억제성 세포독성 제제와 마찬가지로, 이 약과 다른 세포독성 제제(예, Paclitaxel 또는 에토포시드)를 병용 투여할 때에는 더 심한 골수억제가 나타나므로 감량이 요구된다. 그러나 백금제제(예, 시스플라틴 또는 카보플라틴)와 병용 투여시에는, 백금제제가 이 약 사용의 1일 또는 5일에 투여 되었는지에 따라 특징적인 순서 의존적 상호작용이 나타난다. 만약 시스플라틴이나 카보플라틴이 이 약 투여 1일째 투여되었다면, 이 약 투여 5일째에 백금제제와 함께 투여할 수 있는 용량에 비해 더 적은 용량을 투여하여야 한다.

1차 화학요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1/2상에서 연구된 용량과 투여 일정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

(1) 1일째 시스플라틴 50 mg/m2과 1 ~ 5일에 토포테칸 0.75 mg/m2/day

(2) 5일째 시스플라틴 50 mg/m2과 1 ~ 5일에 토포테칸 1.25 mg/m2/day

(3) 1일째 카보플라틴[AUC 5(Clavert formula)]과 1 ~ 5일 토포테칸 0.5 mg/m2/day

(4) 5일째 카보플라틴[AUC 5(isotope creatinine clearance)]과 1 ~ 5일 토포테칸 1.0 mg/m2/day

4) 이 약은 사람의 CYP-450을 억제하지 않는다. 대상군 임상에서, 그라니세트론, 온단세트론, 모르핀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병용투여(다른 투여 경로 또는 다른 투여 라인)하는 것은 이 약의 약동학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5) 이 약(0.75 mg/m2/day 용량을 연속 5일 투여)과 시스플라틴(1일째에 60 mg/m2/day 투여)을 13명의 난소암 환자에게 투여시 5일째에 토포테칸의 평균 혈장 청소율은 1일째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다. 그 결과 토포테칸의 전신 노출은 AUC 및 Cmax로 측정하였을 때 5일째에 각각 12 %(95 % 신뢰구간 ; 2 %, 24 %) 및 23 %(95 % 신뢰구간 ; -7 %, 63 %)까지 증가하였다.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이 약(0.75 mg/m2/day 용량을 연속 3일 투여)과 시스플라틴(1일째에 50 mg/m2/day 투여)을 병용 투여했을 때에 대한 약동학 자료는 없다.

6) 이 약은 ABCG2(BCRP) 및 ABCB1(P-glycoprotein)의 기질이다. 이 약 경구제제를 ABCB1 및 ABCG2의 저해제(예, elacridar)와 병용 투여하였을때 이 약의 노출이 증가하였다. Elacridar가 이 약 정맥 주사 제제의 약동학에 미치는 영향은 이 약 경구제제에 대해 미치는 영향보다 훨씬 적었다.

7. 임부, 수유부 및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한 투여

1) 임부 : 전임상 시험에서 이 약은 배자 독성 및 태자 독성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른 세포독성 치료제와 마찬가지로 이 약을 임부에게 투여시 태아에 위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이 약은 임부에게 금기이다. 만약 이 약을 임부에게 투여하거나, 투여 중 임신하게 되면 태아에 치명적인 위험이 있음을 경고하고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 투여시 이 약으로 치료를 받는 동안 피임하여야 하며 임신한 경우에는 이를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권고하여야 한다. 토끼에게 0.10 mg/kg/day(mg/m2으로 하였을 때 임상적 용량과 유사 용량)을 임신 6일부터 20일까지 투여하는 것은 모체독성과 배자사망 및 태자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

랫트에게 0.23 mg/kg/day(mg/m2으로 하였을 때 임상적 용량과 유사 용량)을 교배 전부터 임신 6일까지 총 14일간 투여하였을 때, 태자 흡수, 소안구증, 착상 전 소실 및 경증의 모체독성의 원인이 되었다. 랫트의 임신 6일부터 17일까지 0.10 mg/kg/day(mg/m2으로 하였을 때 임상적 용량의 1/2에 해당하는 용량)을 투여하는 것은 착상 후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 이 용량은 태자의 총 기형 발생율을 증가시켰다. 가장 많이 나타난 기형은 눈(소안구증, 무안구증, 망막에 로제태 생성, 망막결손증, 안구일소증), 뇌(측면 및 제3 뇌실의 확장), 두 개골, 척수기형이 발생되었다.

