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재조합 인성장호르몬(소마트로핀), 분량 : 3,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9IU (벡터: pYLBC ADH/GAP hGH, 숙주: Saccharomyces cerevisiae 2150)
본 제품을 첨부된 용제로 현탁시 5mg/ml의 농도를 갖는 주사액이 되며, 조작 중 소실을 감안한 투여 가능한 최대량은 0.4ml로 2mg의 성장호르몬에 해당하는 양이다.
1) 유년기 개시형 결핍증 (Childhood Onset): 유년기에 성장호르몬 결핍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성장호르몬 대체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재평가를 받아 성장호르몬 결핍증임이 확인되어야 한다. 2) 성인기 개시형 결핍증 (Adult Onset): 성장호르몬 대체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시상하부 또는 뇌하수체 질환 등에 의한 2차적 성장호르몬 결핍증과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다른 호르몬 결핍증(프롤락틴 제외)이 진단되어야 하며, 적절한 대체요법을 받고 있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심장 및 신장 질환 환자(때때로 일과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2)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 3. 이상반응 1) 성인 ① 임상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에게 이 약을 고용량 투여 시 다음 반응이 드물게 발생하였다. : 두통, 국소화된 근육통, 허약, 경미한 과혈당증, 당뇨 ② 성장호르몬의 생물학적 활성 또는 투여량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 부종(국소 또는 전신), 사지 경직, 관절통 및 관절질환, 근육통, 감각 이상, 고혈압 ③ 성장호르몬 결핍증을 가진 성인 환자에서 일시적인 부종, 근육통, 관절통 등이 치료 초기에 보고되었다. ④ 유년기 때 성장호르몬으로 치료받은 성인들은 성인기 개시형 결핍증 환자보다 약물유해반응 발현이 적다. ⑤ 113명의 성인기 개시형 환자 중 2명이 저용량 도입기 없이 유지요법을 시작한 후 팔목터널증후군으로 진행되었다. 투여량 감량 후 증상은 경감되었다. 2) 기타 ① 대사계 : 드물게 미약하고 일시적인 말초 또는 전신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② 근골격계 : 드물게 팔목터널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③ 피부 : 드물게 이미 존재하는 모반의 성장 증가, 악성으로의 형질전환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검사한다. ④ 내분비계 : 드물게 여성형유방 및 췌장염이 나타날 수 있다. 3)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국내에서 603명(소아 438명, 성인 165명)을 대상으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성인에서의 유해사례 발현증례율은 24.24%(40명/165명, 62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약물유해반응의 발현증례율은 7.88%(13명/165명, 19건)이며, 다리부종, 부종, 두통 각 3건, 근육통 2건, 피로, 관절통, 어지러움, 복통, 눈충혈, 두드러기, 반점발진, 피부발진 각 1건이었다. 유해사례 중 중대한 유해사례는 폐렴, 충수돌기염, 협심증 각 1건이었으나, 모두 이 약과의 인과관계는 없었다. 중대하지 않았지만 예상하지 못한 약물유해반응은 복통, 피로, 두드러기, 반점발진, 눈충혈, 어지러움, 피부발진이었다. 4) 의약품 시판 후 이상사례 보고자료(1989-2018.12)를 토대로 실마리정보 분석·평가 결과 새로 확인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전신 및 투여 부위 이상 : 주사부위멍듦, 주사부위출혈, 주사부위가려움, 주사부위두드러기 ⦁신경계 : 경련 ⦁피부 및 피하조직계 : 여드름 4. 일반적 주의 10) 성인의 장기 치료에 대한 경험은 없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2) 이 약의 수유부에서의 투여에 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으며 모유를 통해 약물이 이행되는지 여부도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다수의 약물이 모유로 이행되므로 이 약의 투여로 인한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투여하며 투여해야 할 경우에는 수유를 중단한다. 7. 과량투여 시의 처치 급성의 과량투여에 의해 처음에는 혈당 저하, 연이어 혈당 상승이 보일 수 있다. 장기간 과량 투여에 의해 말단 비대증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8. 적용상의 주의 9.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2)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6개월 10. 기타 2) 유방암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