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유두종바이러스 6형 L1 단백질, 분량 : 20, 단위 : 마이크로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유전자재조합,숙주:Saccharomyces cerevisiae, 벡터:pGAL110 효모 발현 벡터)
인유두종바이러스 11형 L1 단백질, 분량 : 40, 단위 : 마이크로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유전자재조합,숙주:Saccharomyces cerevisiae, 벡터:pGAL110 효모 발현 벡터)
인유두종바이러스 16형 L1 단백질, 분량 : 40, 단위 : 마이크로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유전자재조합,숙주:Saccharomyces cerevisiae, 벡터:pGAL110 효모 발현 벡터)
인유두종바이러스 18형 L1 단백질, 분량 : 20, 단위 : 마이크로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유전자재조합,숙주:Saccharomyces cerevisiae, 벡터:pGAL110 효모 발현 벡터)
1. 접종일정 이 백신은 다음의 접종 일정에 따라 1회 0.5 mL씩 3회 근육주사한다. - 1차접종: 방문일 - 2차접종: 1차 접종으로부터 2개월 후 - 3차접종: 1차 접종으로부터 6개월 후 피접종자는 가능한 0개월(최초접종일), 2개월, 6개월의 접종 일정을 따르도록 한다. 다만, 이 백신의 임상 시험에서 1년 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마친 경우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접종일정의 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2차 접종은 1차 접종일로부터 최소 1개월 후, 3차 접종은 2차 접종일로부터 최소 3개월 이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1년 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완료해야 한다. 만 9~13세의 경우, 2회 접종 일정(0, 6개월)으로 접종할 수 있다. 이 백신으로 1차 접종받은 피접종자의 경우, 전체 접종 일정을 이 백신으로 완료하는 것이 권장된다. 추가 접종(booster dose)의 필요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2. 접종방법 이 백신은 상완의 삼각근 또는 대퇴부 전외측 상부에 근육주사한다. 정맥주사해서는 안된다. 피하 및 피내주사에 대해서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백신 접종 후 특히 청소년 및 젊은 성인들에서 의식 소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백신 접종 후에도 의식 소실(일부 넘어짐을 동반함)이 보고된 바 있다. 의식 소실 후 넘어짐은 때때로 외상 등의 이차적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백신 접종 후 15분간 피접종자를 면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프리필드시린지는 1회용으로 1명 이상에게 재사용해서는 안된다. 이 백신은 희석 또는 사용시 용해(reconstitution)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공된 그대로 권장용량 전량을 사용한다. 사용 직전 충분히 흔들어 백신이 균일하게 혼화되도록 하며 이때의 백신은 백탁의 액체이다. 비경구 투여제는 반드시 투여 전 이물이나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만약 이물이 있거나 변색이 관찰되면 폐기한다. 주사기 내 전량을 접종한다.
만 9~26세 여성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에 의한 다음 질병의 예방: - 인유두종바이러스 16, 18형에 의한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 인유두종바이러스 6, 11형에 의한 생식기 사마귀(첨형콘딜로마) 및, 인유두종바이러스(HPV) 6, 11, 16, 18형에 의한 다음의 전암성 또는 이형성 병변의 예방: - 자궁경부 상피내 선암(Adenocarcinoma in situ, AIS) -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1기, 2기 및 3기 - 외음부 상피내 종양(Vulvar intraepithelial neoplasia, VIN) 2기 및 3기 - 질 상피내 종양(Vaginal intraepithelial neoplasia, VaIN) 2기 및 3기 - 항문 상피내 종양(An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IN) 1기, 2기 및 3기 2. 남성 만 9~26세 남성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다음 질병의 예방 - 인유두종바이러스 16, 18형에 의한 항문암 - 인유두종바이러스 6, 11형에 의한 생식기 사마귀(첨형콘딜로마)및, 인유두종바이러스(HPV) 6, 11, 16, 18형에 의한 다음의 전암성 또는 이형성 병변의 예방: - 항문 상피내 종양(Anal intraepithelial neoplasia, AIN) 1기, 2기 및 3기
