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액, 분량 : 20.0, 단위 : 밀리리터, 규격 : KP, 성분정보 :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으로서 4그램, 비고 :
1) 클로르헥시딘제제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뇌, 척수, 귀(내이, 중이, 외이)(청각신경 또는 중추신경에 직접 사용할 경우 난청, 신경장애를 일으킬수 잇다.) 3) 질, 방광, 구강등의 점막면(쇽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 초기 증상으로는 구역, 불쾌감, 식은땀, 어지러움, 답답함, 호흡곤란, 발적등이 있다.) 4) 눈 5) 미란(짓무름), 화농이 있는 부위. 2. 다음 환자(부위)에는 신중히 투여 할 것. 1) 다른 약물에 과민증 환자. 2)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 및 그 병력 또는 가족력이 있는 환자. 3. 부작용 1) 쇽 : 드물게 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구역, 식은땀, 어지러움, 답답함, 호흡곤란, 발적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과민증 : 때때로 발진, 두드러기 등의 과민증상 및 고농도에서 자극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한다. 3) 분만직전의 외음부 주위(신생아의 눈등에 들어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정해진 용법 용량을 잘 지킨다. 2) 쇽 발현에 대비하여 사용시 클로르헥시딘제제에 대한 과민증의 병력, 약물과민체질 여부 등을 충분히 문진해야 한다. 3)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제제로 인해 쇽을 일으킨 환자 중 몇 명에서 혈청 중 클로르헥시딘에 특이적인 Ige 항체가 검출된 보고가 있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이 약은 임부에 대한 동물실험이나 임상실험이 전혀 실시되지 않았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또는 수유부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6. 적용상의 주의 1) 외용으로만 사용하며 경구투여 및 주사하지 않는다. 실수로 마신 경우 우유, 계란, 젤라틴 등을 이용하여 위세척 등을 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실수로 정맥주사한 경우 용혈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수혈한다. 2) 눈에 접촉시 각막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만약 들어갔을 경우에는 즉시 깨끗한 물로 잘 씻어 낸다. 3) 광범위하게 창상, 화상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특히 조산아, 신생아의 경우 전신 부작용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4) 광범위하게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증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주의 한다. 5) 혈청, 농 등의 유기물질은 이 약의 살균작용을 약화시키므로 이 때 사용하는 의료용구 등의 소독에 이 약을 사용하는 경우 이 약으로 용구를 충분히 씻어 낸 후 사용한다. 6) 비누류는 이 약의 살균작용을 약화시키므로 충분히 씻어 제거한 후 사용한다. 7) 이 약은 섬유, 헝겊(면, 거즈, 울, 레이온 등)에 흡착되므로 용액에 적셔서 사용 시 유효농도 이상이 아닐 경우 새로운 용액을 공급한다. 8) 식염수 등에 들어있는 음이온에 의하여 난용성염을 생성하므로 희석하는 경우에는 깨끗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창상부위의 투여 시 희석 액 조제 후 반드시 멸균 처리한다. 10) 손의 세정 등에 사용하는 희석액은 적어도 매일 새로운 용액으로 한다. 7. 저장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직사일광을 피하고 될 수 있으면 습기가 적고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3) 오용을 막고 품질의 보존을 위하여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지 않는다. 4) 이 약의 활성과 안전성을 위한 적정 pH는 5~7이다. pH가 8이상이면 이 약은 염기가 되어 결정을 형성한다. 5) 희석수용액은 안정하나 고온에 장시가 보관하지 않는다.(고압증기멸균을 행하는 경우 115℃ 30분, 121℃ 20분, 126℃ 15분으로 처리한다.) 살균하지 않은 희석 액은 만든 즉시 사용하여 잔여분은 버린다. 6) 희석수용액은 조제 즉시 사용해야 하지만 부득이 하게 소독용 면봉 등에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희석수 용액에 알코올 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에탄올의 경우 7%이상, 이소프로필알코올의 경우 4%이상이 되도록 추가한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