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성인 1일 1회 1-2밀리리터(알프로스타딜로서 5-10마이크로그람)를 그대로 또는 수액에 혼합하여 서서히 정주, 또는 점적정주한다. 증상에 따라 적의 증감한다. 2.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의 경우 : 수액에 혼합하여 처음에 알프로스타딜 5ng/kg/분으로 지속정주하고, 이후 증상에 따라 적의증감하고 유효최소량으로 한다. 3.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에서의 조영능 개선의 경우 : 통상 성인에는 1회 1밀리리터(알프로스타딜로서 5마이크로그람)를 생리식염액 10밀리리터에 희석하고, 조영제 주입 30초 전에 3~5초간에 걸쳐 경 카테터로 상장간막동맥내에 투여한다. 4. 혈행 재건술후의 혈류유지의 경우 : 통상 성인에는 1일 1회 2밀리리터(알프로스타딜로서 10마이크로그람)를 수액에 혼합하여 점적정주한다.
2. 다음 질환에 있어서 피부궤양의 개선 : 진행성전신성경화증, 전신성홍반성낭창 3. 진동병에 있어서 말초혈행장해에 수반하는 자각증상의 개선 및 말초순환, 신경, 운동기능장해의 회복 4.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에서의 동맥관의 개존 5. 당뇨병에서의 피부궤양의 개선 6.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에서의 조영능의 개선 7. 혈행 재건술후의 혈류유지
1)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신생아)에 투여할 경우에는 이 약의 투여로 인한 무호흡발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호흡관리설비가 있는 시설에서 사용한다. 2)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 할 것.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중증의 심부전 환자(심부전의 증강이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2) 출혈(두개내 출혈, 소화관출혈, 객혈 등) 환자(출혈이 조장될 우려가 있다.) 3)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항 참조) 4) 이 약 및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5) 대두유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 6) 콩 또는 땅콩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심부전 환자(심부전의 증강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2) 녹내장, 안압상승이 있는 환자(안압이 상승될 우려가 있다.) 3) 위궤양의 합병증 및 병력이 있는 환자(병력이 있는 환자에게서 위출혈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4) 간질성 폐렴 환자(간질성 폐렴이 악화될 수 있다.) 5) 신부전 환자(신부전이 악화될 수 있다.) 6) 출혈경향이 있는 환자(출혈을 조장될 우려가 있다.) 7) 항응고약(와르파린 등) 또는 혈소판기능을 억제하는 약물(아스피린, 염산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등), 혈전용해제(유로키나제 등)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6. 상호작용’ 항 참조) 8)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에 사용할 경우, 중등도의 식도정맥류가 있는 환자(문맥압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9) 고지단백혈증, 당뇨병성고지질혈증 및 췌장염 등 지방대사 이상 환자 또는 지질성 유제를 신중히 투여해야 하는 환자 4. 이상반응 ○ 성인 대상질환 2)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 ○ 신생아 대상질환 1) 중대한 이상반응 2) 기타의 이상반응 빈도 분류 0.1~1% 미만 0.1% 미만 빈도불명 소화기 구역, 복통, 구토, 설사, 복부팽만감·불쾌감 식욕부진, 변비, 구강종창감 구내염(아프타성 포함) 순환기 혈압강하주), 혈관염, 안면홍조, 흉부교액감 발적, 흉통주),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주) 호흡기 기침, 호흡곤란, 천식주) 혈액 호산구증가 중추신경계 발열, 두통 어지러움, 권태감, 마비(감) 오한, 진전, 경련 피부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 발한 신장 신부전의 악화주) 주사부위 혈관통, 발적 경결, 가려움 출혈경향주) 출혈(비출혈, 안저출혈, 결막출혈, 피하출혈, 혈뇨 등) 기타 열감 사지동통(증강포함), 불쾌감, 부종, 시력저하, 탈모 저나트륨혈증, 사지종창 5. 일반적 주의 1) 만성동맥폐색증(버거씨병, 폐색성동맥경화증), 진행성전신성경화증, 전신성홍반성루푸스, 진동병, 당뇨병성 피부궤양 환자에 적용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2) 당뇨병성 피부궤양 환자에 적용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3)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에 적용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간경변이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조영능력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4)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 신생아에게 적용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5) 지방과부하로 특별한 위험이 예상되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할 때 혈장지질치를 점검할 것을 권장한다. 이 점검을 통해 지방의 체외배설이 불충분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이 약의 투여를 적절히 조절한다. 환자가 다른 정주용 지질제를 동시에 투여받고 있다면 이 약 중의 부형제로 혼재되어 있는 지질의 양을 고려하여 그 지질제의 투여량을 감소해야 한다. 이 약은 혈소판응집억제작용이 있기 때문에 항응고약(와르파린 등) 또는 혈소판기능을 억제하는 약제(아스피린, 염산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등), 혈전용해제(유로키나제 등)와 병용시 그 작용을 증강시킬 가능성이 있어 출혈경향의 상승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동물실험(랫트, in vitro)에서 자궁수축작용이 보고되었고, 사람에서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 이외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감량 등의 주의를 한다 10. 적용상의 주의 1) 투여시 2) 조제시 3) 앰플절단시 이 약의 용기는 one point cut 앰플이므로 표시점을 위로해서 아래방향으로 절단한다. 또한 앰플 절단시 이물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알콜솜 등으로 닦은 후 절단한다. 4) 폴리염화비닐제의 수액세트 등을 사용하는 경우, 가소제인 DEHP[di-(2-ethylhexyl) phthalate : 프탈산디-(2-에칠헥실)]가 제제중에 용출된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동맥관의존성 선천성 심질환의 신생아에게 투여하는 경우, 지속정맥주입으로 인해 DEHP의 총용출량이 증가되므로 폴리염화비닐제의 수액세트 등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