이 백신 또는 이 백신의 성분에 과민한 사람 (이 백신 접종 후 과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추가 접종하지 않는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현재 또는 최근 열성 질환이 있는 자 (증상의 중증도와 병인에 따라 백신접종을 계속 진행할 것인지, 보류할 것인지 결정 한다. 일반적으로 미열 및 경증의 상기도 감염은 백신접종의 금기사항이 아니다.) 2) 저혈소판증이나 기타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환자 (이 백신 근육 주사시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하여야 한다.) 3. 이상사례 1)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약물이상반응 이상사례 (접종 후 1~5일간) 이 백신 투여군 (N=6,995) % AAHS** 포함 위약군 (N=5,372) % 식염수 위약군 (N=320) % 주사부위 통증 81.5 70.6 48.6 종창 23.5 14.2 7.3 홍반 21.9 15.6 12.1 가려움증 2.7 2.3 0.6 혈종 2.9 2.8 1.6 이상사례 (접종 후 1~15일간) 이 백신 투여군 (N=6,995) % 위약군 (N=5,692) % 전신 두통 20.5 20.3 발열 10.1 8.7 구역 3.7 3.4 어지러움 2.9 2.7 사지 통증 1.5 1.0 * 백신 투여군에서 1.0%이상이고 위약 투여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나타낸 백신 관련 이상사례 ** 수산화알루미늄비결정인산황산염(amorphous aluminum hydroxyphosphate sulfate) 이상사례 (접종 후 1~5일간) 이 백신 투여군 (N=3,093) % AAHS** 포함 위약군 (N=2,029) % 식염수 위약군 (N=274) % 주사부위 통증 61.4 50.8 41.6 홍반 16.7 14.1 14.5 종창 13.9 9.6 8.2 혈종 1.0 0.3 3.3 이상사례 (접종 후 1~15일간) 이 백신 투여군 (N=3,093) % 위약군 (N=2,303) % 전신 두통 7.5 6.7 발열 6.3 5.1 * 백신 투여군에서 1.0%이상이고 위약 투여군에 비해 높은 발현율을 나타낸 백신 관련 이상사례 ** 수산화알루미늄비결정인산황산염(amorphous aluminum hydroxyphosphate sulfate) 2) 시판 후 이상사례 ● 감염 및 체내침입: 연조직염 ● 혈액·림프계: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병, 림프절병증 ● 신경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어지러움, Guillain-Barré 증후군, 두통, 의식소실 (강직성-간대성 움직임 및 기타 발작 유사 반응을 수반하는 의식소실을 포함) ● 위장관계: 구역, 구토 ● 근골격계·결합조직: 관절통, 근육통 ● 주사부위·전신: 무력증, 오한, 피로, 권태감 ● 면역계: 아나필락시스 또는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을 포함하는 과민반응, 기관지경련, 두드러기 3) 전신적 자가면역 질환 잠재적 자가면역질환 백신투여군 (N = 12,613) 위약* (N = 11,314) n (%) n (%) 관절통/관절염/관절질환**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만성소화장애 (coeliac disease)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결절성 홍반 갑상선항진증*** 갑상선저하증† 염증성 장질환‡ 다발성 경화증 신장염¶ 시신경염 색소침착§ 건선# 레이노드 현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피부경화증/국소경피증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전신 홍반 루푸스 포도막염 149 (1.2) 4 (0.0) 10 (0.1) 2 (0.0) 3 (0.0) 33 (0.3) 51 (0.4) 10 (0.1) 2 (0.0) 2 (0.0) 2 (0.0) 5 (0.0) 13 (0.1) 3 (0.0) 9 (0.1) 3 (0.0) 1 (0.0) 1 (0.0) 3 (0.0) 129 (1.1) 1 (0.0) 6 (0.1) 2 (0.0) 4 (0.0) 28 (0.2) 63 (0.6) 10 (0.1) 5 (0.0) 5 (0.0) 0 (0.0) 3 (0.0) 15 (0.1) 4 (0.0) 4 (0.0) 1 (0.0) 0 (0.0) 3 (0.0) 1 (0.0) 전체 307 (2.4) 