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이에스주사액(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18F)액)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에프이에스주사액(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18F)액)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에프이에스주사액(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18F)액)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에프이에스주사액(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18F)액) FS injection (fluoroestradiol (18F) solution)
이미지
FS injection (fluoroestradiol (18F) solution)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fluoroestradiol(18F) 370 ~2960MBq

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 (18F) 액, 분량 : 370-2,960, 단위 : 메가베크렐,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제조시 방사선량 : 10 ~ 80 mCi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에탄올, 주사용수, 무수인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1907716
표준코드
8806841001440, 8806841001402, 8806841001419, 8806841001426, 8806841001433, 8806841001457, 8806841001464, 8806841001471, 8806841001488, 8806841001495, 8806841001518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
성상
무색 투명한 액이 무색 투명한 바이알에 든 주사제
허가일자
2019년 11월 04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684100140
원 /
ATC코드
V09IX11 fluoroestradiol (18F) 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18F )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04310]방사성 의약품
주성분코드
697101BIJ
포장단위
1.0mL, 1.5mL, 2.0mL, 2.5mL, 3.0mL, 3.5mL, 4.0mL, 4.5mL, 5.0mL, 5.5mL, 6.0mL, 6.5mL, 7.0mL, 7.5mL, 8.0mL, 8.5mL, 9.0mL
저장방법
납으로 차폐된 밀봉용기 : 원자력법령에 의함, 15 - 30℃ 보관
유효기간
제조시간으로부터 6시간 (제조일시 및 제조시의 방사선량은 제조 시 표기)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이 약의 영상은 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18F)을 이용한 PET 영상 해석을 말하며 이것은 오직 훈련된 판독 전문가가 해석해야 한다. 이 약을 포함한 방사성의약품은 방사성핵종 사용을 허가해주는 권한을 가진 관련 정부 기관에 의해 승인된 적격한 교육 및 경험(방사성핵종(radionuclides)의 안전한 사용 및 취급에 대한 경험)이 있는 의사에 의해서만, 또는 해당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되어야 한다.

투여량 및 투여방법

이 약은 성인에서 111~222MBq(3~6mCi)에 해당하는 양을 1~2분에 걸쳐 단회 정맥주사한다. 최대 투여 주입량은 5mL이다. 최대 용량(maximum mass dose)은 1.1㎍이다.

이 약에 대한 최적 투여 속도는 확립되지 않았다.

이 약의 혈관 외 유출(extravasation)을 피하기 위해서 반드시 정맥내로 주사해야 한다.

최종 투여환자(제조시간으로부터 장시간 경과한 약을 투여 받는)에 대한 투여량은 적절한 감쇠상수를 사용하여 합성 후 시간(End of synthesis, EOS)으로부터 계산되어야 하며 투여 전에 적당한 방사능 검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되어야 한다.

영상 획득 및 영상 해석

이 약을 정맥주사하고 약 90분 이후 약 15분의 PET 영상획득시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은 정상적인 생리적 섭취 정도를 고려하여, 주변 정상 배경조직과 비교해 모호하지 않은 섭취증가를 보일 경우 양성 병소로 간주한다. 모호하지 않은 섭취 증가란, 종격동의 혈액풀과 비교하여 같거나 높은 섭취 증가를 의미한다.

위음성과 위양성을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 추정의 영상 판독 오류가 있을 수 있다(사용상 주의사항 4.일반적 주의 6)항 및 13.전문가를 위한 정보 2)임상시험 정보항 참조).

영상 해석에 도움을 주기 위한 섭취 정도의 정량적 평가는 효능을 확립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다.

<예시 영상>

플루오린(18F)의 반감기 : 110분

분(minutes)

잔존분율

0

1.000

15

0.909

30

0.826

60

0.683

110

0.500

220

0.250

440

0.060


♦ 용법.용량


다음 경우의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에 사용한다.

성인에서 유방암의 재발 또는 전이가 알려져 있거나 의심되는 병소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의 평가에 도움을 주기 위한 영상(PET) 확인


♦주의사항(일반)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임부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 할 것

1) 간장애 및 신장애 환자

간장애 및 신장애 환자에서 방사선 노출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진단적 이익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투여하여야 한다. 18F 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은 주로 간담도계로 배출되며 간장애 환자에서 잠재적으로 방사선 노출이 증가될 위험이 있다.

2) 이 약은 7.5%(v/v)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간부전 환자 및 간질 환자 투여시 주의해야 한다.

3) 아황산수소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아황산 아나필락시와 같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일부 감수성 환자에서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 또는 이보다 약한 천식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 사람에서의 아황산 감수성에 대한 총괄적인 빈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낮은 것으로 보이며 아황산 감수성은 비천식환자보다 천식환자에서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상반응

이 약의 안전성은 재발 또는 전이성 유방암 성인 환자(90명) 대상 공개, 단회투여, 판독자 눈가림 3상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었다. 이 약 평균 투여량은 209.98±10.80MBq(5.46±0.29mCi)으로 1~2분 동안 정맥투여하였다.

