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포비어디피복실, 분량 : 1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첨규격(전과동), 성분정보 : , 비고 :
아데포비어피복실로서 1일 1회 10 mg을 식사와 상관없이 경구투여한다. 2. 신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하였을 때 약물의 유의성 있는 노출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크레아티닌청소율이 50 mL/min 미만인 환자에서는 투여 간격을 아래 표와 같이 조절해야 한다. 이 투여 간격 조절 지침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임상적으로 평가되지 않았으며, 치료 시작시에 이미 신장애가 있었던 환자의 자료로부터 얻은 것이므로, 이 약으로의 치료 도중에 신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이 지침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들 환자에 대한 임상반응 및 신기능을 세심하게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표> 신장애 환자 투여간격 조절 지침 * 크레아티닌청소율은 제지방 체중 또는 이상 체중을 이용한 Cockcroft-Gault method로 계산한 것이다. 크레아티닌청소율이 10 mL/min 미만으로 혈액투석을 하지 않는 환자에서는 아데포비어의 약동학은 평가된 바가 없으므로 이 환자들에 대한 투여 지침은 없다.
1) 이 약은 권장 용량을 초과하여 투여해서는 안 된다. 2) 치료 중단 후 간염의 악화 3) 신독성 4) HIV 내성 5) HIV 동시 감염 6) 유산산증/지방증을 동반한 중증 간비대 7) 기타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아데포비어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라미부딘 내성 B형 간염의 임상적 근거를 보이는 간이식 전(n = 226) 및 후(n = 241)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평균 치료기간 51주 및 99주로 203주까지 이 약으로 공개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신장 기능장애에 대하여 사이클로스포린과 타크로리무스와의 병용투여, 치료초기 신장 기능부족, 고혈압, 당뇨, 장기 이식 등을 포함한 위험요소를 지닌 간이식 전 후 환자들에서 신기능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신기능에서의 이러한 변화들에 대해 이 약이 미치는 영향은 평가하기가 어렵다. Kaplan-Meier estimate에 의해 볼 때, 간이식 전 환자들 가운데 48주까지 12 %의 환자에서, 96주까지 28 %의 환자에서, 144주까지 30 %의 환자에서 초기보다 ≥0.5 mg/dL의 혈청 크레아티닌 상승이 관찰되었고, 간이식 후 환자들 가운데 48주까지 18 %의 환자에서, 96주까지 35 %의 환자에서, 144주까지 35 %의 환자에서 초기보다 ≥0.5 mg/dL의 혈청 크레아티닌 상승이 관찰되었다. 치료 초기에 간 이식 전이었던 환자들을 고려하면, 48주까지 혈청 크레아티닌이 최소 0.5 mg/dL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 환자들의 퍼센트(%)에 대한 Kaplan-Meier estimate가 간이식 전보다 간이식 후에서 더 높았다(52 % vs 5 %). 최종 방문까지 간이식 전 환자 중 1.3 %(226명 가운데 3명), 간이식 후 환자 중 2.5 %(241명 가운데 6명)에서 < 2.0 mg/dL 의 혈청 인 수치를 보였다. 간이식 전 후 환자들 가운데 4 %의 환자가(467명 가운데 19명) 신장 반응으로 인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였다. 이 약으로 치료 받은 간 이식 전후 환자에서 치료와 관련된 것으로 2 % 혹은 그 이상의 빈도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전신 : 무력증, 두통, 발열 (2) 위장관계 : 복통, 구역, 구토, 위창자내공기참, 설사, 간부전, 소화불량 (3) 대사 및 영양 : ALT 및 AST 상승, 비정상적 간기능, 저인산혈증 (4) 호흡기계 : 기침 증가, 인두염, 부비동염 (5) 피부 및 피부 부속기관 : 가려움, 발진 (6) 비뇨기계 : 크레아티닌 상승, 신부전, 신기능 부족 4. 이상반응 1) 48주간 이 약(n = 294) 또는 위약(n = 228)으로 이중맹검 치료를 받은 만성 B형 간염 환자 및 대상성 간질환 환자 522명을 대상으로 한 두 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을 평가하였다. 연장 치료에 의해, 이 약 10 mg을 최소 1회 이상 투여한 총 492명의 환자들에 대한 평균 치료 기간은 49주였고, 최대 치료기간은 109.4주였다. 3 %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을 표 1에 나타내었고, 위약과 비교하여 이 약의 치료 동안 보고된 실험실적 검사수치 이상을 표 2에 요약하였다. <표 1> 이 약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3 % 이상 보고된 치료 관련 이상반응(0 ~ 48주) 이 약 10 mg (n = 294) 위약 (n = 228) 무력증 13 % 14 % 두통 9 % 10 % 복통 9 % 11 % 구역 5 % 8 % 위, 창자 내 가스 팽만 4 % 4 % 설사 3 % 4 % 소화불량 3 % 2 % <표 2> 이 약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1 % 이상 보고된 실험실적 검사수치 이상 이 약 10 mg 위약 (n = 294) (n = 228) ALT (> 5×ULN) 혈뇨 (≥ 3+) AST (> 5×ULN) 크레아틴키나아제 (> 4×ULN) 아밀라제 (> 2×ULN) 당뇨 (≥ 3+) 20 % 11 % 8 % 7 % 4 % 1 % 41 % 10 % 23 % 7 % 4 % 3 % * ULN = Upper limit of normal 이 임상 시험에서 실험실적 수치 이상이 이 약 치료군 및 위약군에서 비슷한 빈도로 발생하였으나, 간 아미노전달효소의 상승은 위약군에서 더 자주 발생하였다. 2) 이 약을 연장 투여한 아래 두 공개임상시험에서, 크레아티닌의 증가가 이상반응으로 나타났다. HBeAg 음성 환자 125명에게 연장 투여했을 때(최대 226주간) 혈청 크레아티닌이 초기값보다 최소 0.5 mg/dL 증가한 피험자는 4명이었고 증가된 혈청 크레아틴 농도로 인해서 1명이 시험을 중단하였다. HBeAg 양성 환자 65명에서 연장 투여했을 때(최대 234주간) 혈청 크레아티닌이 초기값보다 최소 0.5 mg/dL 증가한 피험자는 6명이었고 증가된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로 인해서 2명이 시험을 중단하였다. 3) 정상 신기능을 가진 환자 가운데 초기보다 혈청 크레아티닌이 0.3 mg/dL 이상 상승된 환자는 48주까지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4 %에서 그리고 위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2 %에서 관찰되었다. 