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1) 소화성궤양 환자 2) 심한 혈액이상 환자 3) 심한 간장애 환자 4) 심한 신장애 환자 5)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소화성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3. 부작용 1) 과민증 : 때때로 발진 드물게 광과민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2) 소화기 : 때때로 구내염, 식욕부진, 구역, 구토, 위통, 설사, 구갈, 위부불 쾌감, 가슴쓰림, 변비, 입과 혀가 거칠어지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정신신경계 : 때때로 두통, 현기, 권태, 졸음 드물게 지각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대량투여에 의해 환각,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순환기 : 드물게 심계항진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소염진통제에 의한 치료는 원인요법이 아닌 대증요법임에 유의한다. 2) 급성질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3)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고 부작용의 발현에 유의한다. 4) 감염증을 불현성화할 우려가 있으므로 감염에 의한 염증에 대해 사용할 경 우에는 적절한 항균제를 병용하고 관찰을 충분히 하여 신중히 투여한다. 5) 다른 소염진통제와 병용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고령자 및 어린이에 있어서 필요한 최소량으로 신중히 투여하고 부작용의 발 현에 특히 유의한다. 5. 임부, 수유부, 어린이에 대한 투여 1) 임부,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수유부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투여한다. 2) 어린이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적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