284 (2.5) * 위약 내 알루미늄 포함 여부와 관계없음 ** 관절통/관절염/관절질환은 다음을 포함한다: 관절통,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관절질환 *** 갑상선항진증은 다음을 포함한다: 바세도병(Basedow's disease), 갑상선종, 중독성 결절성 갑상선종, 갑상선항진증 † 갑상선저하증은 다음을 포함한다: 갑상선저하증, 갑상선염 ‡ 염증성장질환은 다음을 포함한다: 궤양성대장염, 크론씨병, 염증성장질환 ¶ 신장염은 다음을 포함한다: 신장염, 국소사구체신염, 진행성사구체신염 § 색소침착은 다음을 포함한다: 색소침착, 피부 색소탈색, 백반증 # 건선은 다음을 포함한다: 건선, 농포성 건선, 건선성 관절병증 §§ 류마티스성관절염은 소아의 류마티스성관절염을 포함한다. N = 해당군 피험자 수 n = 새로운 의학 상태가 나타난 피험자 수 ※ 한 피험자가 둘 이상의 새로운 의학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일한 범주 안에서는 한번으로 집계되고 다른 범주에서는 다시 집계될 수 있음 잠재적 자가면역질환 백신투여군 (N = 3,093) AAHS 포함 위약군* 또는 식염수 위약군 (N = 2,303) n (%) n (%) 원형탈모 강직성 척수염 관절통/관절염/반응 관절염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증 Type I 당뇨 갑상선항진증 갑상선저하증** 염증성 장질환*** 심근염 단백뇨 건선 백반 1 (0.0) 1 (0.0) 30 (1.0) 1 (0.0) 3 (0.1) 0 (0.0) 3 (0.1) 0 (0.0) 1 (0.0) 1 (0.0) 0 (0.0) 2 (0.1) 0 (0.0) 2 (0.1) 17 (0.7) 0 (0.0) 2 (0.1) 1 (0.0) 0 (0.0) 2 (0.1) 1 (0.0) 0 (0.0) 2 (0.1) 5 (0.2) 전체 43 (1.4) 32 (1.4) * 수산화알루미늄비결정인산황산염(amorphous aluminum hydroxyphosphate sulfate) ** 갑상선저하증은 다음을 포함한다: 갑상선저하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 염증성장질환은 다음을 포함한다: 궤양성대장염, 크론씨병 N = 해당군 피험자 수 n = 새로운 의학 상태가 나타난 피험자 수 ※ 한 피험자가 둘 이상의 새로운 의학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일한 범주 안에서는 한번으로 집계되고 다른 범주에서는 다시 집계될 수 있음 4)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에서 진행된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이 백신을 1회 이상 투여 받은 189,629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후 14일 및 60일 내에 월경장애(질출혈, 월경과다, 무월경, 월경통 포함), 질염, 가슴통증의 위험 때문에 응급실에 가거나 입원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백신 투여 후 0일에서 14일 및 60일 내의 각 이상사례 위험성을 백신 투여 후 91일에서 180일 동안의 자가 비교 기간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표 5). 표5. 추적기간에 따른 생식기능 장애(여성) 발현율 및 상대위험도 이상사례명* 1-14일 1-60일 자가 비교 기간 상대위험도 (95% 신뢰구간) n (건수) Rate** n (건수) Rate** n (건수) Rate** 접종 후 1-14일 접종 후 1-60일 생식기능 장애(여성) 월경장애 (질출혈, 월경과다, 무월경, 월경통 포함) 22 1.65 121 2.12 102 1.79 0.92 (0.58, 1.47) 1.19 (0.91, 1.55) 질염 (골반내 장기의 염증 성 질환 포함) 7 0.53 46 0.81 41 0.72 0.73 (0.33, 1.63) 1.12 (0.74, 1.71) 가슴통증 (nonmalignant breast conditions 포함) 3 0.23 14 0.25 22 0.39 0.64 (0.19, 2.16) 0.64 (0.33, 1.24) * Protocol 031 안전성 연구 분석 분류명 및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HCUP)" 코드명 ** 1000명-년당 발현율 5)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1) 국내에서 6년 동안 3,4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① 이상사례 발현율은 11.82%(411명/3,478명, 734건)이었고, 이 중 본제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9.34%(325명/3,478명, 615건)로, 주사부위 통증 8.11%(282명/3,478명, 469건), 주사부위 가려움증 0.75%(26명/3,478명, 31건), 주사부위 종창 