2) 수유부 : 이 약 투여시 약물이 모유로 이행되는지의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수유 중에는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3)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 임신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모든 세포독성 화학요법제와 동일하게,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이 약의 치료 기간과 마지막 투여 후 6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남성의 경우 이 약의 치료 기간과 치료를 중단한 후 최소 3개월 동안 성관계 중 콘돔을 사용해야 한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유·소아에 대한 안전성·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의 임상시험에서 전이성 난소암 또는 소세포폐암 환자 879명 중에, 32 %가(n = 281) 65세 이상이었고, 3.8 %(n = 33)가 75세 이상이었다. 이 약의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에서, 이 약과 시스플라틴을 병용투여 받은 Ⅳ-B기 또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자궁경부암 환자 140명 중에 6 %(n = 9)가 65세 이상이었고, 3 %(n = 4)가 75세 이상이었다. 고령자와 젊은 성인 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의 차이는 없었고, 보고된 다른 임상경험에서도 고령자와 젊은 성인 간에 반응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몇몇 고령자에서 감수성이 더 크다는 점은 배제할 수 없다. 고령자에서 이 약의 약물동태학적 측면에서의 명백한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에 따른 신기능의 감소는 고려되었다. 이 약은 대체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약에 대한 독성 반응의 위험은 신기능이 손상된 환자에서 증가할 수 있다. 고령자들은 신기능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용량 선택시 주의하여야 하고, 신기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을 정맥내 투여한 환자에서 과량투여(처방용량의 최대 10배)가 보고되었다. 과량투여시 주요 합병증은 골수억제 및 구내염이다. 과량투여시 관찰된 증상 및 징후는 이 약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상반응과 일치하였다(“4.이상반응” 참조). 또한, 과량투여 이후 간 효소의 증가 및 점막염이 보고되었다.

이 약 과량 투여시 해독제로 알려진 것은 없다. 임상적 지시에 따라 추가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3주 코스의 투여 1일째 17.5 mg/m2을 단회 투여하려던 환자 1명에게 35 mg/m2을 단회 투여하였다. 이 환자에서 중증의 호중구감소증(최저치 320 cells/mm3)이 14일 후에 나타났으나 아무 이상 없이 회복되었다.

이 약의 단회 정맥 주입에 대한 마우스의 LD10은 75 mg/m2(CI 95% : 47 ~ 97)이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에는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으므로 이 약을 주사용수에 용해한 후 바로 사용해야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 2 ~ 8 oC에서 냉장 보관하되 24시간이 지나면 폐기한다. 이 약의 최종 희석액은 24시간 이내에 주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2) 사용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이 약은 반드시 주사용수 4 mL에 용해한 후 사용 전에 추가적으로 더 희석하여야 한다.

(2) 이 약 4 mg 바이알은 주사용수 4 mL에 용해하여야 한다. 이 용액의 토포테칸 농도는 1 mg/mL이다. 최종농도가 25 ~ 50 mcg/mL가 되도록 정맥 주입용 생리식염 주사액 또는 정맥 주입용 5 % 포도당 주사액 적량을 더하여 추가적인 희석을 해야 한다.

(3) 항암제의 적절한 취급과 폐기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절차를 적용하여야 한다.

① 취급자는 약물의 용해에 대하여 교육 받아야 한다.

② 임부는 이 약의 취급자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③ 이 약을 용해하는 과정 동안 취급자는 마스크, 고글, 장갑 등을 포함한 보호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④ 장갑을 포함하여 투여 및 세척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는 고위험, 폐기물 백에 넣어 고열 소각하여야 한다. 액체 폐기물은 다량의 물과 함께 씻어 내린다.

(4) 이 약은 세포독성이 있는 항암제이므로 독성이 있는 다른 약물과 마찬가지로 장갑과 보호복을 착용하고 laminar flow 후드에서 조제한다.

(5) 이 약이 피부에 닿았을 경우에는 즉시 물과 비누로 완전히 닦고 점막에 닿았을 경우 물로 완전히 씻어낸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30 oC 이하에서 햇빛과 열을 피하여 보관한다.

13. 기타

1) 동물실험에서 면역기능을 저하시키고 경미한 항원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 발암성/유전독성/수태능 감소 : 이 약의 발암성에 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다른 세포 독성 치료제들과 마찬가지로 그리고 이 약의 작용 기전의 결과로 인해 이 약은 in vitro에서 포유동물 세포(마우스 림포마 세포 및 사람 림프구)에 대하여, 그리고 in vivo에서 마우스 골수 세포에 대하여 유전독성이 있다. 이 약은 L5178Y 마우스 림포마 세포에 대해 돌연변이를 유발하였고, 대사 활성 여부와 관계없이 배양된 사람 림프구에 대해 염색체이상유발성을 나타냈다. 이 약은 또한 마우스 골수에 대해서도 염색체이상유발성을 나타냈다. 이 약은 박테리아 세포에 대해서는 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았다.

♦주의사항(전문가)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임부금기

성분코드 / 성분명
241901BIJ / topotecan
금기등급 / 급여구분
2 등급  / 급여
고시번호 / 고시일자
20160155 / 2016-12-30하이캄틴주4밀리그램(토포테칸염산염)_(4.49mg/1병)
비고
.동물실험에서 모체독성, 배자사망, 태아 체중감소 및 기형발생율 증가(눈(소안구증, 무안구증, 망막에 로제태 생성, 망막결손증, 안구일소증), 뇌(측면 및 제3뇌실의 확장), 두개골, 척수기형)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