48주까지 초기보다 혈청 크레아티닌이 0.5 mg/dL 이상 상승된 환자는 없었다. Kaplan-Meier estimate에 의해 볼 때, 96주까지 이 약 치료 환자의 10 % 및 2 %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이 각각 ≥ 0.3 mg/dL 및 0.5 mg/dL 상승되었다(48주 이후부터의 위약 대조시험 결과는 없다). 492명 가운데 혈청 크레아티닌이 초기보다 ≥ 0.3 mg/dL 상승된 29명 가운데 20명은 치료를 지속하여 회복되었고(초기보다 ≤ 0.2 mg/dL), 8명은 변화가 없었으며 1명은 치료를 중단한 후 회복되었다. 4) 임상시험에서의 이상반응 보고에 추가하여 이 약의 시판 후 사용시 아래와 같은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알려지지 않은 환자수로부터 자발적으로 보고된 것이므로 발생 확률을 산정할 수 없다. 5)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5. 일반적 주의 1) 이 약의 최적 치료기간 및 치료반응과 간세포종양 또는 비대상성 간경화와 같은 장기적인 결과 간의 상관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2) 이 약이 기계조작 및 운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된 바 없으나 이 약의 약리작용에 근거했을 때 이러한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 3) 신독성이 있는 약물 또는 이 약과 같은 신장 물질전달체(유기음이온운반체1, hOAT1)를 이용하여 배설되는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4) 임상적 내성 아데포비어디피복실에 대한 내성은 바이러스 부하 반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B형 간염의 악화를 일으킬 수 있고, 간기능이 약화된 상태에서는 간의 대상부전을 야기하고 치명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1) 아데포비어는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기능을 감소시키는 약물 또는 양성 세뇨관 분비에 대해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약물과 이 약을 병용투여 할 때 아데포비어 또는 병용투여되는 약물의 혈청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2) 라미부딘과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테노포비르를 제외하고는 신장으로 배설되는 약물이나 신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과 이 약을 병용투여 하였을 때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된 바 없다. 3) 이 약은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라미부딘의 약물동태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4) 신장으로 배설되는 약물 또는 신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기타 약물과 이 약을 병용 투여할 때 이상반응에 대해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하여야 한다. 5) 이부프로펜 800 mg을 1일 3회 투여하였을 때 아데포비어의 AUC는 약 23 %, Cmax는 약 33 %가 증가되었다. 이들 증가는 이 약의 신 클리어런스의 감소보다는 생물학적 이용률이 더 높아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아데포비어 노출 증가의 임상적 유의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6) 아데포비어는 일반적으로 CYP-450 효소를 저해하지 않지만 아데포비어가 CYP-450 효소를 유도할 가능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7) 사이클로스포린 및 타크로리무스 농도에 대한 아데포비어의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다. 8) 이 약과 라미부딘 100 mg을 병용투여했을때 각 약물의 약물동태 양상을 변화시키지는 않았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2) 진통 및 분만 3) 수유부 4) 가임 여성 8. 소아 및 청소년에 대한 투여 소아 및 청소년(18세 미만)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1) 65세 이상의 환자들이 이 약에 대해 젊은 환자들과 다르게 반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실시되지는 않았다. 일반적으로 병발 질환 또는 기타 약물 치료로 인해 신기능 또는 심기능이 감소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고령자에게 이 약을 투여할 때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고령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1) 만성 HBV 감염 치료 권장 용량의 25 ~ 50배에 해당하는 용량인 아데포비어디피복실 250 mg 및 500 mg을 1일 1회 14일간 HIV 양성인 피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경증 ~ 중등도의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발생하였다. 2) 과량투여 발생시에는 독성 증상과 관련하여 환자를 모니터링해야 하며, 필요시 표준 보조 치료법을 실시한다. 아데포비어는 혈액투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아데포비어의 체중-교정 혈액투석 청소율의 중앙값은 104 mL/min이다. 이 약 10 mg을 1회 투여한 후 4시간의 혈액 투석시 아데포비어의 약 35 %가 제거되었다. 복막 투석에 의한 아데포비어의 제거는 연구되지 않았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12. 기타 1) 동물에서의 독성 2) 발암성 3) 유전독성 4) 생식독성
국내 시판 후 조사기간 동안 발생한 예상하지 못한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0.94 %(39명/4,158명, 61건)이었으며, 간신생물 0.17 %(7명/4,158명, 7건), 가래 증가 0.12 %(5명/4,158명, 5건), 간경변증, 정맥류 0.10 %(4명/4,158명, 4건) 등 이었다.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유해사례인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0.22 %(9명/4,158명, 17건)이었으며, 피로 0.07 %(3명/4,158명, 3건), 적혈구이상 0.02 %(1명/4,158명, 2건), 고질소혈증, 단백뇨, 내성, 배뇨곤란, 요도질환, 비장비대, 복수, 골수기능억제, 골수과다형성, 국소피부반응, 가래 증가, 황달 각각 0.02 %(1명/4,158명, 1건)로 보고되었다.
6.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