0.46%(16명/3,478명, 19건), 주사부위 홍반 0.40%(14명/3,478명, 20건), 발열 0.37%(13명/3,478명, 16건), 어지러움 0.20%(7명/3,478명, 9건), 사지통증 0.14%(5명/3,478명, 6건), 구역 0.14%(5명/3,478명, 5건), 주사부위 출혈 0.12%(4명/3,478명, 7건), 상기도감염, 근육통, 두드러기 각 0.09%(3명/3,478명, 3건), 피로 0.06%(2명/3,478명, 4건), 주사부위 열감, 인두염, 구토, 두통, 가려움증 각 0.06%(2명/3,478명, 2건), 졸림 0.03%(1명/3,478명, 3건), 주사부위 경화 0.03%(1명/3,478명, 2건), 주사부위 불편감, 통증, 무력증, 질염, 과민반응 각 0.03%(1명/3,478명, 1건)이었다. 중대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03%(1명/3,478명, 1건)로, 급성 신우신염 0.03%(1명/3,478명, 1건)이 보고되었다. 이 중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②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1.70%(59명/3,478명, 77건)로, 상기도감염 0.29%(10명/3,478명, 10건), 질염 0.20%(7명/3,478명, 7건), 복통 0.14%(5명/3,478명, 5건), 비인두염 0.12%(4명/3,478명, 4건), 인두염, 칸디다성외음질염, 설사, 장염 각 0.09%(3명/3,478명, 3건), 방광염, 소화불량, 가려움증, 여드름, 주사부위 열감, 알레르기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각 0.06%(2명/3,478명, 2건), 졸림 0.03%(1명/3,478명, 3건), 주사부위 경화 0.03%(1명/3,478명, 2건), 자궁경부염, 급성 신우신염, 비염, 기관지염, 하복부통증, 아토피피부염, 접촉성피부염, 주사부위 불편감, 통증, 가슴통증, 기침, 입인두통증, 월경통, 불규칙월경, 자궁출혈, 질출혈, 타박상, 인대염좌, 빈혈, 경부통증 각 0.03%(1명/3,478명, 1건)로 보고되었다.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0.35%(12명/3,478명, 17건)로, 상기도감염 0.09%(3명/3,478명, 3건), 인두염, 가려움증, 주사부위 열감 0.06%(2명/3,478명, 2건), 졸림 0.03%(1명/3,478명, 3건), 주사부위 경화 0.03%(1명/3,478명, 2건), 질염, 주사부위 불편감, 통증 각 0.03%(1명/3,478명, 1건)이었다.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03%(1명/3,478명, 1건)로, 급성 신우신염 0.03%(1명/3,478명, 1건)이었다. 이 중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③ 이 약에 대한 국내 재심사 이상사례 및 자발적 부작용 보고자료를 국내 시판 허가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보고자료와 재심사 종료시점에서 통합 평가한 결과, 다른 모든 의약품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에 비해 이 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중 추가로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 결과가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 물집발진, 생식기소양증 ●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 감각이상, 근육경직, 마비, 운동감소증, 목경직 ● 일반적 심혈관 질환 : 일시적 쇼크 ● 호흡기계 질환 : 인두염 ● 생식기능 장애(여성) : 월경장애, 질출혈, 월경과다, 질염, 무월경, 월경통, 가슴통증 ● 전신적 질환 : 말초부종 ● 투여부위 장애 : 주사부위덩어리, 주사부위출혈 (2) 국내에서 추가로 4년 동안 6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① 이상사례 발현율은 15.13%(100명/661명, 167건)이었고, 이 중 본 제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9.83%(65명/661명, 116건)이며, 주사부위 통증 6.2%(41명/661명, 57건), 주사부위 반응 1.36%(9명/661명, 10건), 주사부위 가려움증, 어지러움이 각각 0.91%(6명/661명, 6건), 주사부위 홍반 0.45%(3명/661명, 3건), 근육통 0.30%(2명/661명, 3건), 주사부위 열감, 발열, 주사부위 멍, 두통이 각각 0.3%(2명/661명, 2건), 주사부위 불편감, 소화불량이 각각 0.15%(1명/661명, 2건), 피로, 통증, 오한, 주사부위 운동장애, 주사부위 종창, 주사부위 물집, 주사부위 농포, 복통, 설사, 구역, 구토, 사지통증, 전신 가려움증, 가려움증, 두드러기, 콧물, 비충혈, 기침, 젖은기침이 각각 0.15%(1명/661명, 1건)가 보고되었다. 