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활화한탄바이러스(바이러스주:ROK 84/105), 분량 : 0.25, 단위 : 밀리리터,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접종 전에 피접종자에 대해서 문진 및 시진에 의해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는 계속하여 접종 전에 청, 타진 등의 방법에 의해 건강상태를 조사, 피접종자가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접종하지 아니한다. 단, 피접종자가 신증후출혈열에 감염될 우려가 있으나 접종에 의해 현저한 장애를 초래할 우려가 없다고 인정될 때는 접종해도 좋다. 1) 발열이 있거나 현저한 영양장애자 2) 심장혈관계질환, 신장질환 또는 간장질환자로서 급성기 혹은 증악기, 활동기에 있는 자 3) 이 약 또는 이 약의 성분에 과민한 사람 4) 근육 내 주사를 맞아서는 안 되는 혈소판 감소증 또는 기타 응고장애가 있는 자 5) 접종 전 1년 이내에 경련증상을 나타낸 적이 있는 자 6) 임부 또는 수유부 7) 기타 예방접종을 시행하기에 부적당한 상태에 있는 자 2. 약물이상반응 1) 국소발적, 종창, 동통, 소양증, 색소침착 등 또는 전신반응으로서 발열, 근육통, 관절통, 오한, 오심, 두통, 현기증, 권태감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통상 2~3일 중에 소실된다. 2) 이 약은 치메로살(유기수은제제)을 함유하고 있어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3) 만19세 이상 만75세 미만의 신증후출혈열 고위험군 226명을 대상으로 기초접종 2회(0, 1개월), 추가접종(3차 접종) 1회 후 이 약의 안전성을 평가하였을 때 나타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백신 접종 후, 226명의 시험대상자 중에서 154명(68.14%)에서 이상사례가 발생하였으며, 그 중 121명(53.54%)이 이 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N=226 증례수(발현율, %) 발현건수 국소 주사부위 통증 104(46.02) 191 홍반/발적 23(10.18) 30 부종 12(5.31) 14 합계 108(47.79) 235 전신 근육통 40(17.70) 57 권태감 22(9.73) 29 두통 14(6.19) 16 관절통 11(4.87) 14 현기증 9(3.98) 11 오한 11(4.87) 12 발열 1(0.44) 1 오심 4(1.77) 4 합계 55(24.34) 144 4) 만19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320명을 대상으로 기초접종 3회(0, 1, 2개월), 추가접종(4차 접종) 1회 후 안전성을 평가했을 때 나타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320명의 시험대상자 중에서 260명(81.25%)에서 이상사례가 발생하였으며, 그 중 약물이상반응은 217명(67.81%)에서 발생하였다. 분류 (N=320) 증례수(발현율, %) 총 누적 발현건수 국소, 전신 합계 217(67.81) 1443 국소 국소 합계 205(64.06) 935 주사부위 통증 184(57.50) 359 압통 171(53.44) 343 홍반/발적 49(15.31) 67 경결/부종 42(13.13) 61 두드러기 10(3.13) 12 가려움증 65(20.31) 93 전신 전신 합계 148(46.25) 508 발열 4(1.25) 4 피로/권태 75(23.44) 127 오한/떨림 24(7.50) 26 두통 39(12.19) 50 근육통 112(35.00) 184 관절염(통) 9(2.81) 12 식욕감소/부진 13(4.06) 16 설사 12(3.75) 13 구토 5(1.56) 6 변비 2(0.63) 2 복통 15(4.69) 15 점막피부반응/발진 11(3.44) 12 혈관미주신경실신 1(0.31) 1 현기증 19(5.94) 21 기침 7(2.19) 7 급성기관연축 0(0.00) 0 호흡곤란 1(0.31) 1 과민성 9(2.81) 11 3. 일반적 주의 1)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이 약을 접종 받은 모든 피접종자가 면역·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신증후출혈열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예방 수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2) 피접종자 또는 그 보호자에게 접종 당일 및 다음날은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접종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며 접종 후 고열,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신속히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주지시킨다. 4. 적용상의 주의 1) 별도의 멸균된 주사기 및 주사침을 사용하여 접종한다. 2) 용기마개 및 그 주위를 에탄올로 소독한 후 주사침을 꽂고 투여량을 주사기 내로 취한다. 이 조작시 균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마개를 떼어버리거나 다른 용기에 옮겨 사용치 않도록 한다. 3) 접종부위는 통상 상완외측으로 하고 에탄올 또는 포비돈요오드 액으로 소독한다. 동일 접종부위에 반복하여 접종하는 것은 가능한 한 피한다. 4) 주사침 끝이 혈관내로 들어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5) 주사침은 피접종자마다 1회용을 사용하도록 한다. 5.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잘못하여 동결되면 품질이 변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2) 냉장고에서 꺼내 실온으로 한 다음 잘 흔들어 균등하게 하여 사용한다. 3) 한번 개봉한 것은 즉시 사용한다. 4) 보관시 바이알이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광하여 보관한다. 6. 기타 만19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이 약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다기관, 공개, 비비교, 제3상 임상시험(기초접종 : 0, 1, 2개월/추가접종 : 13개월)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각 시점별 한탄바이러스 중화항체 양전율(PP군)은 ‘기초접종(2차 접종) 후 28일 째’ 48.61%(140/288명), ‘기초접종(3차 접종) 후 28일 째’ 80.97%(234/289명), ‘기초접종(3 차 접종) 후 11개월 째’ 10.73%(31/289명), ‘추가접종(4차 접종) 후 28일 째’에 67.47%(195/289명), ‘추가접종(4차 접종) 후 2개월 째’에 71.72%(142/198명), ‘추가접종(4차 접종) 후 4개월 째’에 73.10%(106/145명)였다. 추가 접종(4차 접종) 후 12개월, 24개월, 36개월, 48개월, 60개월 째에 중화항체 양전 증례수는 각각 63명, 45명, 33명, 20명, 20명이었다. 측정시기 증례수(양전율, %) 전체 증례수(n) GMT* 기초접종(2차 접종) 후 28일 째 140(48.61) 288 8.63 기초접종(3차 접종) 후 28일 째 234(80.97) 289 29.22 기초접종(3차 접종) 후 11개월 째 31(10.73) 289 2.98 추가접종(4차 접종) 후 28일 째 195(67.47) 289 13.72 추가접종(4차 접종) 후 2 개월 째 142(71.72) 198 11.83 추가접종(4차 접종) 후 4 개월 째 106(73.10) 145 10.05 GMT*: 항체역가 기하평균(geometric mean antibody titer)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