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오고나도트로핀알파, 분량 : 250, 단위 : 마이크로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 CHO dhfr-, 벡터 : RC/CMV-i-DHFR-hCG)
성선자극호르몬 요법은 불임 치료에 경험이 많은 의사에 의해 사용되어야 한다.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 부부가 임신 금기 사항에 해당하는지 또는 임신 중인지 여부에 대해 정확한 검사를 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이상반응의 위험성에 대해 환자에게 알려준다. ① 난소과자극증후군(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배란 유도 또는 황체 유지를 위하여 이 약을 투여하는 환자의 난소가 성선자극호르몬에 과민하게 반응할 경우 난소과자극증후군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초음파 평가를 통한 난포 발달 정도 및/또는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를 이 약의 투여 전 및 투여 중에 정기적으로 면밀하게 확인해야 한다. 보조생식술의 보조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혈중 에스트라디올 농도가 3,000pg/mL (11,000pmol/L)를 초과하고 직경 12mm 이상의 난포가 20개 이상인 경우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혈중 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5,500pg/mL (20,000pmol/L)를 초과하고 총 난포수가 40개 이상인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할 필요가 있다. 난소과자극증후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뇌하수체 비대 또는 종양 환자 2) 원발성 난소 부전 또는 난소 종양 환자 3) 내분비계 장애(갑상선기능저하증, 부신피질부전증, 고프롤락틴혈증) 환자 4) 난소 이상 발육, 탈자궁, 조기 폐경 및 체외수정을 위한 배란 유도 과정에 있지 않은 난관 폐색증 환자 5) 혈전성 정맥염 환자 6) 성선자극호르몬 제제(hMG, FSH, hCG 등)에 대한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7) 시상하부 종양 환자 8)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9) 원인 불명의 비정상적인 생식기 출혈 환자 10)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기인하지 않은 난소 비대 또는 난소 낭종 환자 11) 자궁 내막암 또는 유방암 환자 12) 체중 감소용(지방 대사, 식욕 및 지방의 체내 분포에 대한 효과가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체중 감소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13) 난소과자극증후군 환자 14) 임신에 부적합한 생식기관 기형 환자 15) 임신에 부적합한 자궁의 섬유성 종양 환자 16) 폐경기 여성 17) 이전 3개월 이내에 자궁외 임신의 경험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임신을 함으로써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는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 4. 약물유해반응 1) 3상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은 난소과자극증후군(5.7%) 복부 불편감 (3.4%), 복부 팽만(3.4%), 복통(2.3%), 구역(2.3%), 구토(1.1%)였으며, 이 약 투여 전에 실시한 난소 과자극 요법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 약과의 관련성은 명확하지 않다. 2) 다음은 이 약과의 동일 계열 약물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이다. 5. 일반적주의 1) 보조생식술을 시행 중인 환자에 있어서 이 약에 기인한 유산에 따른 임신 소실의 비율은 정상 임신의 여성에서 나타나는 비율보다는 높지만, 다른 원인으로 인한 불임증 여성에서 나타나는 비율과 동등하다. 2) FSH 제제 투여에 이어서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또는 병용투여하는 경우에, 난소 종대, 종대 난소의 파열, 복수, 흉수를 수반하는 Meigs 증후군과 같은 난소과자극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다음 사항에 주의한다. 3) 임상적 상관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이 약으로 치료하는 중에 경미한 갑상선 자극이 관찰될 수 있다. 1) 고용량의 코르티코이드 약물과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2) 배란 유발 목적으로 FSH 제제 투여에 이어서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또는 병용투여하는 경우에, 난소 종대, 종대 난소의 파열, 복수, 흉수를 수반하는 Meigs 증후군과 같은 난소과자극이 나타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혈액 농축, 혈액 응고성 항진 등에 의해 혈전증,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신 중에 이 약을 사용하는 적응증은 없다. 이 약의 효능ㆍ효과를 고려할 때, 이 약을 임신 및 수유 중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 약을 임신 중에 사용한 임상 자료는 없다. 8. 임상 검사치에의 영향 성교한지 7일 이내이거나 이 약 투여 중 혹은 투여 후 최대 10일까지는 임신 진단 결과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이 약의 과량투여로 인한 독성 증상은 알려지지 않았다. 2) 이 약의 과량투여에 의해 난소과자극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투여량을 적절하게 감소시킨다. 10. 적용상의 주의 1) 다른 약과의 배합에 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으므로, 이 약을 다른 약과 혼합하여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이 약의 프리필드시린지 마개를 개봉한 후에는 즉시 사용한다. 3) 사용한 프리필드시린지를 재사용하지 않는다. 주사침에 마개를 다시 씌워 안전하게 폐기한다. 4) 적절하게 교육을 받고 전문가로부터 안내를 받을 수 있는 환자에 한해 이 약을 자가 투여할 수 있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냉장(2~8℃) 보관한다. 동결하지 않는다. 12. 기타 이 약에 대한 발암성 및 유전독성에 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6.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