중대한 이상사례 및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②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1.51%(10명/661명, 15건)이었고, 콧물, 주사부위 멍이 각각 0.3%(2명/661명, 2건), 비충혈 0.15%(1명/661명, 2건), 위장염, 주사부위 농포, 중이염, 치주염, 주사부위 물집, 젖은기침, 재채기, 입술수포, 샅부위통증이 각각 0.15%(1명/661명, 1건)이 보고되었다. 이 중 본 제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0.61%(4명/661명, 7건)이었고, 주사부위 멍 0.3%(2명/661명, 2건), 주사부위의 농포, 주사부위 물집, 콧물, 비충혈, 젖은기침이 각각 0.15%(1명/661명, 1건)이 보고되었다.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및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③ 이 약에 대한 국내 재심사 이상사례 및 자발적 부작용 보고자료를 국내 시판 허가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보고자료와 재심사 종료시점에서 통합평가한 결과, 다른 모든 의약품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에 비해 이 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중 새로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 결과가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를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근골격계 : 근위약 ● 신경계 : 경련 ● 전신 및 투여 부위 이상 : 주사부위멍듦, 창백 4. 일반적 주의 1)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이 백신을 접종받은 모든 피접종자가 면역∙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2) 이 백신은 진행 중인 외부 생식기 병변,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CIN), 외음부 상피내 종양(VIN), 질 상피내 종양(VaIN), 항문 상피내 종양(AIN)의 치료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3) 이 백신은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에 의한 것이 아닌 질병은 예방하지 않으며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HPV 유형에 의한 질병에 대해서도 예방하지 않는다. 4) 다른 주사용 백신과 마찬가지로 백신 투여 후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 적절한 치료가 즉시 이루어져야 한다. 5) 면역억제제의 사용, 유전적 결함, 사람 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또는 기타의 원인에 의해 면역 반응에 이상이 있는 경우 백신 접종에 의한 항체 반응이 감소될 수 있다(사용상의 주의사항 5. 상호작용 참조). 6) HIV 감염자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 면역원성 및 유효성은 평가된 바 없다. 1) 임상 시험 결과 이 백신은 B형 간염 재조합백신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단, 각각 다른 부위에 주사할 것). 2) 임상 시험에 참여했던 만 16~26세 여성 피험자 중 일부가 진통제(11.9%), 소염제(9.5%), 항생제(6.9%) 및 비타민제(4.3%)를 복용하였다. 임상시험에 참여했던 만 24~45세 여성 피험자 중 일부가 진통제(30.6%), 소염제(20.2%), 항생제(11.6%) 및 비타민제(7.5%)를 복용하였다. 또한 임상 시험에 참여했던 만 16~26세 남성 피험자 중 일부가 진통제(10.3%), 소염제(7.8%), 항생제(6.8%), 항히스타민제(3.4%) 및 비타민제(2.6%)를 복용하였다. 위 약물과의 병용이 이 백신의 유효성, 면역원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임상 시험에서 이 백신을 투여받은 만 16~45세의 여성 중 50.2% 가 호르몬성 피임제를 복용하였다. 호르몬성 피임제는 이 백신의 면역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4) 임상 시험에 참여한 만 16~26세 여성 피험자 중 일부가 흡입(1.7%(n=158)), 국소(0.6%(n=56)) 및 비경구(1.0%(n=89)) 면역억제제를 이 백신 접종 전후에 투여받고 있었다. 