이 약 투여 후 이상반응은 17%(15/90명)에서 보고되었으며 시술 관련 통증이 10%(9/90명)에서, 오심이 3.3%(3/90명)에서 보고되었으며 이외 어지러움, 두통, 주사부위통증, 피부자극,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이 각 1명에서 보고되었다. 이 중 약물이상반응은 주사부위통증으로 1%(1/90명)에서 보고되었으며 경증이었고 회복되었다.

4. 일반적 주의

1) 진단의 유익성이 방사선 피폭에 의한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하고 투여량은 최소한도로 한다.

2) 이 약의 투여 전 환자는 금식은 필요없으나, 좋은 영상을 얻고 방광에 대한 흡수선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 약을 정맥 투여 한 후 처음 수 시간 동안은 물을 마시고 자주 방광을 비울 수 있도록 한다.

3) 방사성의약품의 투여는 전리방사선, 소변, 구토물, 침의 오염으로 주변사람에게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는 주입 후 24시간 동안 소아와 임부에 접촉이 제한되어야 한다.

4) 방사성의약품은 방사성 핵종의 사용 및 취급에 대한 허가가 있는 사람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성의약품의 수령, 보관, 사용, 이동과 폐기 등은 관련법규 또는 규정에 따른다.

5) 전리방사선에 노출되면 암 및 유전적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핵의학적 진단적 사용 방사능량은 대부분 20mSv 이하로 적으며 이상반응은 드물다. 치료용량의 방사능을 사용하면 암과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6) 영상판독 시 주의사항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이 약의 PET 영상을 사용하는 동안 영상판독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전이 또는 재발이 의심되는 유방암 병소의 [18F]FES PET/CT 영상 소견이 음성 (negative) 인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18F]FES PET/CT 영상에서 음성 병소는 1)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의 전이 또는 재발성 병소이거나, 2) 기능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의 전이 또는 재발성 병소, 또는 3) 유방암인 아닌 다른 질병의 병소 일 수 있으므로 추가 검사나 추척 관찰 등이 권장된다. 의심되는 병소의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포함하여 임상적 평가가 함께 권장된다.

선택적 에스트로겐 호르몬 조절제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예: Tamoxifen등)]나 에스트로겐 수용체 하향조절제 (예: Fulvestrant등)를 투여 받은 경우 [18F]FES 섭취를 낮출 수 있으므로 판독시 주의가 필요하다(5.약물상호작용항 참조).

7) 이 약의 운전 및 기계 조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5. 약물 상호작용

이 약에 대한 약물 상호작용은 평가된 바 없다. 선택적 에스트로겐 호르몬 조절제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예: Tamoxifen등)]나 에스트로겐 수용체 하향조절제 (예: Fulvestrant등)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6.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 동물을 이용한 생식발생독성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 약이 임부에 투여되었을 때 태아에게 유해할 것인지 혹은 생식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이 약은 유익성이 태아에 대한 유해성을 상회할 경우에만 투여되어야 한다.

2) 수유부 : 이 약이 모유로 분비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많은 약들이 모유로 분비되며 수유 중인 유아에게 이 약으로 인한 방사선 노출 위험 때문에, 수유부에서의 사용을 피하거나 이 약에 노출 후 24 시간([18F]F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방사성 붕괴 반감기의 10배 이상)동안 일시적으로 수유를 중단하고 수유 제한기간 중 유축한 모유는 폐기하도록 한다. 주입 후 24시간 동안 유아와의 접촉이 제한되어야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여 신중히 투여한다.

9. 간장애 및 신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간장애 및 신장애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이 약의 과량 투여의 임상결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 약의 과량 투여시 환자에게 흡수된 방사선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분공급 및 잦은 배뇨, 배변을 권장하여 방사성 핵종의 배설을 증가하도록 한다. 환자에게서 제거된 방사능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가능할 경우 환자에서 유효선량을 측정한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은 정맥주사용으로만 사용한다(용법용량 참조).

2) 이 약을 다루고 투여하는 과정은 모든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무균조작으로 실시해야 한다. 각각의 바이알은 멸균상태여야 한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이 약을 다룰 때는 효율적인 차폐 등을 통한 적절한 안전을 통해 환자, 이를 다루는 근로자, 작업자 및 다른 사람에게 방사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위험을 최소화한다. 방사성 핵종의 사용 및 취급허가가 있는 사람만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성의약품의 수령, 보관, 사용, 이동과 폐기 등은 관련 법규 또는 규정에 따른다.

