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성 과립구성 백혈병 경감유도 : 1일 0.06㎎/㎏(1일 최대용량 : 4㎎을 1회에 투여할 수 있다.) 백혈구수가 20-25,000/㎣ 이하로 감소하거나 혈소판수가 100,000㎡이하로 감소하기 전에 투여를 중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치료 중지 후에도 일정 기간동안 계속 떨어지므로 비가역적 골수부전이 야기될 위험이 상당히 크다. 혈구수는 유도기 동안 최소한 매주 측정해야 하며 용량은 3주 후의 반응이 부적합한 경우에만 증량한다. 유지요법 : 사용량은 1일 0.5-2㎎이나 각 개인의 요구량은 적을 수 있다. 본 치료는 백혈구수를 10-15,000/㎣로 유지하는 것이며 혈구수는 최소한 4주마다 측정한다. - 진성 다혈구 혈증 및 진성 혈소판 혈증 경감유도 : 1일 4-6㎎이나 매우 세심한 혈액학적 조절이 필수적이다. 유지요법 : 경감 유도 용량의 약 1/2이나 정확한 용량은 각 개인에 따라 결정되며 연장치료가 필요하고 세심한 관찰과 빈번한 혈구수 측정이 요구된다. - 골수섬유증 : 상용량은 1일 2-4㎎이며 유지요법은 더 소량이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골수의 예민도가 크므로 매우 세심한 혈액학적 조절이 필요하다.
2. 주의 1) 지나친 골수 억제의 가능성과 비가역적 골수 형성부전의 위험성을 피하기 위해 혈구수 측정에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2) 주 부작용은 골수억제, 특히 혈소판 감소증으로 초기의 혈소판수가 낮은 경우와 치료기간중 그 수가 감소하는 경우에 특별한 주의를 해야 하고 혈소판수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자반이 나타나면 즉시 투여를 중지해야 한다. 3) 최근 방사선 치료중이거나 다른 세포독성 제제를 투여중인 환자는 투여해서는 안된다. 4) 과뇨산혈증이나 과뇨산증은 치료하기 전에 조정해야 하고 치료동안 과뇨산혈증과 뇨산신중의 위험을 적절한 예방법으로 막아야 한다. 5) 이 약 투여환자의 세포에서 다양한 염색체 이상이 인지되었으며 널리 확산된 상피형성장해가 보고되었다. 6) 이 약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몇 례의 악성종양이 이 약 투여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7) 폐경기전 환자에서 일반적으로 폐경기 증상을 나타내는 난소 억제와 무월경이 발생한다. 8) 이 약은 실험동물의 정자 형성을 방해하며 사람에서 불임증, 무정자증 및 고환위축의 임상보고가 있다. 3. 이상반응 1)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은 골수억제이다. 2) 피부반응 : 5-10%에서 과색소 침착이 발생하고 특히 검은 피부색에서 빈번하다. 3) 위장관계 : 드물게 오심, 구토, 설사가 나타날 수 있다. 4) 진행성 호흡곤란과 지속성 비생산적 기침을 수반하는 확산 폐섬유증은 보통 수년에 걸친 연장 치료후 드물게 발생한다. 또 매우 드물게 폐골화가 발생하고 부가적인 방사선요법은 이 약에 의한 준임상적 폐손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랜즈의 변화, 양쪽 눈의 백내장이 이 약 요법 중 보고되었다. 4. 보관 및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