또한 임상시험에 참여한 만 24~45세 여성 피험자 중 1.4% (n=27) 가 전신적 목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이 백신 접종 전후에 투여받고 있었다. 또한 임상시험에 참여한 만 16~26세 남성 피험자 중 1.0% (n=21) 가 전신적 목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이 백신 접종 전후에 투여받고 있었다. 위 약물들은 이 백신의 면역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임상 시험에서 매우 적은 수의 피험자가 스테로이드를 복용하였고 그 면역 억제 반응의 정도가 낮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5) 이 백신과 강력한 면역억제제를 병용투여한 자료는 없다. 면역 억제 요법(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대사제, 알킬화제 및 세포독성제의 전신투여)을 받고 있는 경우 백신 접종에 대해 최적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4. 일반적 주의 참조).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동물 실험에서 이 백신을 투여 시 수태, 배∙태자의 발달, 분만 또는 분만 후 발달에 직접 및 간접 유해 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백신을 수태한 랫트에 1회 또는 다회 근육주사했을 때 HPV 6, 11, 16 및 18형에 대한 특이적 항체 반응이 유도되었고, 해당 HPV에 대한 각 항체는 수태 및 수유 중에 태자에게로 이행되었다. 2) 이 백신에 의해 유도된 백신 항원 또는 항체가 유즙으로 이행되는지에 대해서 알려진 바 없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만 45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은 수행된 바 없다. 9. 과량투여 이 백신을 권장량보다 과량으로 투여한 경우 보고된 이상사례 양상은 이 백신의 권장량을 투여했을 때 이상사례 양상과 동등하였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이 백신은 냉장상태에서 꺼낸 후 가능한 빨리 투여한다. 냉장고에서 꺼내 실온(25℃ 이하)에서 72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 3) 이 백신은 1회 용량 멸균주사제이다.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5. 상호작용
1) 약리작용 정보 (1) 작용기전 2) 임상시험 정보 (1) 16~26세 여아 및 여성에서 HPV 6, 11, 16, 18형에 대한 백신의 유효성 및 유용성 (2) 만 24 ~ 45세 여성에서의 유효성, 유용성(effectiveness) 및 면역원성 평가변수 백신 투여군 위약 투여군 % 유효성 (95% CI) n 발생건수 n 발생건수 PPE (Per-Protocol Efficacy)* HPV 6, 11, 16, 18 형 관련 CIN (모든 단계), 지속성 감염 또는 외음부 병변 1,601 10** 1,599 86 88.7 (78.1, 94.8) 만 24 ~ 34 세 785 5 790 56 91.3 (78.4, 97.3) 만 35 ~ 45 세 816 5 809 30 83.8 (57.9, 95.1) HPV 16, 18 형 관련 CIN (모든 단계), 지속성 감염 또는 외음부 병변 1,587 8 1,571 51 84.7 (67.5, 93.7) 만 24 ~ 34 세 777 5 772 35 86.0 (64.0, 95.7) 만 35 ~ 45 세 810 3 799 16 81.8 (36.3, 96.6) HN-RT (Naïve to the Relevant-HPV-type population)*** HPV 6, 11, 16, 18 형 관련 CIN (모든 단계), 지속성 감염 또는 외음부 병변 1,841 27 1,833 130 79.9 (69.4, 87.3) 만 24 ~ 34 세 914 15 920 90 83.7 (71.7, 91.3) 만 35 ~ 45 세 927 12 913 40 71.3 (44.1, 86.3) HPV 16, 18 형 관련 CIN (모든 단계), 지속성 감염 또는 외음부 병변 1,823 19 1,803 85 78.3 (64.0, 87.5) 만 24 ~ 34 세 904 13 901 60 78.7 (60.7, 89.2) 만 35 ~ 45 세 919 6 902 25 77.0 (42.6, 92.3) FAS (Full Analysis Set)† HPV 6, 11, 16, 18 형 관련 CIN (모든 단계), 지속성 감염 또는 외음부 병변 1,886 116 1,883 214 47.2 (33.5, 58.2) 만 24 ~ 34 세 937 75 944 134 44.1 (25.3, 58.5) 만 35 ~ 45 세 949 41 939 80 51.2 (28.0, 67.3) HPV 16, 18 형 관련 CIN (모든 단계), 지속성 감염 또는 외음부 병변 1,886 95 1,883 160 41.6 (24.3, 55.2) 만 24 ~ 34 세 937 60 944 100 39.6 (16.0, 56.9) 만 35 ~ 45 세 949 35 939 60 43.9 (13.4, 64.1) * 계획서 순응군(PPE)은 피험자 등록 후 1년 이내에 백신 또는 위약을 3회 접종받고 시험 계획서 상의 중대한 위반이 없으며 첫 번째 접종 전 및 3차 접종 1개월 후(최초 접종 후 7개월) 모두에서 이 백신에 포함된 각 HPV 유형에 대해 PCR 및 혈청학적 결과가 음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군을 말함. ** PPE 군에서 1 건의 CIN 2(HPV 16형, 51형 확인됨)이 발생하였음. 