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 분량 : 0.02,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 분량 : 0.02,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점안 후 남은 액과 용기는 바로 버린다. (1회용에 한함)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3. 이상반응 기관 이상반응 안과계 결막충혈(22.8%), 각막 두꺼워짐(6.7%) 5%미만 : 황반부종, 안통, 낭포황반변성, 눈부심, 앞방 세포, 홍채염(앞방 발적), 망막박리, 결막부종, 눈 자극, 눈 가려움증, 각막후면침착물, 눈 불쾌감, 점상각막염, 시야흐림, 조절장애, 각막장애, 안검홍반, 눈 분비물, 속눈썹의 성장, 시력저하 빈도불명 : 안구건조감 감염 전신 및 투여 부위 이상 혈액 4. 일반적 주의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8. 소아에 대한 투여 9. 과량투여시의 처치 10. 적용상의 주의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5%미만 : 급성부비동염, 결막염 5%미만 : 투여 부위 자극감 5%미만 : 백혈구수 증가 신경계 빈도불명 : 두통
5. 상호작용
1) 약리작용 이 약의 안압 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은 선택적 EP2 수용체 자극에 의한 섬유주대 경로와 포도막공막 경로를 통한 방수 배출 촉진이다. 2) 약동학 정보 ① 혈장농도 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 0.0025%를 14명의 건강한 성인 자원자의 양쪽 눈에 7일간, 1일 1회, 1회 1방울 점안했을 때 약동학적 변수(오미데네팍)는, 1일째 Tmax, T1/2, Cmax 및 AUCinf는 각각 약 0.17h, 약 0.45h, 약 34pg/mL 및 약 22pg·h/mL이었고, 7일째 Tmax, T1/2, Cmax 및 AUCinf는 각각 0.25h, 약 0.51h, 약 35pg/mL 및 약 22pg·h/mL이었다. 전체 측정일(반복점안 1일째, 3일째 및 7일째)에서 투여 전, 투여 후 4시간 후에는 오미데네팍 농도는 최저정량한계(<1.00pg/mL)를 나타냈으며, 혈장 중 오미데네팍은 투여 후 빠르게 소실되었다. ② 동물에서 안구 조직 분포 14C-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 0.03% 약제를 원숭이 양쪽 눈에 1회 점안시, 15분에서 4시간 사이에 안구조직 농도가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특히 각막, 결막 및 섬유주대에서 높은 농도로 분포하였다. 이 조직들에서 점안 후 15분에 최고 농도에 도달한 후 소실되었다. ③ 추정 대사 및 소실 경로 동물시험자료(in vivo) 및 생체외시험(in vitro) 대사시험에서 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은 생체내 카르복실에스테라아제에 의해 오미데네팍으로 가수분해되고, N-탈알킬화체에 의해 M28로 대사 후 일산화반응 또는 N-탈알킬화 반응에 의하여 M18, M26으로 대사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④ 다회용과 1회용의 비교시험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또는 고안압 환자 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에서 이 약의 다회용과 1회용 제제 4주 투여 후 두 군 간의 일중 평균 안압 차이는 –0.02±0.81mmHg로 나타나 두 제제가 동등함을 입증하였다. 3) 임상시험 정보 ① 활성대조약 라타노프로스트점안액 0.005% 를 사용한 비교연구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또는 고안압 환자 1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4주까지 안압 변화량(평균값±표준편차)은 -5.96±2.45mmHg으로 나타났으며, 이 약과 라타노프로스트 0.005%의 비열등성이 입증되었다. 이 약 (N=94) 대조약 (N=95) 일중 평균 기저치 안압 23.78±1.73 23.40±1.51 4주 후의 일중 평균 안압 17.81±2.41 16.96±2.24 기저치 안압에서 4주 후의 일중 평균 안압(IOP) 변화량 -5.96±2.45 -6.45±2.01 투여군 간 4주차 일중 평균 안압(IOP) 차이 (시험약에서 대조약 값의 차이) 0.63 95% 신뢰구간 0.01-1.26 ② 장기 안전성 연구 이 약 투여 후 2주차부터 기저치 대비 유의한 안압감소가 관찰되었고 그 감소는 최대 52주차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라타노프로스트점안액 0.005% 에서 이 약으로 전환한 제 3상 연구 라타노프로스트점안액 0.005%를 8주간 투여 후 효과가 불충분한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또는 고안압증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이 약을 4주간 양안 점안 하였을 때 전환 전 기저치 23.12±2.80mmHg에서 이 약으로 전환 후 4주차에 20.13±3.83mmHg으로 유의한 안압 감소(-2.99±0.43mmHg)를 나타냈다. 4) 독성시험 정보 ① 발암성 시험 이 약은 점안 후 전신 노출 가능성이 낮으므로, 이 약의 발암성에 대한 동물에서의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② 유전독성 시험 이 약은 In vitro 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유전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랫드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모든 군에서 소핵 유발 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③ 생식발생독성 시험 랫드를 이용한 수태능 및 초기배 발생에 관한 시험에서 1mg/kg까지 암수의 수태능 및 임신 15일까지의 초기 배 발생에서 이 약의 투여와 관련된 변화가 없었으나, 1mg/kg에서 모체동물에서 연변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무독성량은 암수 동물에 대해서는 0.1mg/kg/일, 수태능 및 초기배에 대해서는 1mg/kg/일로 관찰되었다. 토끼의 생식발생독성 시험에서 0.8 mg/kg/일 용량(임상용량의 40,000배)로 피하투여 시 생존 배태자 수와 생존율이 감소되었고, 배자/태자 사망 및 착상 후 소실이 증가하였다. 무독성량은 0.08mg/kg/일로 관찰되었고, 이 때 혈장 중 오미데네팍 농도는 Cmax가 6.92ng/mL, AUC0-8h가 25.5ng·h/mL이었다. 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 0.002%을 인체에 양안 점안한 때의 오미데네팍 농도는 Cmax가 약 28.3pg/mL, 1일당 AUC가 약 17.9pg·h/mL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토끼에게 무독성량의 전신 노출은 인체 점안과 비교시 Cmax기준으로 약 245배, 1일당 AUC 기준으로 1,425배 높았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