2) 다인용 포장에 대한 용법 주의

(1) 다인용 바이알 용기이므로 주사침 및 주사기는 피접종자마다 반드시 바꾸어 사용한다.

(2) 용기의 마개 및 그 주위를 에탄올로 소독한 후 주사침을 찔러 소요량을 주사기내에 흡인한다. 이 조작시 잡균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마개를 벗기거나 다른 용기에 옮겨 사용해서는 안된다.

13. 기타

1) 환자 상담 정보

① 방광에 대한 방사선 흡수선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약을 정맥 투여하기 전후 수시간 동안은 자주 방광을 비울 수 있도록 수분섭취를 늘리고, 투여 후 첫 24시간 동안 배뇨를 자주 하도록 지시한다.

② 환자 자신과 주변사람들에 대한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는 이 약을 투여 후 12시간 동안 수세식 화장실의 변기를 이용하여 배뇨하며, 배뇨한 후에는 여러 번 물을 내리도록 하고, 소변이나 대변을 본 후에는 철저히 손을 씻어 방사성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만약에 혈액, 소변, 대변으로 옷이 오염되는 경우에는 분리하여 세척하도록 한다.

♦주의사항(전문가)



14.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 및 약동학적 정보

이 약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는 물질로 PET 영상 추적자(PET imaging tracer)이다. 이 약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종양 마우스 모델에 종양 부위에서 높은 섭취를 확인하였다(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종양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0.2mCi/0.2mL 주사 후 120분간 micro PET 영상 획득 결과 표준섭취계수(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3.7). 진단을 위하여 투여되는 [18F]FES의 화학적 농도(FES)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18F]FES는 다른 스테로이드 의약품과 유사하게 간에 가장 높은 섭취를 보인다. 대사과정은 간을 통해 이루어지며, 두 가지의 대사체로서 에스트론(estrone) 및 하이드록시 에스트론(hydroxy estrone)이 형성된다.

2) 임상시험 정보

재발 또는 전이성 유방암 성인 환자 총 90명을 대상으로 공개, 단회투여, 판독자 눈가림 3상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환자들은 이 약 111~222MBq 용량(실제 투여량 평균 201.98±10.80MBq)으로 1~2분에 걸쳐 단회 정맥투여 받았다. 정맥 투여 후 0.9% 생리식염수 10mL로 관류(flushign)하였고 PET/CT 검사 전 충분한 물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이 약 투여 후 90분째 14~16분 동안 영상을 획득하였다.

환자 연령 중앙값은 만 54.1세(범위 31~75세)였으며 모두 여성이었다.

이 약의 유효성 분석은 면역조직화학염색 검사 측정이 가능한 8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평가는 3명의 독립된 평가자가 눈가림으로 수행되었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면역조직화학염색 검사 결과와 비교 시 이 약의 PET/CT 검사 결과의 민감도(양성 일치도) 및 특이도(음성 일치도)였다.

이 약으로 PET/CT 검사 시 주변 정상 배경조직과 비교해 모호하지 않은 섭취 증가를 보일 경우 양성 병소로 고려하였으며 이 때 모호하지 않은 섭취 증가는 종격동의 혈액풀과 비교하여 같거나 높은 섭취 증가를 의미하였다.

시험 결과 면역조직화학염색검사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은 47명, 음성은 38명이었으며, 이 약의 PET/CT 검사 결과 진단 민감도(양성 일치도)는 76.60%(95% CI 61.97, 87.70), 진단 특이도(음성 일치도)는 100.00%(95% CI 90.75, 100.00)이었다.

3) 기타

방사능 선량 측정결과

흡수된 방사능 용량 계산은 MIRD(Medical Internal Radioation Dos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Mankoff et al. J Nucl Med 2001; 42: 679-684).

기관

평균 흡수선량(mGy/MBq)

(성인 70kg)

기관

평균 흡수선량(mGy/MBq)

(성인 70kg)

부신

0.023

난소

0.018

0.010

췌장

0.023

가슴

0.009

적색골수

0.013

담낭벽

0.102

골원성세포

0.014

하부대장벽

0.012

피부

0.005

소장

0.027

비장

0.015

위장벽

0.014

고환

0.012

상부대장벽

0.030

흉선

0.014

심장벽

0.026

갑상선

0.012

신장

0.035

방광벽

0.050

0.126

자궁

0.039

0.017

안구

0.009

근육

0.021

유효선량

0.022 mSv/MBq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임부금기

성분코드 / 성분명
697101BIJ / fluoroestradiol(18F)
금기등급 / 급여구분
2 등급  / 비급여
고시번호 / 고시일자
20220049 / 2022-06-30에프이에스주사액(플루오로에스트라디올(18F)액)
비고
.임부에 대한 안전성 미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