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근엑스산, 분량 : 1.69, 단위 : 그램, 규격 : 생규, 성분정보 : 갈근으로서 3.75 g, 비고 :
마황엑스산, 분량 : 0.40, 단위 : 그램, 규격 : 생규, 성분정보 : 마황으로서 2.50 g, 비고 :
작약엑스산, 분량 : 0.51, 단위 : 그램, 규격 : 생규, 성분정보 : 작약으로서 1.88 g, 비고 :
계지엑스산, 분량 : 0.04, 단위 : 그램, 규격 : 생규, 성분정보 : 계지로서 1.25 g, 비고 :
감초엑스산, 분량 : 0.27, 단위 : 그램, 규격 : 생규, 성분정보 : 감초로서 1.00 g, 비고 :
생강엑스산, 분량 : 0.03, 단위 : 그램, 규격 : 생규, 성분정보 : 생강으로서 0.50 g, 비고 :
대추엑스산, 분량 : 0.34, 단위 : 그램, 규격 : 생규, 성분정보 : 대추로서 0.67 g, 비고 :
1) 염증성 열이 있는 자, 임산부, 허약하고 양기가 성한 자 2) 이 약은 유당(젖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젖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2.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1) 병후의 쇠약기, 현저하게 체력이 쇠약해진 환자(부작용이 쉽게 나타나고 그 증상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2) 현저하게 위장이 허약한 환자(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3) 식욕부진, 구역, 구토의 증상이 있는 환자(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4) 발한(땀이 남)경향이 현저한 환자(발한과다, 전신무력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순환기 장애가 있는 환자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6) 중증(삼한 증상) 고혈압 환자 7) 중증(삼한 증상) 신장애 환자 8) 배뇨(소변을 눔)장애 환자 9)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10) 소아 영양 장애 11) 담연자 12) 혈압이 높은 환자 또는 고령자(노인) 13) 심장 또는 신장(콩팥)에 장애가 있는 환자 14) 부종(부기)이 있는 환자 15)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16) 당뇨병 환자 3.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1) 위알도스테론증 : 1일 최대 복용량이 감초로서 1g이상인 제제는 장기 연용(계속 복용(사용))할 경우 저칼륨혈증, 혈압상승, 나트륨 체액의 저류(고임, 쌓임), 부종(부기), 체중증가 등의 위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혈청칼륨치의 측정 등)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칼륨제 투여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근병증(근육병증) : 저칼륨혈증의 결과로 근병증(근육병증)이 나타나는 일이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무력감, 사지경련·마비 등의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칼륨제 투여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간기능장애, 황달 : AST, ALT, ALP, r-GTP등의 상승을 동반한 간기능장애, 황달이 나타날 수 잇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과민증 : 발진, 발적(충혈되어 붉어짐), 가려움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투여를 중지한다. 5) 자율신경계 : 불면, 발한(땀이 남)과다, 빈뇨, 심계항진, 전신무력감, 정신흥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소화기 :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7) 비뇨기 : 배뇨(소변을 눔)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기타 이 약의 복용 시 주의할 사항 1) 이 약의 사용에 있어 환자의 증을 고려하여 투여하며, 정해진 용법, 용량을 잘 지킨다. 2) 이 약을 복용함으로써 뇨량이 감소하거나 얼굴이나 손발이 붓거나 눈꺼풀이 무겁거나 손이 굳어지거나, 혈압이 오르거나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복용을 중지하고 약사 또는 의사와 상담 한다. 3) 수일간 복용하여도 증상이 개선이 없을 때에는 복용을 중지하고 약사 또는 의사와 상담한다. 4) 장기간 계속해서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기간 계속해서 복용할 때에는 약사 또는 의사와 상담한다. 5) 다른 한약(생약)제제 등과 병용(함께 복용(사용)) 투여할 경우 함유 생약의 중복에 주의해야 한다. 1) 생약함유제제, 마황 또는 에페드린 함유제제, MAO저해제, 갑상선제제(치록신, liohtyonine), 카테클아민제제(에피네프린, 이소푸레날린), 크산틴계체제(테오필린, 드로필린, 디프로필린)과 병용(함께 복용(사용))투여시 불면, 발한(땀이 남)과다, 빈뇨, 심계항진, 전신무력감, 정신혼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감량(줄임)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2) 칼륨함유제제, 감초함유제제 및 글리시리진산 혹은 그 염류 함유제제, 루프계이뇨제(푸루세미드, 에타크린산) 또는 치아지드계 이뇨계(트리클로르메치아지드)와 병용(함께 복용(사용))투여시 위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나기 쉬우며, 저칼륨혈증으로 인하여 근병증(근육병증)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임신중에 투여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적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노인)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감량(줄임)하는 등 주의한다. 9. 저장상의 주의사항 1) 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직사일광을 피하고 되도록이면 습기가 적고 시원한 곳에 밀봉하여 보관할 것 (사용후 반드시 밀폐보관할 것) 3)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오용(잘못 사용)에 의한 사고발생이나 품질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한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