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협심증, 간경화증, 심근경색, 울혈성심부전 :디피리다몰로서 1회 25-50mg 1일 3회 식사 1시간전에 경구투여 한다. 2. 혈전 색전증 예방 : 이 약으로서 1회 75-100mg을 3-4회 투여한다. 3. 요단백감소 : 이 약으로서 1일 300mg을 3회 분할 투여한다. 투여시작후 4주간을 목표로 요단백량을 측정하여 요단백이 감소되지 않으면 투여를 중지하고 다른 처치를 한다. 요단백이 감소되어 계속 투여할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요단백을 측정한 후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2. 심장판막치환술후의 혈전.색전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의 보조요법 3. 다음 질환에 의한 요단백감소 : 스테로이드저항성신증후군
1) 이 약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중증의 관동맥심질환(불안정형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 환자 3) 대동맥판하협착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저혈압 환자 2) 심한 불안정성 협심증 또는 최근 심근경색이 있었던 환자 3) 혈류역학적 수치가 불안정한 환자(예, 대상기능장애성 심부전 환자) 4) 응고장애 환자 5) 좌심실 박출이 폐쇄된 환자 3. 부작용 1) 순환기계 : 때때로 어지러움, 열감, 심계항진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협심증 등 관상동맥 질환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드물게 빈맥, 혈압강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소화기계 : 때때로 구역, 구토, 식욕부진, 위장관 장애, 복통, 변비, 구갈, 설사, 드물게 복부 팽만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3) 과민증 : 때때로 피부발진, 두드러기, 심한 기관지경련, 혈관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4) 정신신경계 : 때때로 현기증, 흥분, 두통, 권태감, 드물게 마비감, 어깨결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기타 : 때때로 근육통, 위화감(違和感), 흉통, 드물게 발한, 이명, 홍조, 사지의 동통, 비출혈, 피하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포합되지 않은 디피리다몰이 담석에 섞여있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모두 담관염의 병력이 있고 디피리다몰을 다년간 복용한 노인 환자에서 나타난 사례이다. 2) 중증 근무력증 환자는 디피리다몰의 투여량을 변경한 경우 치료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3) 매우 드물게 수술중 또는 수술 후에 출혈경향의 증가가 보고되었다. 1) 이 약은 아데노신의 혈중농도 및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을 증가시키므로 병용투여시 아데노신의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2) 이 약과 항응혈제 또는 아세틸 살리실산을 병용투여할 때는 약물과민성 및 위험성에 대해 관찰해야 한다. 3) 이 약은 강압제의 저혈압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4) 이 약은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의 항콜린에스테라제 효과를 상쇄시켜서 중증 근무력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모유중으로의 이행이 보고되었으므로 수유중에는 투여를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한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주의한다. 8. 과량 투여시의 처치 1) 증상 : 열감, 홍조, 발한, 피로, 쇠약감, 현기증, 협심증 증상이 예상된다. 혈압강하와 빈맥이 관찰되었다. 2) 치료 : 대증요법이 권장되며 위세척을 고려해야 한다. 크산틴유도체(예, 아미노필린)는 이 약의 과량투여에 의한 혈류역학적 효과를 원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디피리다몰은 여러조직에 널리 분포하고 주로 간대사를 거치기 때문에 이 약의 제거 과정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