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레스타트나트륨수화물, 분량 : 1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JP, 성분정보 : , 비고 :
이 약은 페손상 증상 발생 후 72시간 이내에 투여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용법 및 용량에 관련된 사용상의 주의 : 6. 적용상의 주의 항목 1, 2 참조).
이 약은 아래 1 및 2의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투여할 것. ① 체온>38℃ 또는 <36℃ ② 심박수>90회/분 ③ 호흡수>20회/분 또는 PaCO2<32mmHg ④ 백혈구수>12,000/㎕, <4,000/㎕ 또는 간상호중구>10% ① 폐기능 저하 (기계적인공호흡관리하에서 PaO2/FIO2 300mmHg 이하)가 인정된다. ② 흉부 X선 소견에서 양측성 침윤음영이 인정된다. ③ 폐동맥 쐐기압이 측정된 경우에는 폐동맥 쐐기압≦18mmHg,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좌심방압 상승의 임상소견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이상반응 시판 전 임상시험결과에서 580개의 예 중 93례(16.0%)의 이상반응이 인정되고, 주요 이상반응은 AST(GOT) 및 ALT(GPT)의 상승 등 간기능 이상이 49례(8.4%), 알칼리포스파타제의 상승이 36례(6.2%), 빌리루빈의 상승이 11례(1.9%), 백혈구 감소가 9례(1.6%), 호산구 증가가 7례(1.2%)였다. 시판 후 조사 및 시판 후 임상에서 1,030명 중 114명(11.1%)에서 실험실 검사치의 이상을 포함한 266개의 이상반응이 인정되었다. 주요 이상반응은 AST(GOT), ALT(GPT) 상승 등의 간기능 이상이 75례(7.3%), 알칼리포스파타제의 상승이 32례(3.1%), 빌리루빈 상승이 18례(1.7%), LDH 상승이 12례(1.2%)였다. 1) 중대한 이상반응 (1) 호흡곤란 호흡곤란(0.3%)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하게 처치한다. (2) 백혈구 감소, 혈소판감소 백혈구 감소(0.5%), 혈소판감소(빈도 불명)가 나타나기도 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하게 처치한다. (3) 간기능장해 및 황달 AST(GOT) 및 ALT(GPT)의 현저한 상승 등을 동반하는 간기능장해, 황달(빈도 불명)이 나타나기 때문에 관찰을 충분하게 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하게 처치한다. 2) 기타 이상반응 1~10% 미만 1% 미만 과민증 발진 등 간장 빌리루빈, AST(GOT), ALT(GPT), γ-GTP, 알칼리포스파타제의 상승 우로빌리노겐 양성, LDH 상승 혈액 호산구 증가, 혈소판 감소, 혈소판 증가, 빈혈, 출혈 경향 신장 BUN 상승, 크레이티닌 상승, 다뇨, 뇨단백 증가 그 외 고칼륨혈증, 총단백감소, 주사부위 정맥염 3.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일반적인 급성 폐손상의 치료법(호흡관리, 순환 혈액양의 보정, 항균제 등)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질환을 적절하게 치료 한다. 2) 장기 4개 이상의 다장기 손상을 합병하는 환자에 대한 유효성은 확립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를 보면서 치료상 유익성이 우선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투여한다. 또한 다장기 손상의 대상은 폐, 심장, 간장, 신장, 소화관출혈, 중추신경계, 혈액응고계였다. 3) 열상 및 외상을 수반하는 급성 폐손상 환자 및 고도의 만성호흡기 질환을 합병하는 환자에 대한 유효성은 확립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를 보면서 치료상의 유익성이 우선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투여한다. 4.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자는 생리적 기능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신중하게 투여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만 투여한다. 임신 중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2) 투여 중에는 수유를 피한다. 전임상시험에서 유즙으로 이행됨이 확인되었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저체중 출생아, 신생아, 영유아 또는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7.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은 폐손상 증상 발생 후 72시간 이내에 투여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맹검비교시험에서 폐손상개선도의 「중등도개선」이상은, 이 약의 투여개시가 폐손상 증상 발생 후 72시간이내 투여환자에서 72.5%(66/91예), 72시간 이후 투여환자에서는 54.5%(12/22예) 였다. 2) 증상에 따라 보다 단기간에 투여를 완료하는 것도 고려한다. 또한, 임상시험에서 이 약 투여 5일 후의 개선도가 낮은 경우에 그 이후의 개선도 (14일)도 낮게 나타났다. 이중맹검비교시험을 포함한 14일간 투여로 실시한 임상시험에 있어서, 투여 5일 후의 폐기능 개선도를 기준으로하여 투여 10일 후, 투여 14일 후의 「중등도개선」이상은 다음의 표와 같다. 투여 5일 후를 기준으로 한 폐기능 개선도 추이 5일 후 폐기능 개선도 10일 후 폐기능 개선도 (중등도 개선 이상) 14일 후 폐기능 개선도 (중등도 개선 이상) 분명 개선 100.0% (56/56예) 100.0% (56/56예) 중등도 개선 90.0% (36/40예) 90.0% (36/40예) 경도 개선 64.5% (20/31예) 80.6% (25/31예) 불변 27.8% (10/36예) 34.3% (12/35예) 악화 0.0% (0/12예) 0.0% (0/12예) 계 69.7% (122/175예) 74.1% (129/174예) 5일 후 불변 1례는 부작용으로 인해 중지되고, 14일 후에는 결측되었다. 3) 조제시 : 이 약을 수액에 녹여 조제할 때 아미노산 수액과의 혼합은 피한다. 또한, 칼슘을 함유하는 수액을 사용하는 경우(이 약의 농도가 2mg/mL 이상)와 수액으로 희석할 때 pH 6.0 이하가 되는 경우는 침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이 약과 여러 가지 수액과의 배합시험결과에서, 칼슘을 함유하는 수액과 혼합하여 조제할 때 이 약의 농도가 2mg/mL 이상에서 침전이 생길 수 있으므로 1mg/mL 이하로 조제한다. 또한 수액으로 희석하였을때 pH가 6.0 이하가 되는 경우에 침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아미노산 수액과 배합하였을때 주성분의 분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아미노산 수액과의 배합은 피한다. 생리식염주사액 및 포도당주사액 5%와 배합이 가능하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