이 CIN 2 는 첫 접종 후 18 개월에 수행한 생검에서 HPV 16 형 및 51 형에 양성인 것으로 나타남. 나머지 9 건은 지속성 감염이었음. *** HN-RT(Naïve to the Relevant-HPV-type population)군은 최소 1회 이상 백신 또는 위약을 투여받은 피험자 중에서 첫 번째 투여 전, 이 백신에 포함된 각 HPV 유형에 대한 혈청학적 분석 및 PCR 결과 음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군을 말하며 투여 첫 날부터 평가변수에 대한 결과를 집계 † FAS(Full Analysis Set)군은 최소 1회 이상 백신 또는 위약을 투여받은 모든 피험자로서 1일째에서의 HPV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백신을 접종받은 모든 피험자를 포함하여 분석하는 대상군을 말하며 투여 첫 날부터 평가변수에 대한 결과를 집계 CI = 신뢰구간 피험자군 측정시기 n2) % 항체양전 (95% CI) GMT (95% CI) mMU/mL3) 항-HPV 6 만 24~34세 여성 만 35~45세 여성 7개월째 48개월째 7개월째 48개월째 605 536 644 616 98.7 (97.4, 99.4) 86.2 (83.0, 89.0) 98.1 (96.8, 99.0) 85.1 (82.0, 87.8) 437.4 (401.2, 476.8) 59.6 (54.5, 65.2) 397.3 (365.4, 431.9) 62.0 (57.1, 67.4) 항-HPV 11 만 24~34세 여성 만 35~45세 여성 7개월째 48개월째 7개월째 48개월째 605 536 644 616 98.5 (97.2, 99.3) 93.8 (91.5, 95.7) 97.7 (96.2, 98.7) 90.4 (87.8, 92.6) 595.1 (548.3, 646.0) 69.7 (63.9, 76.0) 512.8 (473.6, 555.2) 62.7 (57.8, 68.0) 항-HPV 16 만 24~34세 여성 만 35~45세 여성 7개월째 48개월째 7개월째 48개월째 612 544 657 628 99.5 (98.6, 99.9) 97.8 (96.2, 98.9) 98.2 (96.8, 99.1) 97.0 (95.3, 98.2) 2334.2 (2148.4, 2536.1) 213.4 (194.1, 234.5) 2129.5 (1965.7, 2307.1) 192.8 (176.5, 210.5) 항-HPV 18 만 24~34세 여성 만 35~45세 여성 7개월째 48개월째 7개월째 48개월째 708 625 722 688 98.3 (97.1, 99.1) 50.7 (46.7, 54.7) 96.4 (94.8, 97.6) 45.3 (41.6, 49.2) 393.1 (360.6, 428.7) 25.3 (22.8, 28.1) 324.6 (298.0, 353.6) 21.2 (19.2, 23.4) 1) 계획서 순응군(PPI)은 정해진 기간 중에 백신 또는 위약을 3회 모두 접종받고 시험계획서상의 중대한 위반이 없으며 6개월과 7개월의 방문 사이에 설정된 간격 기준을 만족하고 백신 접종 전부터 7개월까지 이 백신에 포함된 각 HPV 유형에 대하여 음성(PCR 음성 및 혈청음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군을 말함. 2) n = 분석에 포함된 피험자 수 3) mMU = milli-Merck units (3) 만 16~26세의 남성과 성관계를 가지는 남성(MSM, Men having Sex with Men)에 대한 하위연구에서의 HPV 6, 11, 16, 18로 인한 항문 질병 예방의 유효성 및 유용성(effectiveness) HPV 6, 11, 16, 18형 관련 평가변수 백신 투여군 AAHS 포함 위약군3) % 유효성 (95% CI2)) n1) 발생건수 n 발생건수 AIN 1/2/3 194 5 208 24 77.5 (39.6, 93.3) AIN 2/3 194 3 208 13 74.9 (8.8, 95.4) AIN 1 194 4 208 16 73.0 (16.3, 93.4) 1) n = 접종 7개월 후 최소 1회 이상 방문한 피험자 수 2) CI = 신뢰구간 3) AAHS = 수산화알루미늄비결정인산황산염(amorphous aluminum hydroxyphosphate sulfate) (4) 청소년에서 이 백신의 장기 유용성(effectiveness) (5) 백신 면역 반응의 지속성 12. 기타 1) 기타 유발 가능한 질병 (Disease Burden) 2)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